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왕좌왕 행정 정책/환경,건설,교통,주택,토지

전력시장 개방이 부른 텍사스 ‘기후인재’

새벽길 2021. 3. 8. 06:23


김선철 정책위원의 글은 이번 텍사스 정전사태를 정리하는 글이라 할 만하다. 텍사스 정전사태에 관해 뭔가 글을 쓰고 싶었고, 또한 석광훈 위원의 글이 전력시장 개방, 민영화의 문제를 은폐하고 있어 이를 반박하고 싶었으나, 시간이 부족했다. 그런데 김선철 위원이 이에 대한 마무리를 잘해주었다. 다만, 이 칼럼이 널리 알려지지 못하고, 석광훈 위원의 입장처럼 변동요금제가 에너지 시장 탈규제 민영화의 산물이었다는 점이 간과된 채 기후변화만이 강조되는 것은 아쉽다. 이게 전력시장 개방론자, 민영화론자들의 구미에 맞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럼이 아니라 페이퍼 형태로 텍사스 정전사태를 전반적으로 정리하는 게 있었으면 좋겠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986254.html
[왜냐면] 석광훈 위원의 왜냐면에 부쳐: 전력시장 개방이 부른 텍사스 ‘기후인재’ (한겨레, 김선철ㅣ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정책위원, 2021-03-11 02:47)
2월26일치 <한겨레>에는 ‘텍사스 정전사태와 헛다리 짚는 언론보도’라는 제목의 기고문이 실렸다. 미국 텍사스 전력난이 기후변화를 무시했을 때 우리가 겪어야 할 재난과 혼란을 보여준 사례이며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핵발전을 대안처럼 제시하는 일단의 주장이 문제의 본질을 흐린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전력시장 개방의 문제를 논하는 것마저 “사실과 동떨어진 선정적 보도”라고 규정하는 것은 부적절할 뿐만 아니라 매우 잘못된 판단이다.
기고문은 전력난이 텍사스 전력시장의 민영화와는 상관없고 대비를 철저히 못한 규제당국의 실패가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민영화의 결과 전력망에 대한 규제와 감독까지 시장에 떠넘긴 텍사스의 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이다.
텍사스 전력망을 규제하는 어콧(ERCOT)은 민간 발전사와 도소매업자, 투자자 등도 이사로 참여하는 법적 비영리 기업이다. 어콧은 다시 전기, 통신, 상수도 등을 규제하는 공공서비스위원회(PUC)의 감독을 받는데, 세명의 임원은 모든 서비스 부문의 민영화를 신앙처럼 여기는 주지사가 임명했다. 게다가 연방정부의 규제체제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자신의 임무 중 하나로 “경쟁 촉진”을 천명하는 위원회 아래에서 어떤 ‘규제’가 이루어졌을지는 뻔하다.
어콧은 주어진 시스템과 매뉴얼에 따라 일을 처리했을 뿐이라고 항변한다. 어콧은 한파에 따른 전력난을 예측하며 주민들에게 전기를 아낄 것을 당부했고 병원과 요양원 등의 시설에 대한 전력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지역에 부분적 정전이 있을 것임을 예고했다. 실제 예상치 못했던 과부하에도 병원과 요양원에 대한 전력공급은 이루어졌다. 다만 병원이 없는 저소득층 거주 지역에서 단열도 잘 안되는 주택에 살던 유색인종들이 가장 큰 피해를 봐야 했다.
사태가 진정되면서 텍사스 주지사와 의원들은 어콧의 책임을 추궁하며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사태의 가장 근본적인 책임이 정치권에 있다는 점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시민들의 삶에 기초가 되는 공적 서비스를 민간으로 넘기는 민영화 탈규제 법제화를 한 것이 이들이기 때문이다.
기고문은 또 변동요금제에 따른 전기요금 폭등이 소수의 소비자들에게만 해당되고 주정부가 이들에 대한 보호를 천명했다는 이유를 들어 큰 문제가 아닌 것처럼 말한다. 다른 소비자들에게 부과될 전기요금이 얼마나 오를지, 또 주정부가 피해를 본 소비자들에게 실제 얼마만큼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이런 주장은 너무도 무책임하다.
그러면서 변동요금제가 에너지 시장 탈규제 민영화의 산물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애써 눈감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정전사태가 벌어진 뒤 일주일 동안 텍사스주에서만 56조원이 넘는 에너지가 판매되었다고 한다. 텍사스 에너지 시장이 공급 안정성을 보장하는 장기계약이 아닌 그때그때의 전력가에 따라 이뤄지는 스폿 시장거래 방식을 따르기 때문이다. 천연가스 가격은 330배 이상 뛰어 화석연료기업들은 이 난리 속에서도 엄청난 이득을 챙겼다. 이 모두 전력시장 개방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기고문은 텍사스 재난이 “시장질서와 상관없이 기후변화를 무시”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반복적으로 강조하지만 민간 전력사들이 단기적 시장경쟁에 내몰려 극단적인 기후 상황에 대한 중장기적 대비책을 세우지 못했던 것이 시스템상의 근본 원인이었다는 점은 ‘시장질서’ 옹호론자들 사이에서도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 부분적으로 시장질서에 의존하더라도 공공의 이해에 기초한 강력한 규제가 없으면 한국에서도 이런 재난이 벌어질 수 있다. 이것이 텍사스 사태를 통해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이다.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162140005&code=970201
기후의 역습에 ‘미국 에너지 산업 심장’이 멈췄다 (경향, 이효상 기자, 2021.02.16 21:40)
텍사스, 알래스카보다 추운 이상 혹한에 대규모 정전 사태
극소용돌이 남하 원인…휴스턴 공항 30년 만에 최저 기온
정유공장·송유관 가동 중단…풍력발전소도 날개 얼어붙어
혹한에 난방용 에너지 수요는 급격히 치솟은 반면, 에너지 공급은 차질을 빚으며 대규모 ‘블랙아웃(정전)’으로 이어졌다. 기온 하락에 텍사스 소재 대규모 정유공장과 가스 송유관은 가동을 멈췄다. 블룸버그는 하루 동안 100만배럴 이상의 석유와 2억8000만㎥ 이상의 가스 생산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텍사스 전력 공급의 25%가량을 차지하는 풍력발전소 역시 절반 이상이 날개가 얼어붙어 가동을 중단했다.
이날 가동을 멈춘 발전소의 전력 공급량을 모두 합하면 총 34GW(기가와트)로, 텍사스 전체 전력 공급의 40% 수준이다. 텍사스주는 주변의 다른 주와는 분리된 전력망을 가지고 있어, 외부에서 부족한 전력을 끌어오지도 못했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10217010003603
미·유럽 탈(脫)탄소, ‘최강 한파’ 통해 또 다시 한계점 드러났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2021.02.17 14:19)
美 폭설에 풍력발전 절반 마비...유럽 태양광발전도 사실상 발전량 '0'
화석연료 중요성 부각..."천연가스 꾸준히 활용해야"
16일(현지시간) 미 CNN방송은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 분석자료를 인용해 미국 본토 48개 주(州) 전체 면적 가운데 73%가 눈에 쌓였다고 보도했다. 눈 구경을 하기 힘든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아칸소 등 남부 지방까지 이번 한파가 덮친 것이다.
유럽에서도 예년같지 않은 한파로 몸살을 앓고 있는 모습이다.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 그리스에는 한랭전선으로 사흘 사이 기온이 20도 이상 떨어지면서 12년 만에 큰 눈이 내렸고, 평년 기온이 영상인 터키의 이스탄불에서도 이례적으로 눈이 내렸다. 러시아 모스크바에선 역대 2위의 적설량이 기록됐고 스페인과 네덜란드 역시 폭설에 뒤덮였다.
