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이들이 한국에서의 이주노동의 실태, 이주노동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에 대해 관심을 갖기 바란다.
http://www.metalunion.re.kr/bbs/board.php?bo_table=B07&wr_id=186
이주노동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 현황과 과제
김우식/금속노조 노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2025.03.19 16:45
이주가 늘어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며, 단순히 개인적인 행동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사회적인 행동이다. 샘 밀러(2023)는 이주민을 민족이나 국경으로 정의하지 않고 실존적 이주라는 개념을 주창한 심리학자 그레그 메디슨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주민은 한 문화에서 다른 문화로 옮겨가서 충분한 기간을 경험하는 사람이다. 그 기간동안 이주민은 새로운 곳에 적응하면서 도전 과정을 경험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샘 밀러는 인류의 역사에서 이주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 모두 이주민의 후예라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 사회에도 이주민이 늘고 있다. 법무부의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에 따르면 장기체류외국인과 단기체류외국인을 포함한 체류외국인은 2023년 기준으로 250만 8천여 명에 달한다. 대한민국의 체류외국인은 2005년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 2021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100만 명을 넘어섰고, 2016년 200만 명을 넘어서 2023년에는 250만 7584명에 달했다. 이 수치는 전년도의 224만 5912명에 비해서 26만 1672명이 증가한 수치다.
이주노동자가 늘어나고 중요성이 커지면서 학계에서도 이주민과 이주노동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만 조직화의 관점에서는 주로 민주노총, 이주노조, 성서공단노조 등에 관심이 집중되었고(정영섭, 2012; 이태정, 2011; 희정, 2020), 금속노조나 금속산업에 특화해서 연구한 사례는 별로 없었다. 금속노조의 경우 이주노동자가 2007년부터 조합원으로 가입하였고, 2008년부터 이주노동자 관련된 실태조사 사업을 벌였다. 2023년에는 조선업 이주노동자 실태조사를 했으나 금속노조에서 이주노동자에 대한 조직화와 대응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포괄적인 연구사업이 진행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금속노조의 이주노동자 조직화 역사와 현황, 조선산업을 중심으로 한 대응방향 마지막으로 해외사례를 통해서 노동조합의 과제를 살펴보려고 한다.
요약 1
제1장 서론 15
제2장 금속노조 이주노동자 조직화 사례 (김경근) 21
1. 서론 23
2. 금속노조의 이주노동자 조직화 과정 25
3. 경주지부의 이주노동자 조직화 28
4. 현장간부 활동역량은 어떻게 키워지는가 34
5. 결론 40
제3장 조선산업 이주노동자 유입 증가와 원청 노동조합의 대응 (김우식) 43
1. 서론 45
2. 이주노동자 유입에 따른 현장의 변화와 반응 48
3. 이주노동자 유입의 구조적인 문제와 노동조합의 대응 54
4. 요약 및 소결 61
제4장 조선산업 이주노동자 증가에 대한 사내하청 노동조합의 대응 (강민형) 63
1. 들어가며 65
2. 세계 조선산업 호황과 한국 조선업 이주노동자의 성장 67
3. 이주노동자 유입에 따른 조선산업 노동시장과 노동과정의 변화 78
4. 이주노동자 유입에 대한 사내하청 노동자와 노동조합의 대응 85
5.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91
제5장 유럽 극우포퓰리즘의 반이민 공세와 노동조합의 대응 (전누리) 95
1. 서론 97
2. 유럽 극우포퓰리즘 현황 99
3. 유럽 국가별 노동조합의 대응: 독일, 스웨덴, 프랑스 사례 105
4. 결론 129
참고문헌 133
올해 이주 메이데이를 앞두고 이주노동과 금속노조의 과제라는 주제로 금속노조에서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금속노조 노동연구원의 이주노동 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발제를 진행하고 다양한 주제의 현장 토론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1) 일시 및 장소
- 일시: 4월 17일 목요일 오후 2시
- 장소: 금속노조 4층 회의실
2) 프로그램
- 제목: 이주노동과 금속노조의 과제
- 좌장(사회자): 장귀연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부설 노동권연구소 소장
- 발제1: 유럽 극우포퓰리즘의 반이민 공세와 노동조합의 대응 (전누리 노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 발제2: 조선산업 이주노동자 유입 증가와 노동조합의 과제 (김우식 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1: 유럽 극우세력의 확대와 반이민 공세(온명근 노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 토론2: 국내 극우세력의 반이민 공세와 민주노조운동의 과제 (김희정 성서공단지역지회 지회장)
- 토론3: 조선산업 이주노동자 증가에 대한 조선하청노조의 과제 (윤용진 전남조선하청지회 사무장)
- 토론4: 2024년 금속노조 중앙교섭 이주노동자 관련 합의사항 (신혁진 정책부장)
'우왕좌왕 행정 정책 > 노동, 고용, 노사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死線을 걷는 사람들 (EBN 기획기사) (1) | 2024.12.29 |
---|---|
공공운수노조, 공동파업·공동투쟁 마무리 (3) | 2024.12.29 |
‘유럽에서 공무직 제도화의 길을 모색하다’ 토론회('24.10.2) 자료집과 관련기사 (2) | 2024.12.29 |
장진희(2023). "윤석열 정부의 임금체계 개편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향후 과제." 노동N이슈 제2023-07호 (2) | 2024.10.16 |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한일(韓日) 사례를 중심으로 보고서 (0)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