드디어 WBC가 어제 일본과 중국의 경기를 시작으로 진행되고 있다. 광팬은 아니지만, 나름 야구에 관심을 가진 입장에서 WBC는 관심이 가는 경기들인데, 시청권 논란 때문에 한 동안 시끄러웠다. 다행히 IB스포츠와 지상파 방송사가 타협을 해서 중계를 해주기로 했다니 다행이긴 하다. 당장 오늘 있을 대만과의 국대 경기도 봐야겠고... (물론 인터넷으로 시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놓쳐서는 안될 것이 바로 미디어 산업화 시대의 '보편적 시청권'이다. 정부와 시장지상주의자들은 방통융합 시대에 맞게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번 WBC 중계 시청권 논란은 거의 모든 가구가 누릴 수 있는 지상파 방송 시청권이 자본에 의해 제약될 수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게다가 TV수신료가 전기세에 통합되어 나오는 바람에 나 같이 케이블 유선방송을 끊은 사람도 시청료를 거부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어떻게 된 것이 케이블방송을 신청하지 않으면 지상파 방송조차 아예 볼 수가 없다. 이런 상황은 과연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가 보장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게 한다. 그런데 정부의 '미디어 산업 발전 구상'에 따르면 앞으로 방송통신의 공공성은 더욱 말하기 어렵게 될 전망이다. 휴대전화 소지도 보편화된 상황에서 방송통신의 사회화, 공공성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시점이 아닌가 싶다. 더욱 공세적으로 치고 나갈 필요가 있다.
---------------------------------------------------
'WBC 공짜 중계는 사치'가 돼버린 '뉴미디어 시대' (프레시안, 김하영 기자, 2009-03-04 오후 6:14:40)
[기자의 눈] 누구를 위한 '미디어 산업화'인가?
WBC 야구 중계 시청권 논란이 시끄럽다. 인터넷 사이트 '엠군'에서 한 게임에 3300원을 내고 유료중계를 보거나, 역시 유료 케이블TV 채널인 'X-Sports'을 통해 3시간 지연 중계를 봐야만 하기 때문이다. 아니면 SK텔레콤의 휴대전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인 '네이트'의 '실시간TV'를 통해 보는 방법도 있다. 물론 이 역시 유료다. 한 마디로 돈 들이지 않고 WBC 중계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방송법에 명시된 '보편적 시청권'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가 4일 "전세계인이 즐기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는 달리 WBC 야구는 미국의 초청에 의해 몇 개 나라만 하는 것"이라며 고시 기준에 따라 보편적 시청권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제외했고, 올해 WBC 포함을 검토하고 있다지만 이미 야구팬들의 열불에는 기름이 부어진 상태다.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논란의 뿌리는 간단하다. WBC 국내 중계권을 300만 달러(46억 원)에 사들인 IB스포츠는 어떻게든 최소한 본전을 뽑아야 하는데 가뜩이나 광고시장 불황에 허덕이는 지상파 방송사들과 가격 흥정에 실패한 것이다.
IB스포츠와 KBS가 들끓는 여론을 반영해 막판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하니 그 결과는 지켜보자. 다만 이 논란은 정부와 여당이 미디어법 개정의 이유로 들이대는 '뉴미디어 시대' 우리의 일상을 보여주는 예고편이 아닌가 싶다.
야구 중계를 케이블TV는 물론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통해서도 볼 수 있는 시대가 됐다. IT강국다운 '방통융합'의 모습이다. 정부와 여당은 방송환경은 다매체 다채널 시대로 옮겨가고 있다면서 방통융합 시대에 맞는 규제 완화를 주장하고 있다. 이 시장에 더 많은 자본이 들어올 수 있게 해 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세계적 미디어그룹도 나오게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에도 시장논리를 강조하는 동안 '보편적 시청권'은 오히려 축소되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한다면 '과연 누구를 위한 미디어인가'라는 문제에 봉착하지 않을까?