문제는 이 같은 한파가 지속되면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정작 재생에너지는 제 기능을 못한다는 점에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에서 풍력발전 비중이 가장 높은 텍사스 주에선 한파로 인해 풍력발전소 전체 중 절반가량이 마비된 것으로 나타났다. 텍사스 주의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총 25기가와트(GW)에 달하지만 12GW가 날씨로 인해 가동이 아예 중단됐다. 풍력은 지난해 텍사스 주 발전비중의 23% 가량 차지하는 등 텍사스에서 천연가스에 이어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전력 공급원이다. 당국 관계자는 "얼어붙은 풍력터빈, 천연가스 공급 부족으로 인해 평소대비 높은 수준의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반영하듯, 이번 한파로 텍사스, 오리건, 켄터키, 웨스트버지니아, 버지니아 등 18개주 550만 가구에 전력 공급이 끊겼는데, 이 중 텍사스주가 430만 가구로 피해가 가장 컸다.
기상 조건에 취약한 재생에너지의 약점은 작년에도 드러난 적이 있었다. 발전량의 3분의 1을 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 작년 여름에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자 전력난에 봉착했다.
태양광은 해가 진 뒤에는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는데, 최근 폭염으로 해질녘부터 냉방 수요가 늘면서 전력 부족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통상 캘리포니아주는 전력이 부족할 때 인근 주에서 전력을 수입하는데, 작년에는 이웃 주 역시 폭염으로 전력 사용량이 폭증해 남아도는 전력이 없었다. 이에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캘리포니아독립시스템운영국(CAISO)은 19년 만에 3단계 전력 비상사태를 발령했고 전력 부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강제로 전기를 끊는 순환 정전에 들어갔다.
유럽도 상황이 만만치 않다. 석유전문매체 오일프라이스닷컴은 실시간 세계 발전원별 발전정보를 제공하는 ‘일렉트리시티맵’의 자료를 인용해 "최근들어 태양광 발전량은 사실상 제로(0)다"며 "풍력발전은 견고하지만 태양광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매체에 따르면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를 선언한 스웨덴의 경우 최근에 바람마저 불고 있지 않아 전력비용이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급등했고 당국에서는 주민들에게 전력소비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한파를 계기로 탈(脫)탄소의 한계를 지적하며 천연가스를 꾸준히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미 경제매체 포브스는 "모든 산업을 전기화하겠다는 시도는 추위로 불안정해진 발전그리드에 리스크를 가중시키는 꼴"이라며 "인류가 이번 사태처럼 최악의 한파를 버티기 위해선 앞으로 몇 십년 동안 천연가스를 많이 소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포브스는 이어 "추위가 극한에 달할 때 발전그리드에 대한 태양광과 풍력의 가치는 전무하다는 걸 이번 한파 사태를 통해 입증됐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유력한 대안으로 꼽히지만 이번처럼 북극발 맹추위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엔 역부족일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다. 포브스에 따르면 겨울철 기온이 극도로 추운 날 천연가스 에너지의 공릅량은 여름철 폭염이 극심한 날 소비된 천연가스 에너지보다 세 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브스는 "이번 한파의 경우 하루 평균 80bcf(10억 입방피트)어치의 천연가스가 소비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르게 말하면 80 bcf는 1테라와트(TW) 수준의 발전설비가 24시간 동안 가동되어야 하는 규모다. 현재 미국의 전체 발전설비는 1.2TW다"고 밝혔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218017010
한파의 역습, 美 에너지 시스템 무너뜨렸다 (서울신문, 김정화 기자, 2021-02-18 17면, 2021-02-17 20:20)
이상기후에 얼어붙은 美… 피해 속출
73%가 눈에 덮여… “1조여원 규모 재난”
텍사스 영하 18도 등 2000여곳 최저기온
반도체 공장 정전… 글로벌 차량 수급 차질
“에너지시스템 기후변화 속도 못 따라가
2050년 남동부 전력 수요 35% 증가할 것”
겨울에도 비교적 따뜻한 날씨를 유지하는 텍사스주는 이날 영하 18도를 기록하며 1931년 이후 최악의 한파를 맞았다. 극지방 알래스카(영하 16도)보다 낮은 온도다. 한파 대비가 돼 있지 않은 지역이라 전력 공급 문제도 커졌다. 발전 시설이 멈추면서 18개주 550만 가구에서 대규모 정전 사태가 벌어졌는데, 그중 텍사스가 430만 가구로 피해가 가장 컸다.
뉴욕타임스(NYT)는 “전력망은 미래의 위험을 예측해 설계하지만, 기후변화는 빨라지고 있다”며 “현재 시스템은 과거와 다른 극한의 기후 상황에 직면하고 더 심각한 고장을 일으킬 것”이라고 봤다. 최근 한 연구에선 폭염, 홍수, 물 부족 등 기후변화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2050년까지 미 남동부 지역에서만 전력 수요가 35% 증가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17173300009?input=1195m
텍사스 정전사태에 미 보수논객들, 근거없이 "풍력발전 탓"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2021-02-17 20:24)
텍사스주 전력의 풍력 비중 25%인데 재생에너지에 책임 전가
1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텍사스주의 농업담당 커미셔너인 시드 밀러는 전날 페이스북에 "텍사스에서 추가로 풍력 발전 터빈을 세워서는 안 된다"고 올렸다. 폭스뉴스의 간판 앵커인 터커 칼슨도 재생에너지에 정전 책임을 전가하면서 풍력발전에 대해 "전적으로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월스트리저널(WSJ)도 사설에서 "풍력과 태양 에너지가 하루에 24시간, 일주일에 7일간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 데도 이들 에너지에 대한 믿음이 커졌기 때문에 전력망을 신뢰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콜로라도의 공화당 하원의원인 로렌 보버트도 지난 15일 트위터를 통해 정전 사태의 원인을 '그린 뉴딜'로 지목했다.
그러나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는 기자회견에서 정전사태의 원인이 주로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한파 속에서 풍력 발전 터빈의 일부가 결빙되기도 했지만 천연가스와 석탄, 원자력 발전의 고장이 재생에너지 고장보다 정전사태에 두 배로 영향을 줬다. ERCOT 관계자는 블룸버그 통신에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발전소에서 장비 결빙이 정전 사태의 주요 원인이었다고 말했다.
ERCOT는 기자회견에서 텍사스주에서 생산된 전력 4만5천MW(메가와트) 가운데 3만MW가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발전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발전량은 재생에너지다. 텍사스주에서 최근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발전의 주축인 풍력 발전이 전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25%에 불과하다.
