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왕좌왕 행정 정책/교육,보건복지,사회서비스

2023년도 노인실태조사

새벽길 2024. 10. 19. 16:34

미로운 조사결과.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act=view&list_no=1483359
2023년도 노인실태조사 최종보고서입니다. 
* 통계 원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데이터포털 (https://data.kihasa.re.kr)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https://mdis.kostat.go.kr)

★+2023년도+노인실태조사+보고서(최종본)★.pdf
14.77MB

 
https://www.yna.co.kr/view/AKR20241016077600530?input=1195m
내한몸 건사하기도 힘들어…노인 4명 중 1명 "재산 쓰고 가겠다"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2024-10-16 12:00)
복지부 '2023 노인실태조사' 발표…'장남에 많이 상속' 13.3%→6.5%
재산·소득 늘어났지만, 노인 10명 중 4명은 일해
'노인으로 생각하는' 연령은 72세…1인가구 비중 33%로 '급등'
자녀들에 재산을 상속하는 대신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노인들이 계속 늘어나 4명 중 1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는 비율은 반토막 나는 등 재산 상속에 관한 가치관이 뚜렷하게 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의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복지부는 2008년부터 3년 주기로 65세 이상 노인의 사회·경제적 활동, 생활환경, 가치관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노인 1만78명을 방문·면접 조사했다.
◇ "상속보단 나와 배우자 위해 사용" 17%→24%
이번 조사에서는 노인들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이나 재산 상속, 장례 방식 등에 관한 가치관 변화가 감지됐다.
재산 상속 방식은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 51.4%,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 '경제적으로 어려운 자녀에게 많이 상속' 8.4%, '장남에게 많이 상속' 6.5% 등이었다.
이 중 재산을 상속하기보다는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2008년 첫 노인실태조사에서는 9.2%에 불과했으나, 2014년 15.2%, 2017년 17.3%, 2020년 17.4%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다 이번에 20%를 넘겼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국장은 "재산 상속에 관한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라며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이들은 재산을 상속하기보다는 본인이 사용하고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장남에 더 많은 재산을 주겠다는 응답은 2008년 첫 조사에서 21.3%에 달하다 2020년 13.3%까지 떨어진 후 지속해서 감소하다 이번에 6.5%까지 떨어졌다.

선호하는 장례 방식은 '화장 후 납골당' 38.0%, '화장 후 자연장' 23.1%,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 19.6% 등이었다. 화장 후 납골당을 택한 비중은 2020년 대비 4.7%포인트(P) 높아졌지만, 매장을 택한 비중은 6.1%로 5.5%P 낮아졌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비중은 26.5%로 2020년 대비 1.6%P 낮아졌으나, 친목 단체에 참가하는 비중은 54.2%로 10.1%P 높아졌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2020년 56.4%에서 지난해 76.6%로 크게 올랐지만, 노인의 67.2%는 여전히 '정보화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호소했다.
노인들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였다. 2020년 70.5세 대비 1.1세 상승한 수치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답했다.
◇ 소득·자산·교육수준 높은 '신노년층'…건강지표도 좋아져
조사 결과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했다.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천469만원, 개인 소득은 2천164만원, 금융자산은 4천912만원, 부동산 자산은 3억1천817만원으로 모든 항목이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올랐다.
2020년 당시 가구 소득은 3천27만원, 개인 소득은 1천558만원, 금융자산은 3천213만원, 부동산 자산은 2억6천183만원 등이었다.
가구소득 구성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53.8%, 공적 이전소득 25.9%, 사적 이전소득 8.0%, '재산소득' 6.7% 순이었다.
최종 학력에서 고등학교 졸업 비율은 2020년 28.4%에서 31.2%로, 전문대 이상 졸업자는 2020년 5.9%에서 7.0%로 높아지는 등 교육 수준도 향상됐다.
일하는 노인 비중은 2017년 30.9%, 2020년 36.9%에 이어 지난해 39.0%에 달했다. 종사 직종은 단순 노무 33.0%, 농림어업 숙련노동 20.3%, 서비스 종사자 14.4%, 판매 종사자 12.5% 등 순이었다.
우울함이나 낙상, 외래진료 이용 등 노인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소폭 개선됐다.
우울 증상을 보유한 노인은 11.3%, 최근 1년간 낙상사고 경험은 5.6%, 최근 1개월간 병의원 외래진료를 이용한 비율은 68.8%로 집계됐다. 2020년 대비 각각 2.2%P, 1.6%P, 1.8%P 낮아진 수치다.
노인들은 평균 2.2개의 만성질환을 보유했고,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35.9%였다.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은 13.9%였다.
신체적 기능에 제한이 있다는 18.6%의 노인을 상대로 돌봄 상태를 조사한 결과, 이들의 47.2%는 돌봄을 받고 있었다.
돌봄제공자는 '장기요양보험서비스'라고 응답한 비율이 2020년 19.1%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30.7%로 나타났다. 그 외 가족 81.4%, 친척·이웃 등 20.0%, 개인 간병인 등 11.0% 순이었다.