과거 지상파 방송들은 여름에는 프로야구나 프로축구를 겨울에는 배구나 농구 경기를 1주일에 2~3회 편성해 중계했다. 그런데 케이블TV가 보급되면서 스포츠 중계가 지상파에서 거의 모습을 감췄다. 그리고 그 자리에는 드라마나 버라이어티 쇼 같은 예능 프로들, 그것도 재방송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스포츠 중계보다 시청률 높은 프로그램 재방송하는게 더 남는 장사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여당이 '방송혁명'의 주역으로 꼽고 있는 IPTV도 공짜가 아니다. 일단 회선에 대한 비용을 내야하고, '볼만한' 프로그램은 죄 유료로 전환되고 있다. 채널은 무한대로 늘어나지만 시청자들이 느끼기에는 볼만한 프로그램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포털을 통해 무료로 스포츠 중계를 즐기기도 하지만 이는 상황에 따라 언제 유료로 바뀔지 모를 일이다.
정당한 컨텐츠 이용료를 지불해야 하고, 그래야만 더 많은 양질의 프로그램이 생산된다. 그러나 미디어 시장의 유료화는 점진적으로 소득 수준에 따른 계층간 정보 이용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시장에 자유 시장의 논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공공성 확장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이번 WBC 중계 논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손해 보면서 야구팬들에게 '공짜 중계'를 제공할 자본은 없다. 정부 여당의 '글로벌 미디어그룹'의 모델일지도 모를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은 영국에서 위성방송을 인수한 뒤 프리미어리그 중계권을 독점했다. 얼마 전 머독은 16억2300만 파운드(약 3조2990억 원)를 들여 프리미어리그 한 시즌 138경기 중 115경기의 중계권을 확보했다. 영국에서 축구경기를 보려면 머독의 위성방송에 가입해야 한다. 가장 싼 패키지가 40파운드(약 8만8000원)라고 한다.
야구 중계가 무슨 '공공성'이냐고 항의한다면 별로 할 말은 없지만, 정부의 '미디어 산업 발전' 구상에 따르면 "WBC 야구 중계를 공짜로 볼 권리가 있다"고 야단법석을 피우는 사치를 부리는 것도 아마 올해가 마지막일지도 모른다. 방통위가 '보편적 시청권'의 대상에서 WBC를 제외할 정도로 '스트라이크존'을 좁게 잡고 있다면 그런 생각이 더욱 짙어진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놓쳐서는 안될 것이 바로 미디어 산업화 시대의 '보편적 시청권'이다. 정부와 시장지상주의자들은 방통융합 시대에 맞게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번 WBC 중계 시청권 논란은 거의 모든 가구가 누릴 수 있는 지상파 방송 시청권이 자본에 의해 제약될 수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게다가 TV수신료가 전기세에 통합되어 나오는 바람에 나 같이 케이블 유선방송을 끊은 사람도 시청료를 거부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어떻게 된 것이 케이블방송을 신청하지 않으면 지상파 방송조차 아예 볼 수가 없다. 이런 상황은 과연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가 보장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게 한다. 그런데 정부의 '미디어 산업 발전 구상'에 따르면 앞으로 방송통신의 공공성은 더욱 말하기 어렵게 될 전망이다. 휴대전화 소지도 보편화된 상황에서 방송통신의 사회화, 공공성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시점이 아닌가 싶다. 더욱 공세적으로 치고 나갈 필요가 있다.
---------------------------------------------------
'WBC 공짜 중계는 사치'가 돼버린 '뉴미디어 시대' (프레시안, 김하영 기자, 2009-03-04 오후 6:14:40)
[기자의 눈] 누구를 위한 '미디어 산업화'인가?
WBC 야구 중계 시청권 논란이 시끄럽다. 인터넷 사이트 '엠군'에서 한 게임에 3300원을 내고 유료중계를 보거나, 역시 유료 케이블TV 채널인 'X-Sports'을 통해 3시간 지연 중계를 봐야만 하기 때문이다. 아니면 SK텔레콤의 휴대전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인 '네이트'의 '실시간TV'를 통해 보는 방법도 있다. 물론 이 역시 유료다. 한 마디로 돈 들이지 않고 WBC 중계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방송법에 명시된 '보편적 시청권'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가 4일 "전세계인이 즐기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는 달리 WBC 야구는 미국의 초청에 의해 몇 개 나라만 하는 것"이라며 고시 기준에 따라 보편적 시청권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제외했고, 올해 WBC 포함을 검토하고 있다지만 이미 야구팬들의 열불에는 기름이 부어진 상태다.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논란의 뿌리는 간단하다. WBC 국내 중계권을 300만 달러(46억 원)에 사들인 IB스포츠는 어떻게든 최소한 본전을 뽑아야 하는데 가뜩이나 광고시장 불황에 허덕이는 지상파 방송사들과 가격 흥정에 실패한 것이다.