휴스턴대학 에너지 전문가인 에드 하이어스는 정전사태의 원인이 주정부의 전력망 규제 완화 속에서 투자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텍사스주의 전력망은 독자적인데 반해 다른 주들은 주변 지역들과 전력망을 연결해놓아 비상상황 발생시 다른 주로부터 전력을 끌어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정전 사태에 대한 조사를 명령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IKVEAAE0
"대규모 정전사태는 풍력발전 탓"...美 한파 와중에 논쟁 붙었다 (서울경제, 김기혁 기자, 2021-02-18 06:50:12)
보수진영 일각, 텍사스 정전 관련 "풍력 책임"
WSJ "재생에너지는 24시간 전력 제공 못해"
풍력 비중 25% 수준인데 책임 전가 적절성 논란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텍사스 전력회사들이 추산한 겨울철 최대수요전력은 67GW(기가와트)였다. 텍사스는 기후가 온난해 통상 겨울보단 무더운 여름에 전력수요가 많지만, 겨울에 드물게 추위가 찾아오면 전력수요가 폭증한다는 점은 전력회사들도 알았다. 그러나 모두의 예상 밖 한파에 많은 가구가 낡고 효율이 떨어지는 전기히터를 틀어댔고 결국 14일 저녁 전력수요가 전력회사 예측치를 넘겨버렸다. NYT는 "텍사스주 전력망은 연중 가장 더운 때 전력을 대량 송전하는 데 최적화돼 기온이 급락했을 땐 대비가 안 돼 있었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론적으로만 따지면 기술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텍사스주보다 더 추운 지역에서도 발전은 이뤄지고 있고 그 지역에서 사용하는 설비를 도입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문제는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더구나 기후변화로 예측 불가의 상상하지 못한 극한날씨가 나타나고 있다. NYT는 "전력회사가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을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다면 전력망이 가혹한 상황에도 견디도록 설계할 수 있다"라면서 "그러나 기후변화가 가속되면서 전력망은 설계에 적용한 과거의 상황에서 훨씬 벗어난 극단적인 날씨에 노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동시에 한 번 정전사태가 빚어지면 치러야 할 비용이 엄청나기에 그저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점이 딜레마다. 에너지시스템 공학자인 제시 젠킨스 프린스턴대 기계항공공학과 조교수는 "얼마나 많은 보험을 들어둘 것인지의 문제"라면서 "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기후변화와 함께 과거가 미래의 지침이 돼줄 수 없는 세상에 산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예상 밖 일에 훨씬 잘 대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18061700009?input=1195m
미 한파發 전력 논쟁…재생에너지 전환vs화석연료가 안정적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2021-02-18 10:30)
"최악 한파는 기후변화 징후…발전부문 에너지원 바꿔야"
"재생에너지는 날씨변화에 취약" 반발도…배터리 등 신기술도 주목
기후변화는 이번 한파와 같은 극단적 기상의 원인이기도 한 만큼, 발전 부문의 에너지원을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신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기후 변화에 따른 북극 온난화로 제트기류가 약해졌고, 이에 따라 평소 제트기류 때문에 북극에 갇혀 있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 덩어리(극소용돌이)가 남하해 이번 한파를 초래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문제는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재 기술로는 전력공급의 안전성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NBC방송은 "풍력과 태양에너지 등은 '간헐적' 에너지원으로, 날씨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고 하루 내내 전력을 생산하지 못한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화석연료는 전력을 신속하게 생산해낼 수 있어, 수요 변화에 따라 발전량을 수시로 조절하는 '운전예비력'을 확보하기에 더 적합하다. 이를 고려하면 화석연료가 도리어 극단적 기상 상황에서 믿을만하다는 게 일각의 주장이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따로 저장해뒀다가 비상시에 끌어다 쓰는 시설을 구축하는 게 한 해법이 될 수 있다고 NBC는 전했다.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 전력망을 가동할 만큼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 제조 기술이 발전하고 비용도 낮아지는 추세다. 이런 배터리를 활용해도 전력 수요의 극히 일부만 충족할 수 있고, 공급망도 거의 전적으로 외국에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수소 배터리, 흐름전지 등 신기술의 발전으로 해결할 여지가 있다고 NBC는 설명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21815025800974
美 텍사스 정전 사태로 바이든 에너지 전환정책 논란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2021.02.18 15:02)
"좌파가 강조하는 기후변화 의제의 모순이 드러났다. 화석연료를 덜 사용하려 할수록 화석연료를 더 필요로 하게 된다는 점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5일(현지시간) 텍사스주를 강타한 극심한 한파로 미국 전역이 마비 상태에 빠진 상황을 언급하며 쓴 기사 내용이다.
이번 대규모 정전 사태로 전력 수요가 극단적으로 증가하는 극한의 상황에서 미국의 전력망이 충분히 준비돼 있지 않다는 불안감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에너지 대전환 정책이 옳은 것이냐에 대한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후변화를 7대 정책 과제로 하나로 제시했다. 그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 2035년까지 미국 전력 생산에서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2035년에는 태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만으로 모든 전력을 생산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텍사스주를 강타한 한파로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텍사스는 다른 주에 비해 재생에너지에 의한 전력 생산 비중이 높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텍사스는 4분의 1을 태양과 풍력으로 전력을 생산한다. 그런데 이번 한파로 텍사스에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실제 한파가 닥쳤을 때 태양열을 이용한 전력 생산은 불가능하고 풍력의 경우 이번 한파로 터빈이 얼면서 가동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를 옹호하는 쪽은 텍사스에서 재생에너지에 의한 전력 생산량은 아직 많지 않으며 이번 정전은 석탄·천연가스·원자력 등 전통적인 원료를 이용한 생산 방식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주장했다. 또한 재생너지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해 극한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용량 저장장치 개발 등 친환경 에너지 부문에 2030년까지 2조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NBC도 대용량 저장장치 기술 개발을 통해 재생에너지 활용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화석연료의 필요성을 강조한 WSJ 기사를 언급한 뒤 굳이 화석연료로 돌아가지 않더라도 재생에너지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 선택지로 부각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대용량 저장장치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용량은 커지고 가격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물론 빠른 개발 속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전력원으로서 기능하기에는 아직 여러가지 면에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노스 아메리칸 일렉트릭 릴라이어빌리티의 짐 로브 최고경영자(CEO)는 배터리가 궁극의 백업 시스템 역할을 해야 하는데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했다.
NBC는 바이든 대통령이 목표로 하고 있는 2035년까지 시간을 두고 꾸준히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NBC는 미시간대학교의 다니엘 크레이그 교수의 말로 기사를 마무리했다. "우리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기후변화도 계속해서 변한다. 지난 40년이 앞으로의 40년을 반영하지는 못 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218_0001343674&cID=10101&pID=10100
"전력회사 이기심+에너지 정책 실패"…텍사스 '블랙아웃' 불렀다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2021-02-18 16:25:07)
텍사스 자체 전력망, 다른 州서 전기 못받아
풍력 발전기 날개 얼며 전기 공급량 급락
시간당 1MW 가격, 20달러→9000달러로
"천연가스 사는 대신 발전소 가동 멈췄나?"
대체 왜 이같은 재난이 발생한 걸까. 전문가들은 텍사스 전력회사의 이기심과 풍력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정책이 정전 사태를 촉발했다고 꼬집었다. AP통신은 17일(현지시간) 텍사스는 주변 남부 도시들보다 더 심각한 전력 위기를 겪고 있다며, 이는 전력회사의 이기심이 만들어낸 재난이라고 설명했다.
텍사스의 전력망은 전력회사 '오스틴 에너지'가 독자적으로 구축했다. 여러 주가 광역 전력망을 구성해 필요에 따라 전기를 주고 받는 동부 및 서부와는 대조적이다. 덕분에 텍사스는 연방정부의 규제를 피해 자체적인 요금 체계를 구축하고, 에너지 사용을 조절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번 한파 동안 텍사스의 자체 전력망은 전력 재난의 원인이 됐다. 비용 절감을 위한 그들의 경영방식은 위기의 한 축이 됐다. 추위로 인한 텍사스의 전력난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1년에도 텍사스는 발전소 운영을 정지하고 이에 따른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미 전기산업단체는 전력회사가 지켜야할 겨울철 지침을 만들고, 규제당국은 전력회사에 투자를 통한 '발전소 개선' '전력 공급원 다양화'를 촉구했으나 텍사스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비용 때문이었다.
전력회사가 최소한의 발전소만을 가동하는 동안 텍사스 전력 시장에서 1MW 가격은 시간당 20달러에서 9000달러로 치솟았다. 시장에서는 "전력회사가 이윤을 챙기기 위해 다른 주에서 천연가스를 더 구입하는 대신 발전소 가동을 멈췄다"는 의혹까지 나오고 있다.
이같은 사태가 발발했는 데도 텍사스의 전력신뢰성위원회(ERCOT)는 "예측할 수 없는 한파로 인해 발생한 어쩔 수 없는 사태"라는 입장이다.
두 번째 원인으로는 '풍력'을 중심으로 한 텍사스의 에너지 정책이 꼽힌다. 텍사스의 주된 에너지원은 천연가스와 풍력 및 태양광이다. 평지가 많고 기온 변동이 작은 덕분에 천연 에너지를 통한 전력 공급이 가능했다. 에어컨 가동이 많은 여름철 텍사스의 최대 전력 공급량은 8만6000MW, 겨울에는 6만7000MW 수준이 평균적이다.