가구 형태 및 평균 가구원 수 (단위 : %, 명)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1인 가구 비중 33%에 달해…'자녀 동거' 가구 감소
노인들의 가구 형태는 부부 가구(55.2%), 1인 가구(32.8%), 자녀 동거 가구(10.3%) 순이었다. 이 중 1인 가구인 '독거노인' 비율은 2020년 19.8%보다 13.0%P 급등한 반면,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비율은 20.1%에서 9.8%P로 급락했다.
이처럼 독거노인 비율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평균 가구원 수는 2.0명에서 1.8명으로 줄었다.
강은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독거노인 비율이 증가하는 데 대해 "예전에 비해 1인 가구 상태로 노년기에 진입하는 비율이 늘었고, 85세 이상에서 사별 후에도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비율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독거노인의 경우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해 주관적인 건강 상태를 인식하는 비율이나, 우울 증상, 생활상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열악한 상황이었다.
독거노인 중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4.2%로, 노인 부부 가구의 48.6%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우울 증상을 가진 비율도 16.1%로, 노인 부부 가구의 7.8%에 비해 크게 높았다.
자녀와 연락하는 비중은 2020년 67.8%에서 지난해 64.9%로 감소했다.
전체 노인의 9.2%는 연락할 수 있는 자녀가 없었다. 전체 노인의 3.2%는 자녀와 연락 두절이었고, 6.0%는 살아있는 자녀가 없는 상태였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새로운 노년층의 소비력과 역량, 고령층의 전반적인 의료·돌봄·복지 수요, 1인 가구 증가 등 변화된 여건을 토대로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162819.html
노년 더 쓸쓸해졌다…‘나혼산’ 늘고 ‘자녀와 연락’ 줄어 (한겨레, 천호성 기자, 2024-10-16 14:11)
2023년 노인실태조사…독거노인 비중 3년 새 13%p ↑
노인 3명 중 1명은 혼자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독거 노인 비중이 3년 새 13%포인트 늘었고, 자녀와 연락하고 지내는 노인은 줄었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이런 내용의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노인복지법에 따라 복지부가 2008년 이후 3년마다 시행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지난해 9월4일∼11월12일 전국 65살 이상 노인 1만78명을 면접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1인가구 노인 비중은 32.8%로 2020년(19.8%)보다 13.0%포인트 늘었다. 자녀와 같이 사는 노인은 이 기간 20.1%에서 10.3%로 9.8%포인트 감소했다. ‘자녀와 연락하고 지낸다’고 응답한 노인 비중 역시 67.8%에서 64.9%로 2.9%포인트 줄었다. 전체 노인의 3.2%는 ‘자녀와 연락이 두절됐다’, 6.0%는 ‘자녀가 없다’고 답했다.
강은나 보사연 박사는 “65∼69살 중 노년기 진입 이전에 이혼했거나 별거 중인 경우가 늘었다. 85살 이상 중 배우자와 사별 뒤 혼자 사는 노인의 비율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독거 노인은 가족 등과 같이 사는 노인에 비해 건강상태가 열악했다. 부부 노인(배우자와 거주) 중 자신이 ‘건강하다’고 답한 사람은 48.6%였던 반면, 독거 노인은 34.2%로 14.4%포인트 적었다. 우울 증상이 있는 노인(독거 노인 16.1%·부부 노인 7.8%), 생활 상 어려움이 있는 노인(독거 노인 73.9%·부부 노인 48.1%) 모두 독거 노인 중에서 더 많았다.
한편 2023년 노인 가구의 연 평균 소득은 3469만원으로 이전 조사(3027만원)보다 14.6% 늘었다. 부동산 자산 역시 이 기간 2억6183만원에서 3억1817만원으로 21.5% 불었다. 반면 자녀 등에게 재산을 물려주겠다는 노인은 줄어드는 추세다. ‘재산을 상속하지 않고 나와 배우자를 쓰겠다’는 응답은 24.2%로 지난 2008년 첫 조사(9.2%) 이후 처음으로 20%를 넘겼다. 특히 ‘장남에게 더 많은 주산을 주겠다’는 노인은 2011년 23.3%, 2017년 11.0%, 지난해 6.5% 등으로 줄고 있다.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410161456001
소득·자산·학력 높은 ‘신노년층’…“재산 ‘장남’ 안 주고 쓰고 간다” (경향, 반기웅 기자, 2024.10.16 14:56)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재산 상속 등에 대한 가치관도 이전과는 달라진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년만에 재산을 장남에게 더 많이 상속하겠다는 응답 비율은 반토막나고,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쓰겠다는 비율은 노인 4명중 1명으로 늘었다. 노인들은 71.6세는 되어야 노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답했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노년층 편입으로 ‘신 노년층’이 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노인가구 연간 소득 ‘3469만원’ 부동산 ‘3억1817만원’