IB스포츠와 KBS가 들끓는 여론을 반영해 막판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하니 그 결과는 지켜보자. 다만 이 논란은 정부와 여당이 미디어법 개정의 이유로 들이대는 '뉴미디어 시대' 우리의 일상을 보여주는 예고편이 아닌가 싶다.
야구 중계를 케이블TV는 물론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통해서도 볼 수 있는 시대가 됐다. IT강국다운 '방통융합'의 모습이다. 정부와 여당은 방송환경은 다매체 다채널 시대로 옮겨가고 있다면서 방통융합 시대에 맞는 규제 완화를 주장하고 있다. 이 시장에 더 많은 자본이 들어올 수 있게 해 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세계적 미디어그룹도 나오게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에도 시장논리를 강조하는 동안 '보편적 시청권'은 오히려 축소되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한다면 '과연 누구를 위한 미디어인가'라는 문제에 봉착하지 않을까?
과거 지상파 방송들은 여름에는 프로야구나 프로축구를 겨울에는 배구나 농구 경기를 1주일에 2~3회 편성해 중계했다. 그런데 케이블TV가 보급되면서 스포츠 중계가 지상파에서 거의 모습을 감췄다. 그리고 그 자리에는 드라마나 버라이어티 쇼 같은 예능 프로들, 그것도 재방송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스포츠 중계보다 시청률 높은 프로그램 재방송하는게 더 남는 장사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여당이 '방송혁명'의 주역으로 꼽고 있는 IPTV도 공짜가 아니다. 일단 회선에 대한 비용을 내야하고, '볼만한' 프로그램은 죄 유료로 전환되고 있다. 채널은 무한대로 늘어나지만 시청자들이 느끼기에는 볼만한 프로그램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포털을 통해 무료로 스포츠 중계를 즐기기도 하지만 이는 상황에 따라 언제 유료로 바뀔지 모를 일이다.
정당한 컨텐츠 이용료를 지불해야 하고, 그래야만 더 많은 양질의 프로그램이 생산된다. 그러나 미디어 시장의 유료화는 점진적으로 소득 수준에 따른 계층간 정보 이용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시장에 자유 시장의 논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공공성 확장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이번 WBC 중계 논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손해 보면서 야구팬들에게 '공짜 중계'를 제공할 자본은 없다. 정부 여당의 '글로벌 미디어그룹'의 모델일지도 모를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은 영국에서 위성방송을 인수한 뒤 프리미어리그 중계권을 독점했다. 얼마 전 머독은 16억2300만 파운드(약 3조2990억 원)를 들여 프리미어리그 한 시즌 138경기 중 115경기의 중계권을 확보했다. 영국에서 축구경기를 보려면 머독의 위성방송에 가입해야 한다. 가장 싼 패키지가 40파운드(약 8만8000원)라고 한다.
야구 중계가 무슨 '공공성'이냐고 항의한다면 별로 할 말은 없지만, 정부의 '미디어 산업 발전' 구상에 따르면 "WBC 야구 중계를 공짜로 볼 권리가 있다"고 야단법석을 피우는 사치를 부리는 것도 아마 올해가 마지막일지도 모른다. 방통위가 '보편적 시청권'의 대상에서 WBC를 제외할 정도로 '스트라이크존'을 좁게 잡고 있다면 그런 생각이 더욱 짙어진다.
'우왕좌왕 행정 정책 > ICT,인터넷,과학,정보인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예훼손을 이유로 인터넷에서 삭제된 경찰 폭력 (0) | 2009.05.12 |
---|---|
다시한번 블로그글을 임시접근금지 조치 당하다 (2) | 2009.04.30 |
구글 1주일째 인터넷 실명제 ‘불복종’? (0) | 2009.04.08 |
<토론회> 정보통신망법 전부개정안, 무엇이 문제인가? (2008-09-18) (0) | 2008.09.20 |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법 제정법률안을 반대한다! (0) | 2008.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