ERCOT에 따르면 전력난이 발생한 지난 17일 주 전역에 공급된 전기는 총 4만6000MW였다. 이 중 천연가스·원자력 공급량이 2만8000MW, 풍력·태양열 공급량이 1만8000MW 안팎이었다. 한파로 천연가스 공급 파이프와 풍력 발전기의 날개가 얼며 전력 공급량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18137200009?input=1195m
미 텍사스 대정전 원인 공방가열…재생에너지 vs 화석연료 탓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2021-02-18 16:26)
보수진영 "풍력 발전기 작동 멈춘 탓…화석연료 필요하다"
총 생산가능전력 중 재생에너지 비율 7%…"사실 호도" 반박
"정전 초래한 한파 막으려면 화석연료 줄여야" 주장도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보수 진영은 텍사스 정전사태를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비판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텍사스주 전력망의 겨울철 총 생산가능 전력 중 재생에너지에 의한 것의 비중은 극히 낮다고 외신은 전했다.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는 겨울철 생산 가능한 전력의 80%는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으로부터 나올 것으로 추정했다. 풍력발전에 의한 전력은 전체 생산가능량의 7%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 때문에 정전사태의 원인이 재생에너지에만 있다고 보는 건 사실을 호도하는 시각이라는 반박이 나온다. 이날 기준으로 텍사스주에서 끊긴 전력 총 45GW(기가와트) 중 재생에너지에 의한 생산가능량은 약 18GW, 원자력과 화석 연료로부터 비롯되는 양은 28GW이라고 ERCOT은 밝혔다. 더 큰 전력손실을 초래한 화석연료와 원자력 에너지가 정전 사태의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이 가능한 대목이다.
더구나 정전을 촉발한 한파 등 극단적 기상현상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징후인 상황에서, 화석연료를 줄이지 않으면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SB)의 레아 스톡스 정치과학 조교수는 "우리의 인프라는 극단적 기상현상을 감당해내지 못하는데, 화석연료가 바로 극단적 기상현상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983542.html
가스 파이프 얼고 원전 멈춰도…미 보수 “텍사스 정전은 재생에너지 탓” (한겨레, 조기원 기자, 2021-02-18 16:39)
텍사스 주지사 등 풍력발전소 터빈 탓
실제로는 가스 파이프라인이 가장 큰 원인
공화당 소속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지난 16일 보수 성향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우리 풍력과 태양광 발전이 작동이 안 되고 있다”며 “텍사스주를 전반적인 전기 부족 상황으로 몰아넣었다. 화석 연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텍사스주가 그동안 공을 들여온 풍력 발전이 주로 공격 대상이다. 일부 풍력발전소 터빈이 한파에 얼어붙어 작동이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폭스 뉴스> 간판 앵커 터커 칼슨은 “풍력은 전혀 믿을 수 없다”고 말했고,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는 “그린 뉴딜이 진전되면, 텍사스에서 일어난 일이 미국 전역에서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뉴욕 타임스>는 대규모 정전 사태의 주요 원인은 “발전 비중이 높은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 한파로 얼어붙었기 때문”이라고 17일 지적했다. 한파로 인한 가동 중단은 원자력발전소에서도 일어났다. 사우스텍사스원자력발전소 원자로 1개도 물 공급 장치가 얼어붙어 가동 중단됐다. 16일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는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발전에서 가동 중단으로 손실된 전력이 30기가와트고 풍력 발전을 포함한 재생에너지의 손실은 16기가와트로 절반 정도였다고 밝혔다. <시엔엔>(CNN)은 “텍사스는 필요에 따라 전기를 주고받는 다른 주와 달리 독자 전력망을 사용한다”며 “전력을 다른 주에서 받을 수 없는 텍사스주의 제도도 대규모 정전 사태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파로 인한 정전 때문에 텍사스 시민 중 일부는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을 알면서도 실내에서 불을 피워 언 몸을 녹였다. 차고에 있는 자동차에 시동을 걸어 집을 따뜻하게 만들려다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숨진 경우도 있었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2181201i
얼어버린 美 '에너지 심장' 텍사스…원전만 빼고 다 멈췄다 (한경, 선한결 기자, 2021.02.18 17:00)
텍사스서 대규모 정전 지속…복구 기약 없어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텍사스에선 주 발전용량의 40%가 끊긴 상태다. 극심한 한파로 발전원 여럿이 멈춰선 와중에 전력 수요가 폭증하자 송전망 과부하를 우려한 당국이 발전소 185곳에 걸쳐 전력 공급 중단을 결정해서다. 텍사스는 주민의 60%가 전기난방을 쓴다.
텍사스는 한파가 본격화된 지난 15일부터 도매 전력 가격이 메가와트시(MWh)당 9000달러를 웃돈다. 지난 12일 대비 약 3500% 폭등한 가격이다. 천연가스 스팟(현물) 가격은 일주일 전 대비 약 100배 뛴 1000달러 선을 넘겼다.
에너지 확보에 급급해진 텍사스주는 17일 각 에너지기업에 가스와 전력을 주 밖으로 유출하지 말라는 금지령을 내렸다. 텍사스는 평소엔 천연가스 일부를 멕시코로 수출한다. 텍사스 당국은 전력 복구 일정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美 최대 에너지난” 놓고 책임 공방
이를 두고 텍사스 안팎에선 책임 공방이 가열되는 분위기다. 16일엔 미 전역에서 전력 공급이 끊긴 가구 중 78.1%가 텍사스에 몰려있었다. 텍사스, 오리건, 켄터키, 버지니아 등 18개주에 걸쳐 550만 가구가 정전을 겪었는데 이중 430만 가구가 텍사스에 있었다.
먼저 도마에 오른건 텍사스 송전망을 운영하는 전력신뢰도위원회(ERCOT)다. 그렉 애보트 텍사스 주지사는 17일 "ERCOT은 지난 48시간 동안 전혀 신뢰성 없는 모습을 보였다"며 ERCOT에 대해 조사를 명령했다. 텍사스주 의원들도 "주 전체 정전사태를 볼 때 텍사스 전력망의 신뢰성이 의심간다"며 "향후 극한 기후 현상을 겪으면 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청문회 소집을 요구했다.
"텍사스만 전력 공급망 달라"
텍사스는 여느 주와 달리 독립적인 전력공급망 체계를 쓴다. 미국에서 가장 전기를 많이 생산·소비하는 주라서 미국 연방 에너지 규칙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같은 체계를 고집했다.
독립 전력 공급망을 쓰는 주는 미국 본토 내에선 세 곳 뿐이다. 이중 텍사스만 유일하게 다른 주와 송전망을 연계하지 않았다. 위급 상황이 생겼을 때 다른 주를 도와줄 수도, 다른 주에서 도움을 받을 수도 없다는 얘기다. 뉴욕도 독립 전력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다른 주에서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그리드를 짰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텍사스는 다른 주에 비해 공급예비력도 낮아 이번 한파에 타격이 컸다. ERCOT은 텍사스 전력 공급예비율을 지난 10년간 기존 20%에서 10%대로 내렸다. 텍사스는 다른 주와 달리 각 에너지기업에 3년간 전력 공급을 미리 보장하도록 하는 ‘용량시장’도 운영하고 있지 않다. 한국전력이 독점하는 한국과 달리 여러 에너지기업이 경쟁하는 방식인 에너지 시장에서 전력 공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각 주가 도입한 제도다.
한파 대비 미비…발전원 대부분 멈춰
영하 기온을 전혀 예상하지 못한 채 발전원을 마련한 것도 발목을 잡았다. 텍사스의 평년 2월 최저기온은 영상 5도 가량이다. 반면 이번엔 일부 지역이 영하 20도까지 떨어졌다. 로이터통신은 “겨울에 영하권까지 기온이 내려가는 것을 예상한 동부 각 주와 달리 텍사스 내 각 발전소는 열선 등 겨울 대비가 거의 안 돼있다”며 “일단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기계적 고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때문에 주요 발전원이 죄다 불안정했다. ERCOT에 따르면 작년 텍사스는 전력 생산의 44%를 천연가스에 의존했다. 이중 약 절반이 석유 생산과정 부산물로 나왔다. 그런데 한파에 유정과 석유 정제시설 가동이 중단되면서 천연가스 공급이 끊겼다. 천연가스 수송시설(파이프라인)도 동결 문제로 운영이 여럿 중단됐다. 연쇄적으로 전력 생산도 줄게 됐다. 텍사스 발전원 비중 19%인 석탄도 일부 발전시설 가동에 차질이 일었다.