보건복지부가 16일 낸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노인 가구의 연 소득은 지난해 3469만원으로 2020년보다 442만원 늘었다. 금융 자산 규모도 4912만원으로 1699만원 늘었고, 부동산 자산 규모는 3억1817만원으로 2020년 2억6183만원보다 5634만원 늘었다. 노인의 소득과 자산 모두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노인실태조사는 노인복지법에 따라 2008년부터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78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노인 세대의 교육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고졸 비율은 2020년 28.4%에서 지난해 31.2%로 2.8%포인트 증가했다.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도 2020년 5.9% 대비 1.1%포인트 증가한 7.0%를 기록했다.
일하는 노인 비중은 39%로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일하는 노인 비중은 2014년 28.9%에서 2017년 30.9%, 2020년 36.9%로 오르는 등 꾸준히 늘고 있다. 일자리는 단순 노무가 33%로 가장 많았고, 농림어업 숙련노동(20.3%), 서비스 종사자(14.4%), 판매 종사자(12.5%) 순이었다.
“장남에게 상속 21.3%->6.5%”
노인의 기준 연령, 재산 상속 방식 등 가치관의 변화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2020년 70.5세보다 1.1세 상승했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생각했다.
재산 상속 방식을 보면, 응답자의 51.4%는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이라고 답했고 이어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8년 9.2%로 한자릿수에 머물렀던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비중은 2014년 10%대를 넘어선 뒤 2020년 17.4%에서 지난해 24.2%로 큰폭 상승했다. 반면 ‘장남에게 전부 혹은 더 많이 상속’하겠다는 응답은 2020년 13.3%에서 지난해 6.5%로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소득·자산·학력 높은 ‘신노년층’…“재산 ‘장남’ 안 주고 쓰고 간다”
독거노인 급증…부부 가구보다 건강·영양·생활 환경 열악
노인 가구 구성에도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지난해 노인 가구 형태는 부부가구(55.2%), 1인 가구(32.8%), 자녀동거 가구(10.3%)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1인 가구(독거노인) 비율은 직전 조사(19.8%)에서 13%포인트 뛰었다. 같은 기간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 비중은 20.1%에서 10.3%로 하락했다. 독거노인 증가로 평균 가구원 수는 2.0명에서 1.8명으로 줄었다.
독거노인은 건강·영양·생활 등에서 다른 가구보다 열악한 환경에 처한 것으로 파악됐다. 1인 가구 가운데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4.2%로 노인부부 가구(48.6%)와 비교해 낮았다.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16.1%로 노인부부(7.8%)의 두 배에 달했다. 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는 독거노인은 73.9%로 노인부부 48.1%를 앞지른 반면 영양관리 ‘양호’ 비율(54.4%)은 노인부부(71.2%)를 크게 밑돌았다.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29064026&code=11171111&cp=nv
[사설] ‘新노년층’의 등장… 노인 정책 패러다임 전환 고민해야 (국민일보, 2024-10-17 00:32)
일하면서 자산까지 불리는,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다. 은퇴 이후에도 소비·여가생활을 즐기며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노년층의 소비력과 역량, 의료·돌봄 수요, 가구 형태 변화 등을 감안한 노인 정책을 고민해야 할 때다.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조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연간 소득, 개인 소득, 금융 자산, 부동산 자산 등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최종 학력 등 교육 수준도 전반적으로 향상됐고 일하는 노인 비중도 39%나 됐다. 자식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고 자식들의 부양에만 노후를 기대는 노인은 줄어들고 있다. 상속 대신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재산을 사용하겠다는 노인들이 계속 늘어나 4명 중 1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부가 같이 사는 비율(55.2%)이 여전히 가장 많았으나 이른바 ‘독거노인’을 가리키는 1인 가구의 비중이 2020년 19.8%에서 32.8%로 급증했다.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비율은 19.8%에서 10.3%로 줄었다. 노인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나 돌봄 상황도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지만 1인 가구 만큼은 주관적 건강 상태 인식 비율이나 우울 증상, 생활상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는 내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전 시기보다 노인 세대 전반의 소득과 건강 상태는 개선되고 있으나 1인 노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다. 고령화 추세가 이어지면 1인 노인 가구 비중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노인 복지 정책의 초점을 이들에 맞추는 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숙고할 필요가 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41017/130234134/2
노인 4명중 1명 “재산, 내가 다 쓰고 가련다”… 新노년의 등장 (동아일보, 박경민 박성민 기자, 2024-10-17 03:00)

