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에서의 생각/국제, 평화, 민족

단지 부러움과 찬양만으로 칠레 사례를 보는 것은 위험하다

새벽길 2022. 1. 30. 18:09

안준호 님의 의견에 동의한다. 지난 2021년 5월에 치러진 칠레 제헌의회 선거 결과를 기억한다. 2019년부터 이어진 반체제 투쟁의 성과로 범 좌파 진영이 압승을 거두었기에 이후 일정도 낙관했다. 하지만 대선 1차 투표에서 극우파인 카스트 후보가 1위를 차지하고, 상하원 선거에서 범 좌파 진영이 승리라고 하기 어려운 결과를 나타내면서 적어도 나는 대선 2차 투표를 가슴 졸이며 지켜봤다. 하지만 다들 보리치가 2차 결선 투표에서 승리한 것만을 기억할 뿐 나처럼 걱정하는 눈길로 바라보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칠레 대선과정에서 교훈을 찾으려면 꽃길을 걷는 듯한 보리치 당선 이후의 행보만이 아니라 제헌의회 선거 전후에서부터 이어진 칠레 대선과정을 제대로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단지 부러움과 찬양만으로 칠레 사례를 보는 것은 위험하다.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106482
칠레 대선, 부러움과 찬양을 넘어서 (참세상, 안준호(한신대 대학원) 2022.01.19 10:47)
[기고] 칠레 좌파들이 겪었던 우여곡절, 그리고 한국의 좌파
한국 좌파나 식자층에게 칠레 대선 결과는 혁명적 열기 그 자체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칠레의 대선 과정이 과연 장밋빛으로만 볼 정도로 언제나 아름다운 과정이었을까? 밖에서 볼 때는 아름다운 결과였지만, 사실 내부적 시선으로 보면 칠레 대선 과정은 그렇게 아름답지만은 않았다.
6개월 만에 무너진 혁명적 열기
2021년 5월에 치러진 제헌의회 선거 결과는 범 좌파 진영의 압승으로 끝났다. 특히 급진좌파라고 불리는 공산당-광역전선 연합의 대승과 범 좌파 성향의 무소속 연합인 민중명부의 약진, 우파연합의 1/3 저지선 확보 실패로 나타났다. 이 분위기는 칠레 좌익에게 11월 총선과 대선에서 한 번 더 압승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기 충분했고, 우파들의 예봉을 꺾어버렸다.
그러나 이러한 기쁨도 잠시, 제헌의회는 도덕성에 큰 타격을 받게 된다. 제헌의회 부의장이 암환자 행세를 하며 부정수급을 받은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제헌의회는 피노체트 이후, 더 나은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상징 같은 존재였다. 그런데 기존 국회의원들의 부정부패와 동일한 사태가 발생하자 진보 성향 유권자들이 진보세력에게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더불어 우파세력들이 다시 결집하기 시작했다. 이대로 좌익에게 국가권력이 넘어가면 자신들의 기득권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이 그들을 결집시켰고, 9월부터 시작된 아이티, 베네수엘라 난민 유입 문제를 이용해 이민자, 난민 혐오 정서를 일으키는 카스트를 중심으로 우익 지지층이 재편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범 좌파 진영은 서로에 대한 견제만 할 뿐 우파 결집에 제대로 된 대응조차 하지 못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비극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대선 1차 투표에서 극우파 카스트 후보가 1위를 차지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도 모자라, 하원에서는 범 좌파 진영이 겨우 79석(과반기준석+1석) 수준으로 과반선을 사수했다. 상원에서는 범우파가 상원 의석의 절반을 차지하는 일이 일어났다. 투표율도 47% 밖에 나오지 않았다. 그렇게 열광적이었던 대중적 분위기가 식어버린 것이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이는 제헌의회 선거 이후 겨우 6개월 만에 일어난 일이다. 우파들을 1/3 미만으로 눌렀던 5월 제헌의회 선거 결과와 180도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이다. 1차 선거 때 진보진영의 선거 캠페인도 엉망이었다. 2019년 생존권을 중심으로 터져 나왔던 민중적 요구보다는 자신들이 좋아하는 분야의 공약을 더 많이 주장했다. 이는 제헌의회 도덕성이 타격받은 이후 진보성향 유권자들의 결집도가 이완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이민, 난민 문제에 대해 범 좌파 진영의 입장이 전혀 통일되지 않고 중구난방이 되면서 극우 세력의 결집에 대응할 타이밍을 놓쳤다. 게다가 기독민주당 같은 중도정당들은 결선 때 보리치에 대한 지지여부를 놓고 눈치만 보고 있었다. 이는 범 좌파 진영 내 상호 불신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1차 선거 때 극우파가 1위가 된 것을 본 진보성향 유권자들이 2차 결선 때 대거 참여하면서 겨우 이길 수 있었다.
칠레 좌파진영이 겪었던 우여곡절은 지금 한국 진보정당 운동이 겪었거나 겪고 있는 문제와 멀지 않다. 대중의 분노를 어떻게 진보적으로 소화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보다는 그에 대한 평론만 난무하거나, 대중의 절박한 생존권 요구에 복무하기보다는 지금 당장 자신들의 도그마에 휩싸여 있다는 것은 진보진영 내부에서도 나오는 비판이다. 또한 누구보다 도덕성을 부르짖지만 막상 자신들 사이에서 도덕성 문제가 터지면 우왕좌왕하는 것도 판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