작년 전력생산의 11%를 차지한 원자력은 개중 그나마 안정성이 높았다. 텍사스주 원자력발전소 네 곳 중 세 곳이 100% 출력을 유지했다. 한 곳은 급수펌프가 얼어붙어 전력 공급을 하지 못했다.
가장 한파 타격이 컸던 발전원은 풍력과 태양에너지다. ERCOT에 따르면 작년 텍사스는 전력의 24%를 풍력으로, 2%는 태양열과 태양광등 태양에너지를 통해 생산했다. 폭설에 날씨가 흐려지면서 태양에너지 발전은 제 역할을 못했다. 텍사스가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들인 풍력발전시설은 터빈이 얼어붙어 절반 가량 가동이 중단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텍사스는 그간 풍력과 태양에너지 의존도를 높였는데, 이 에너지원은 매일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는 없다”며 “결국 전력망 안정성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NBC는 “전력 공급을 거의 전부 재생에너지에 의존하려 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 경고가 된 사태가 나왔다”고 평가했다.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93047
전기 뚝 끊긴 텍사스…그린뉴딜이 문제라고? (JTBC, 김천 기자, 2021-02-18 18:14)
미국 텍사스 대규모 정전사태의 원인을 두고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지 시간 17일 미국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공화당 소속 그레그 에벗 텍사스 주지사는 전날 폭스 뉴스에 출연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번 대규모 정전 사태는 풍력과 태양열 발전기의 작동이 멈춘 탓"이라며 "이 때문에 전력 부족 사태가 빚어졌다"고 했습니다. 이어 "텍사스와 다른 주에는 화석 연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미국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는 "재생에너지 정책이 확대되면 텍사스에서 일어난 일이 미국 어느 곳에서든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터거 칼슨 폭스 뉴스 앵커도 "풍차가 얼어붙어서 전력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았다"며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는 보수 진영의 주장이 맞지 않다고 반박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풍력 발전소는 텍사스 정전에 대한 주요 원인이 아니다"며 "풍력은 텍사스주 전체 발전량의 7% 정도밖에 안 된다"고 했습니다. 이어 "대규모 정전 사태의 주요 원인은 한파로 얼어붙은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라고 지적하며 "일부 정치인들은 화석 연료를 고집하기 위해 거짓말과 허위 정보를 퍼뜨린다"고 꼬집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애벗 텍사스 주지사를 언급하며 "그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텍사스주 전력 대부분이 화석 연료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폭스 뉴스의 터거 칼슨 앵커는 시청자들에게 텍사스 주의 전력망이 전적으로 풍차에 의존했다고 정확하지 않은 사실을 말했다"고 덧붙였습니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218001192
[이석중의 세상 엿보기] 기후 재앙이 초래한 텍사스 대정전, 남의 일 아니다 (서울=뉴스핌, 2021년02월18일 19:43)
텍사스의 이번 한파는 북극에 머물러야 하는 차갑고 건조한 극소용돌이가 남하한 때문이라고 한다. 이제는 일상화된 기후변화 탓이다.
◆ WSJ, "좌파 기후 어젠다의 역설(the paradox of the left's climate agenda)"
텍사스 대 정전 사태에 대해 미국의 언론들은 기후변화 보다는 바이든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5일 '좌파 기후 어젠다의 역설'이라는 사설을 통해 "좌파의 기후변화 드라이브가 지닌 모순점은 화석연료를 덜 쓸 수록 화석연료가 더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또 NBC뉴스는 "텍사스를 위기에 빠뜨린 파괴적인 겨울 폭풍은 기후변화에 준비되지 않은 에너지 현실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재생에너지로 옮겨가려는 바이든 행정부에 대한 경고의 신호를 제공한다"고 가세했다. NBC는 또 "풍력과 태양에너지 등은 '간헐적' 에너지원으로, 날씨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고 하루 내내 전력을 생산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아질수록 전력 공급의 안전성은 떨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번 혹한으로 텍사스주의 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4만5000MW의 전력 공급이 줄었다. 평소 전체 발전량의 33%를 담당하는 풍력발전소는 모조리 멈췄다. 반면 3기에 불과한 원전이 풀가동함으로써 주 전체의 블랙아웃을 막을 수 있었다.
지난 1월초 한파가 몰아쳤던 우리나라에서도 2주 동안 전력소비 피크 시간대에 전체 발전량에서 태양광과 풍력이 차지한 비중은 1% 남짓이었다. 풍력과 태양광발전소가 필요한 때에 전력을 생산하지 못한 것은 텍사스나 우리나 마찬가지였다. 태양광과 풍력 등의 자연 에너지원에 의존하는 것은 비가 와야 농사를 짓는 원시적인 천수답 농법과 다를 바 없다. 전세계에서 하루가 멀다하고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텍사스와 같은 기후재앙이 우리나라를 피해가지는 않을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공약이라는 이유로 탈 원전의 페달에서 발을 떼지 않은 채 신재생에너지만 쳐다보고 있다.
◆ "기후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는 원전이 필요하다"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는 최근 '기후 재앙을 피하는 법'이라는 저서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기후 변화를 '재앙'으로 표현하면서, 인류의 큰 위기로 규정했다. 그는 "향후 30년이 온실가스 배출을 제거해 지구를 살릴 수 있는 시한"이라면서 '온실가스 배출제로'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2050년이 데드라인이다.
무엇보다 원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빌 게이츠가 "원전은 밤낮과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다른 청정 에너지원과도 비교할 수 없다"고 말을 해 세상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그는 "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차세대 원전"이라며 실제 개발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원전과 핵융합, 해상풍력, 지열 등 4가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세계적으로 전력 생산을 지금보다 2.5배 늘려야 한다는 것이 빌 게이츠의 주장이다. 어느 특정 에너지원만으로는 탄소배출 제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 문재인 대통령에게 원전의 의미는 무엇일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182040005&code=970201
텍사스 ‘한파 정전’에 불붙은 ‘그린 뉴딜’ 공방 (경향, 이효상 기자, 2021.02.18 20:40)
120만가구 여전히 전력 끊겨
공화 “풍력발전 멈춰 치명”
실제 수요 화력발전이 60%
민주 “기후변화, 본말전도”
미국 텍사스주의 대규모 ‘블랙아웃(정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면서 미국 정가에서는 그 원인과 책임을 둘러싼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공화당은 텍사스의 풍력발전소 가동 중단을 빌미로 조 바이든 행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걸고 넘어졌다. 민주당과 기후변화 연구자들은 이들 주장이 사실관계를 오인한 데다, 본말이 전도됐다며 일축했다.
텍사스주 전력망을 관리하는 텍사스전기신뢰위원회(ERCT)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16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8GW(기가와트)의 전력을 복구했지만 여전히 120만가구는 정전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평균 가구 규모를 기준으로 추산하면 360만명은 여전히 전력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뉴욕타임스는 지난주부터 미국 중부 전역에 기록적인 한파가 이어지며 최소 3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텍사스주는 평년 기온을 훨씬 밑도는 이상 혹한에 전력 공급까지 차질을 빚으며 지난 14일부터 순환 정전에 들어갔다. 석탄·가스 화력발전소부터 풍력·태양광발전소까지 전원 종류에 관계없이 대부분 발전소가 가동을 멈췄기 때문이다.
공화당 소속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가 바이든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때리며 선공에 나섰다. 그린 뉴딜 정책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소 등을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순차적으로 대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애벗 주지사는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풍력발전소 가동 중단을 언급하며 “그린 뉴딜이 얼마나 치명적인 거래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했다. 또 “여름에 냉방을 하고 겨울에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텍사스뿐 아니라 다른 주에도 화석연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도 했다.