베이비부머 은퇴후 노인 ‘세대교체’
소득-교육수준 높아지며 가치관 변화
1인가구 비율 3년새 20%→33%
“정부-지자체 돌봄기능 강화 필요”
“자식들에게 손 벌리기 싫으니 뭐라도 해야죠.” 16일 오후 1시경. 서울 중구 무교동 음식문화거리 입구에서 광고 전단을 나눠주던 박모 씨(70)는 “가정주부였는데 아이를 다 키운 후 7년 전부터 전단 배포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편과 함께 모은 재산이 없는 건 아니지만 수입이 있어야 누구에게 기대지 않고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에선 박 씨처럼 노후에 일하면서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 생계를 유지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은퇴 후 대거 노년층에 편입되면서 자산과 교육 수준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서 달라진 가치관을 지닌 ‘신(新)노년층’이 등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평균 소득 자산 크게 늘어

복지부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가구의 연소득은 2020년 평균 3027만 원에서 지난해 3469만 원으로 14.6% 증가했다. 또 같은 기간 금융 자산은 3213만 원에서 4912만 원으로 52.9%, 부동산 자산은 2억6183만 원에서 3억1817만 원으로 21.5% 늘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 노인 소득과 자산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특히 금융 및 부동산 자산 증가 폭은 최근 3년이 가장 컸다”고 했다. 이 조사는 3년 주기로 실시되는데 지난해는 9∼11월 1만78명을 방문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경제적으로 자립한 노인도 늘었다. 복지부가 지난해 9∼11월 65세 이상 1만7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현재 일을 하고 있다’는 비율은 39%에 달했다. 일하는 노인 비율은 2014년 28.9%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신노년층의 등장은 상속에 대한 가치관도 바꾸고 있다. ‘재산을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쓰겠다’는 응답은 24.2%로 2020년(17.4%)보다 6.8%포인트 늘었다. 반면 ‘장남에게 더 주겠다’는 비율은 13.3%에서 6.5%로 반 토막이 났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국장은 “베이비붐 세대는 재산을 상속하기보다 본인들이 더 사용하고 대신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가치관을 가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 “1인 가구 돌봄 강화해야”

건강 상태도 다소 개선됐다. 우울증상 비율은 2020년 13.5%에서 지난해 11.3%로 줄었고, 낙상사고 경험 비율은 같은 기간 7.2%에서 5.6%로 소폭 감소했다. 최근 한 달 동안 외래진료를 이용한 비율도 70.6%에서 68.8%로 줄었다.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은 2020년 70.5세에서 지난해 71.6세로 1.1세 상승했다. 또 노인의 79.1%는 노인 기준을 묻자 ‘70세 이상’이라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다만 평균 자산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빈곤층 비율이 유지되고,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1인 가구 비율은 32.8%로 2020년 조사 대비 13%포인트 늘어난 반면에 자녀와 함께 사는 비중은 10.3%로 9.8%포인트 줄었다. 그런데 1인 가구의 경우 ‘건강하다’고 답한 비율이 34.2%로 부부 가구(48.6%)에 비해 크게 낮았다. 또 우울감이나 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비율도 많게는 2배가량이나 됐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 1인 가구 증가세가 가속화되는 상황”이라며 “가족 돌봄에 의지할 수 없는 경우가 늘어나는 만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돌봄 기능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ttps://www.news1.kr/society/welfare-hr/5570685
노인가구 연소득 3500만원은 '젊은 노인' 효과…37%는 빈곤층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2024.10.17 오전 09:52)
소득·자산 높은 1차 베이비부머 진입 '신노년층'
10명 중 4명 중위소득 50% 미만…"평균의 함정"
지난해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연평균 소득이 3500만 원에 가까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성장기를 누리며 자산을 축적해 온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이 되며 전체 노인의 소득과 자산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노인인구 중 빈곤선인 중위소득 50% 미만에 속하는 이들이 여전히 40%에 육박하는 만큼 '평균의 함정'이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17일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으로 지난 조사 시기인 2020년(3027만 원)보다 442만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개인 소득은 2164만 원으로 606만 원 늘었으며, 금융 자산 규모는 4912만 원으로 1699만 원 증가했다.
부동산 자산 규모는 3억 1817만 원으로 5634만 원 늘었고 부동산 보유율은 97.0%로 0.4%p 증가했다.