그러나 텍사스의 블랙아웃에는 풍력발전소보다 화력발전소의 생산 차질이 보다 큰 영향을 끼쳤다. ERCT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텍사스 지역에서 가동이 중단된 발전소의 발전용량을 모두 합치면 43GW에 이른다. 이는 86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이 중 석탄·가스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발전용량 손실이 26.5GW로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날개나 전지판이 얼어붙어 가동이 중단된 풍력·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용량은 17GW로 이보다 적었다. 게다가 당초 텍사스는 겨울철 전력피크 때 전체 전력수요의 10%가량만을 풍력에너지로 공급할 계획이었다.
이상기후가 예견됐음에도 미리 대처하지 못한 텍사스주 정부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텍사스주는 2011년에도 이상기후로 인한 전력공급 차질을 경험했다. 하지만 더운 날씨에 맞춰 설계된 발전설비를 교체하지 않았다. 이번 혹한에도 설비 다수는 영하의 기온을 견디지 못하고 가동을 멈췄다. 다른 주와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전력망도 원인이 됐다. 평상시에는 연방정부의 조사를 덜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지만, 지금 같은 유사시에는 주변 주로부터 전력을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 소속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의원은 트위터에 “애벗 주지사는 TV에서 손가락질할 게 아니라 사람들을 돕기 시작해야 한다”며 “자신의 주의 에너지 공급에 관한 책을 읽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극단적 기상현상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징후인 만큼 바이든 행정부가 이번 블랙아웃을 기후변화 대응의 시급성을 강조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북극의 온난화로 인한 극소용돌이의 이례적인 남하가 남부 텍사스의 기록적 한파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바이든 정부의 녹색경제 사업에는 추가 송전선 설치 및 전력 저장시설 설치, 전선의 지중화, 전력망 개선을 위한 예산이 포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1/02/18/M26BPZJQYVARRLDWL6RCGXNSZE
美 최대 에너지 생산 텍사스, 왜 한파에 덜덜 떠는 신세 됐나 (조선일보, 이철민 선임기자, 2021.02.18 21:15)
◇풍력·천연가스관·석탄 발전 모두 내한(耐寒) 장치 없어
텍사스 주 발전량의 23%는 풍력이 차지한다. 이 풍력 터빈과 부속부품 대부분이 이번 한파로 얼어붙었다. 그래서 미 공화당 주지사인 그렉 에보트는 기자회견에서 “풍력·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재앙을 불렀다”며, 화석연료의 확대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진짜 원인을 빗나간 지적이다. 텍사스보다 겨울이 추운 덴마크나 아이오와 주는 오히려 더 많은 비율의 전력을 풍력에서 얻는다.
텍사스는 기본적으로 겨울에도 미국 다른 주에 비해 덜 춥다 보니, 풍력 터빈은 물론 천연가스·석탄 발전기에도 고(高)비용이 들어가는 내한·동결 방지 장치를 갖추지 않았다. 정상적인 겨울 기온에선 합리적인 결정이었지만, 1933년에 이어 근 90년만에 몰아친 기록적인 한파엔 모두 타격을 입었다. 에보트 주지사도 트위터에 “전력 기업들의 동결된 발전시설에선 천연가스·석탄 발전시설이 포함되며, 모든 종류의 전력 원천이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했다. 텍사스에서 천연가스 발전 비중은 전체 전력량의 40%, 석탄은 18%로, 겨울철 풍력 발전(7%)보다 크다. 라이스대의 환경공학 교수인 댄 코헌은 “전력 책임자들이 풍력 과잉 의존을 탓하는 것은 책임을 피하려는 핑계”라고 말했다. 프린스턴대의 에너지 정책 교수인 제시 젠킨스는 “지역마다 극단적인 조건을 고려해 전력 수급계획을 세워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하는데, 이런 내한 장치는 발전시설의 비용을 높이게 된다”고 말했다.
◇텍사스는 북미 대륙 전체 전력망과 연결 없어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텍사스의 전력망(ERCOT·텍사스전기신뢰성위원회)이 긴급 상황 시 주간(州間)간 전력 거래를 근본적으로 할 수 없는 자급자족형 폐쇄 전력망이라는 점이다. 이는 텍사스가 의도한 것이었다. 캐나다·미국을 이루는 북미대륙의 전력망은 로키 산맥을 기준으로 캐나다 동부에서 플로리다까지 연결된 동부와, 캐나다 서부에서 멕시코의 바자 캘리포니아까지 연결된 서부 연결(Western Interconnection) 전력망으로 나뉜다. 각 전력망에 속한 발전기업들은 전력을 사고 팔 수 있고, 위기 시 공동 대응할 수 있다. 텍사스는 예외다.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텍사스도 주의 남북으로 갈라진 전력망은 연결했지만, 2개 시간대가 존재할 만큼 광활한 텍사스로선 생산된 다양한 에너지를 수요할 시장이 자체적으로 존재해 연방정부의 에너지 규제·관리를 거부한 것이다. 라이스대의 에너지·기술·환경 분야 교수인 줄리 A 콘은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텍사스 전력망은 지난 수십 년간 잘 작동했다. 미 동부가 1965년, 1977년, 2003년 순차적인 정전 사태를 맞았을 때에도, 텍사스 전력망을 규제하는 ERCOT는 자체 계획에 따라 이를 피할 수 있었고 재생에너지 투자도 활발히 진행할 수 있었다”고 평했다. 그러나 지금 같은 때에서 동부와 서부의 광대한 전력 연결망에서 전기를 수입할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됐고, 결국 단절의 대가를 치르고 있다는 것이다.

https://www.news1.kr/articles/?4216599
백악관, '텍사스 비극' 원인에 "기후변화 탓"...'그린뉴딜' 의지(상보)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최서윤 기자 | 2021-02-19 08:21)
미국 백악관은 18일(현지시간) 텍사스 등을 강타 중인 이번 한파는 극단적인 기상현상으로, 기후변화가 이를 촉발하고 있지만 우리가 제대로 준비돼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밝혔다. 엘리자베스 셔우드랜달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이날 기자들과 가진 화상 브리핑에서 "텍사스 등을 강타 중인 이번 폭풍으로 백만 명 이상이 여전히 정전을 겪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셔우드랜달 보좌관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난방과 제대로 된 물 공급이 끊긴 상태에서 추위에 떨게 된 이번 폭풍으로 미국의 인프라가 취약하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인프라를 강화해 앞으로 우리가 직면할 도전에 충분히 준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민주당의 기후변화 어젠다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그린뉴딜'이 '일자리 킬러'라며 반대해온 공화당 지도부를 압박했다.
미국에선 한파 피해가 예상보다 장기화하고 심각해지면서 이번 사태의 책임공방이 한창 진행됐다. 블룸버그는 "미국 에너지 산업의 수도인 텍사스를 강타한 혹한은 기후변화로 예측 불가능한 날씨에 직면한 세계를 상징한다”고 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혹한이 미국 최대 유전지역 텍사스를 덮친 것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텍사스주가 친환경 풍력발전의 비중을 늘렸다가 겨울 추위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는 비난도 있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408
텍사스 정전, 재생에너지 탓 아니다 (이투뉴스, 조민영 기자, 2021.02.19 11:22)
가스관 얼어붙고 전통발전기 3분의 1 'OFF'
공화당 공세에 전문가들 "기후변화 문제"
미국 텍사스주를 강타한 눈 폭풍과 기록적인 한파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면서 논란도 가열되고 있다. 이번 정전의 원인이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기상에 큰 영향을 받는 발전원들의 공백 때문이 아니냐는 것이다. 하지만 현지 기관 조사와 전문가들은 기존 발전원의 공백이 주 원인이라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는 "텍사스주의 주력 에너지원인 천연가스가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준으로 공급되면서 빚어진 결과"라고 보도했다. 이상저온으로 가스관망이 얼어붙어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해석이다. 반면 보수 정치인들과 일부 미디어는 정전 사태의 원인을 재생에너지 탓으로 돌리며 정치적 공방에 불을 댕기고 있다.
당시 일부 풍력 발전기가 얼어 붙어 발전량이 평소보다 감소한 것을 놓고서다. 하지만 이후 전문가들과 기관의 분석에서는 천연가스 발전량이 예상보다 크게 급감하면서 대정전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에너지 컨설팅기업 브래틀 그룹의 샘 뉴웰 전력부장은 “풍력은 거의 예상된만큼 운영 공급됐다”고 밝혔다. 반면 보수성향의 <폭스뉴스>는 이번 정전 사태에 대해 가스공급 실패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연일 텍사스 풍력 발전 확대를 비난하는 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이와 관련 그레그 아봇 텍사스 주지사는 지역 방송사 와의 인터뷰에서 추위로 인해 천연가스 공급이 원할하지 못했던 점을 인정하면서도 <폭스뉴스> 방송에 출연해서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소가 운영을 중단했으며, 우리 전력망에서 누적 용량만 10%가 넘는다”며 “(재생에너지 의존이) 텍사스를 이런 상황까지 몰아넣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텍사스 정전사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전환에 대한 공화당과 민주당의 대립으로 양상이 확대되고 있다. 공화당은 캘리포니아 주가 지난 8월 폭염으로 인한 정전 사태를 겪었을 때도 민주당의 실책이라며 재생에너지 정책을 비난한 바 있다.
구체적 정전원인을 놓고 관련기관의 조사도 본격화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규제가 느슨한 전력망과 한파 예보에 대한 준비 부족을 정전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텍사스주는 동부나 서부 전력망과 연계하지 않고 독자적인 전력망을 구축했다. 다른 동부와 서부주들은 서로 전력망을 연결하고 있어 비상 시 서로 전기를 끌어다 쓰는 것이 가능하지만 텍사스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앞서 텍사스 전력위원회는 올겨울 풍력이 피크타임 동안 7070MW까지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위원회 일일 발전량 기록에 의하면 한파가 시작된 이후 텍사스 풍력발전은 피크 타임 동안 4415~8087MW를 생산했다. 반면 기저 전원의 공백은 훨씬 컸다. 텍사스주 발전량의 56%는 천연가스 발전소 몫이다. 나머지 24%를 풍력이, 석탄화력은 19%, 원전은 9%에 불과하다. 위원회는 이번 한파 기간 이들 기저전력이 약 30GW 가량 부족했다고 지역 뉴스보도 를 통해 밝혔다.
텍사스대학의 조슈아 로드 연구원은 “이들 전통발전소의 약 3분의 1이 아직 오프라인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천연가스정과 가스라인이 얼어붙고 천연가스 기반시설의 감압까지 문제가 많은데, 많은 가정집과 사업장들이 같은 시간대 많은 가스가 필요했던 것"이라며 "공급할 충분한 연료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로드 연구원은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자들의 지적을 받아들이는 것이 텍사스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상 이변과 같은 재난을 피할 수 있는 열쇠”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더 많은 날씨 변동성이 나타날 것이라고 과학은 말해주고 있다”면서 “텍사스에서 날씨 변동성이라 하면 더 뜨겁고 건조한 날씨를 떠올렸을 것이다. 그런데 상황은 완전히 반대”라고 덧붙였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914070004628?did=NA
꽁꽁 언 美텍사스...교민들 "이틀치 전기료 38만원" "변기물 눈 녹여 써" (한국일보, 손성원 기자 이은기 인턴기자, 2021.02.19 15:43)
최소 31명 사망...수백만명 단수에 식량난까지
세계 3대 원유 생산지 '에너지의 땅' 아이러니
공화당을 비롯한 보수 진영 측은 조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때문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연방 정부와 다른 독립된 전력 연계망을 유지해 왔던 주 정부를 향한 비난도 커지고 있다.
추위 피하려다 일산화탄소 중독 사망자 발생
18일 텍사스 교민이라고 밝힌 누리꾼 A씨는 "지역 전기회사 중 한 곳이 전기 요금을 1㎾당 45센트에서 8달러로 올려 전기요금 폭탄을 맞은 가구가 많다"며 "(이용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 회사로 바꾸려고 해도 우선 청구된 요금이 이틀 만에 무려 38만원"이라고 호소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탓" VS "석유만 믿고 대비 안 한 탓"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 얼어붙으면서 난국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ERCOT는 16일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발전에서 가동 중단으로 손실된 전력이 30GW이고, 풍력 발전을 포함한 재생에너지의 손실은 16GW로 절반 정도였다고 밝혔다. 특히 텍사스의 이번 에너지 재난사태는 갑작스런 에너지 공급 차질에 대비한 전력연계망을 갖추지 않은 결과라는 비판도 나온다.
평소 텍사스가 자신들은 에너지 수급이 충분한다는 이유로 다른 주들과 전력 거래를 할 수 없도록 폐쇄 전력망 체계를 유지한 것이 독이 됐다는 전문가 평가도 나왔다. 평상시에는 연방 정부의 조사를 덜 받고 원하는 대로 전력망을 운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지만, 지금과 같은 비상 사태에는 주변에 있는 주로부터 전력을 끌어오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1101067
[뉴스하이킥] "텍사스, 이젠 전기가 아니라 수도가 문제.. 현지 상황은" (MBC 라디오, 표창원의 뉴스하이킥, 2021.02.19. 오후 7:23)
- 텍사스 최강 한파로 영하 10도, 집 앞엔 30cm 눈 쌓여
- 일산화탄소 중독과 화재사고로 최소 30명 이상 사망
- 전기 끊겨 난방과 전자기기 모두 사용 불가, 옷 껴입으며 버텼다
- 전력 민영화가 정전의 원인, 한파 대비 제안됐지만 말 듣지 않았다
- 정수 시설도 끊겨 물 끓여 먹어야 안전.. 며칠 동안 지속될 것
- 길 얼어 어렵게 슈퍼마켓 가도 고기, 우유, 달걀 구하지도 못해
■ 출연자 : 달라스 교민 김지영 씨
☏ 김지영 > 텍사스는 여기 한겨울이어도 한 10도 따뜻하면 20도 정도까지 섭씨 기준으로 그 정도까지 올라가는 지역이고요. 눈도 1년에 한 번 정도 아주 조금 내리는 정도고요. 하지만 이번에는 영하 10도를 훌쩍 더 내려갔죠. 아주아주 추웠었습니다. 저희 집 앞에 눈도 30cm 가량 쌓였었고요..
☏ 진행자 > 저희가 외신으로 듣기에 이번 한파 때문에 텍사스에서만 최소 30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런 뉴스를 들었거든요. 아무리 추워도 그렇지 선진국 미국인데 이렇게 많이 사망자가 나오는 이유가 뭡니까?
☏ 김지영 > 아무래도 가장 큰 이유는 단전 때문인 것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데요. 저희가 핸드폰이라든지 기기사용이 많잖아요. 춥고 그러니까 사람들이 자동차 시동을 걸어놓고 핸드폰을 충전한다든지 아니면 따뜻하게 하려고 걸어놓은 차에서 나오는 매연이 집으로 스며들어서 일산화탄소 중독이 많았고요. 집안에서 프로판가스를 사용하면 안 되는데 사용한다든지 이렇게 해서 일어난 화재사고도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소화기가 얼어서 제때 불을 끄지 못하는 그런 경우들도 생겼었습니다.
저희 집도 이틀 정도 동안은 거의 전기가 들어오지 않았어요. 왜냐하면 저희가 난방 같은 경우는 가스로 작동됨에도 불구하고 스위치는 전기스위치거든요. 그래서 난방할 수가 없었고요. 그래서 아이들은 옷을 여러 겹 입히고 그리고 잠깐 전기가 들어오면 인터넷 확인하고 다른 지역은 어떻게 지내는지 확인하고 핸드폰 충전해놓고요. 그리고 전기가 안 되기 때문에 조리기구 세탁기 이런 것들 일절 사용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전력중단으로 인한 문제도 굉장히 많았고요.