노인의 소득과 자산은 1955년~1963년생으로 구성된 1차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에 편입되며 꾸준히 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태어나 고도성장기를 누리며 고학력과 자산을 갖춘 부유한 '신노년층'으로 통한다.
지난 2017년 노인가구 연소득은 2590만 원이었으나 1955년생이 노인이 된 지난 2020년(3027만 원)엔 3년간 16.9% 올라 처음 3000만 원을 돌파했고 지난해엔 14.6% 상승해 3500만 원 문턱에 다다랐다.
다만 이러한 통계를 65세 이상 노인 전체의 삶이 급격히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우선 베이비붐 세대가 속한 전기고령층에서 그 윗세대인 후기고령층으로 갈수록 소득과 자산 지표가 나빠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복지부의 '2023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5~69세 노인가구의 연 총소득은 4787만 원이지만 70~74세는 3261만 원, 75~79세는 2768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외 80~84세는 2301만 원, 85~89세는 2441만 원이다.
마찬가지로 65~69세 노인가구의 금융자산 규모는 5523만 원이지만 70~74세는 4884만 원, 75~79세 4632만 원, 80~84세 4530만 원, 85~89세 3949만 원, 90세 이상은 3997만 원으로 윗세대로 갈수록 점차 하락한다.
이번 보고서를 토대로 소득이 빈곤선인 중위소득 50% 미만에 속하는 노인 비율인 '노인빈곤율'을 단순 추정하면 37.5%다. 2020년(39.6%)보다 상당폭 개선된 수준이지만 여전히 40%에 가까운 노인이 빈곤선 아래에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1018050286
[사설] 혼자 사는 노인, 그냥 쉬는 청년...국가적 정책 설계 필요 (헤럴드경제, 2024.10.18 11:09)
우리나라에서 홀로 죽음을 맞는 이들이 매년 늘고 있다. 장·노년층의 고독사는 사회적 관계 단절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청년층은 고독사가 많지는 않지만 자살 비중이 높고 취업 문제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혼자 사는 노인과 그냥 쉬는 청년이 늘어나고 있다. 노인복지와 청년취업을 위한 재정·경제적 대책과 함께 이들의 정신·정서적 건강을 관리할 국가적 정책도 반드시 필요하다. 저출생 고령화 추세 속에서 모두가 당면할, 앞으로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좌우할 핵심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1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국내에서 3661명이 홀로 생을 마감했다.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21년엔 3378명, 2022년엔 3559명으로 증가 추세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1.6%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뒤를 이어 30.2%였다. 60대 이상은 50.3%였고, 50·60대 남성은 53.9%였다. 장년층 고독사는 사별이나 이혼, 알코올 관련질환 등 고질적인 만성질환, 주거 취약 등과 관련이 있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전체 고독사의 5.7%인 20·30대 고독사에선 자살 비중이 높았다. 20대가 71.7%, 30대가 51.0%였다. 복지부에 따르면 20·30대가 고독사에 이르는 과정은 취업 실패나 실직과 연관이 있다.
정부가 이제 막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관련 지표를 작성하기 시작한 고독사 실태는 노인은 관계 빈곤, 청년은 취업 문제의 심각함을 일깨운다. 실제 혼자 사는 노인은 요 몇 년간 급증했다. 복지부의 ‘2023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 3명 중 1명(32.8%)은 혼자 산다. 1인 가구 비율은 2020년 19.8%보다 13.0%포인트 급등했으나 자녀 동거 가구는 20.1%에서 10.3%로 줄었다. 통계청의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전년보다 16만8000명 감소하며 23개월 연속 줄었다. 청년층 인구가 줄어든 탓도 크지만 문제는 취업을 포기하고 ‘쉬었다’는 청년층이 대폭(6만9000명) 늘어난 것이다. 증가폭이 44개월만에 최대다.
영국은 2018년 ‘연결된 사회’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외로움부 담당 장관을 신설했다. 일본도 2021년 고독·고립대책 담당 부처를 설치했다. 프랑스에선 노인과 청년의 동거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노인·청년 문제가 더 이상 과거 수준의 복지나 취업 대책 정도로 접근할 사안이 아니라는 얘기다. 출생률은 세계 최저, 자살율은 최고 수준인 우리야말로 정책 패러다임 전환과 재설계가 필요하다. 그것이 새로운 시대 ‘국민행복권’을 위한 국가의 책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