☏ 진행자 > 그런데 이번에 아무리 추웠다고 하지만 전력이 끊겼다, 공급이 중단됐다 하는 부분이 너무 놀라웠는데요. 현지에서 파악하신 전력이 끊긴 이유 무엇입니까?
☏ 김지영 > 텍사스의 특징으로는 굉장히 민영화된 시장을 갖고 있는 주이기도 해요. 그래서 우리 핸드폰 회사 고르듯이 핸드폰 플랜 고르듯이 전기회사도 자기 구매에 맞게 플랜들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저희가 표면적으로 한파 때문에 전기생산 장비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서 정전 사태가 난 것으로 이렇게 나타나고 있지만 정말 그 안을 들여다보면 텍사스 전기 생산시스템에 문제가 가장 컸던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텍사스가 연방 규제를 받지 않기 위해서 미국 주들 전체에서 유일하게 자기 독자적 운영체계를 갖고 있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그 전부터 연방정부에서는 한파대비를 하라고 여러 번 권유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듣지 않았고요. 그리고 한파가 생겼을 때 타주에서 전기를 공급 받을 수가 없었던 상황이었던 거죠.
대표적으로 텍사스주 엘패소 같은 경우는 한파를 겪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그 도시만큼은 텍사스 운영체계에 있지 않았어요. 그 도시는 정전사태를 겪지 않았던 것만을 보더라도 이번 대규모 정전사태가 참 준비만 잘했더라면 이 정도까지 심각하지 않았던 것을 한 번 반추해볼 수 있는 계기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진행자 > 텍사스가 워낙 전기 생산량이 많다 보니까 연방체계에도 안 들어가 있고 동부전력 서로 상호교환교류체계에도 안 들어 있고 서부체계에도 안 들어가 있고 그래서 남한테 주지도 않지만 받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보니까 이번에 크게 예상외 난리가 났을 때 전혀 다른 곳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못 받는 섬 같은 상황이 됐다, 이 말씀이잖아요. 거기다 과거에 80년대하고 2011년이었죠. 텍사스 한파가 있었고 당시 연방정부에서는 텍사스에도 혹시 한파가 닥칠 수 있으니 추울 때를 대비해서 전력생산에 차질 없도록 대비하라고 했는데 그 말 안 들었다는 말씀이죠?
☏ 김지영 > 예, 맞습니다.
☏ 김지영 > , 특히 여기 근방에 포트워스 지역 같은 경우 정수 시설이 마비가 되기 때문에 모든 물을 끓여서 사용하라는 명령이 내려 졌고 포트워스뿐만 아니라 텍사스 수도인 오스틴 지역, 샌안토니오 지역까지 굉장히 많은 지역이 물을 끓여서 사용할 것을 명령을 받은 상태입니다.
☏ 진행자 > 정수 시설이 제대로 안 돌아가니까 수돗물을 그냥 드시면 큰일나는 상황인 거군요. 저희가 지금 언론에 접하는 것도 말씀해주신 텍사스 주도 오스틴 시장이 상황이 심각하다면서 물 한방울이라도 쓸데 없는 데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이야기하기까지 했다는데 현재 수돗물의 어려운 상황은 언제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까?
☏ 김지영 > 정확한 날짜는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요. 텍사스주 시장은 절수가 시급한 상황임을 강조하면서 이것은 단순하게 몇시간 단위가 아니라 며칠 단위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단단히 준비할 것을 촉구했었습니다.
☏ 진행자 > 단단히 준비하라, 마음만 단단하다고 될 것 같지 않은데 지금 설명 듣다 보니까 전기도 끊기고 식수 물도 문제가 생기고요. 이런 상황에서 그야말로 강추위 속에 사투를 벌이고 계신다 느낌이 드는데 먹는 것 식품 식량은 조달이 되고 있습니까?
☏ 김지영 > 슈퍼마켓도 난리입니다. 어렵게 운전해서 마켓까지 가도 필수 고기 우유 달걀 빵 같은 건 구할 수가 없고요. 정전 사태가 유제품 생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해요. 그런 쪽으로 계속 어렵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지영 > 이번 주 같은 경우는 거의 일주일 동안 거의 대부분의 학교가 달라스 다 학교를 열지 않는다고 발표했고요. 온라인 수업과 대면수업 비대면 수업 모두 포함해서 전혀 수업을 하지 않았고요. 최근에 나오고 있는 이야기들이 동파 피해를 입은 학교 또한 많다고 해요. 영상 기온을 회복하고 나면 동파 피해 규모를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이렇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 진행자 > 그나마 코로나19 때는 온라인 교육이라도 됐는데 지금은 선생님들도 학교 못가시니까 아예 온라인도 안 되고 아무런 교육이 이뤄지지 못한다 이런 말씀이고 학교에 동파 피해도 심하다는 말씀이신데 지금 교민들께서는 달라스에 몇 분 정도 살고 계시죠?
☏ 김지영 > 달라스 교민이 상당히 큽니다. 14만 분 정도가 살고 계시는데 대부분 유학생과 도넛가게나 이동통신이나 음식점 같은 그런 매장을 하시는 소상공인들이세요. 사실 코로나19 이후로 사실 피해가 크죠. 그런데 이번에 한파로 매장도 일주일 동안 못 열고 계셔서 엎친데 덮친 격으로 그런 어려움들을 겪고 있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1013000075?input=1195m
미 텍사스 한파에 1천800만원 전기요금 폭탄 고지서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2021-02-21 09:40)
변동요금제 전기료 폭등…방 3개 집에도 1천만원대 요금
폭스뉴스는 20일(현지시간) 겨울 폭풍에 따른 전기요금 급등으로 텍사스주 일부 주민들이 터무니없이 치솟은 고지서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텍사스주 알링턴에 거주하는 타이 윌리엄스는 정전 사태를 다행히 비껴갔지만, 이번 달 1만7천달러(1천881만원)에 달하는 전기 요금 청구서를 받았다.
한파 사태에 앞서 그가 평소 집과 게스트하우스, 사무실을 합쳐 매달 평균 지출한 전기요금은 660달러(73만원)였다. 그는 "겨울 폭풍 기간에 전기를 절약하려고 노력했다"면서 "세상에 누가 이런 요금을 낼 수 있나. 절대 말이 안 된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댈러스 인근에서 방 3개짜리 집에 사는 로이스 피어스 부부도 최근 급등한 전기 요금에 입을 다물지 못했다. 한파 기간 난방에 따른 전기 요금이 1만달러(1천100만원)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댈러스 주민 디안드레 업쇼도 7천달러(774만원)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고 충격을 받았다고 호소했다. 홀텀시티 주민 호세 델 리오는 팔려고 비워둔 방 2개짜리 집에 수도관 동파를 막기 위해 난방기를 켰다가 3천달러(331만원)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았다. 리오가 평소 낸 전기 요금은 한 달에 125∼150달러(13만∼16만원) 수준이었다.
거액의 전기요금 청구서를 받은 주민들은 모두 변동 요금제가 적용되는 '그리디'라는 도매 전력업체 고객이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 요금제는 전기수급 상황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텍사스주는 평소에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해 메가와트시(㎿h)당 평균 요금이 50달러(5달러)로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기록적인 한파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고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할 정도로 전력 공급이 달리자 도매가격은 메가와트시당 9천달러(995만원)까지 치솟았다.
그리디는 가격 폭등에 따라 고객에게 고정 요금제가 적용되는 다른 전력 서비스로 갈아탈 것을 안내했다고 해명했지만, 한파와 정전 대란 속에서 서비스 업체를 바꾸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었다.
폭탄 요금에 따른 민원이 빗발치자 텍사스주 당국은 조사에 착수했다. 그레그 애벗 주지사는 "한파로 고통을 겪은 주민들이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타격을 받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https://www.facebook.com/leesongheeil/posts/5071890212886157
텍사스 한파에 따른 전력난 단상 (@희일이송, 2021년 2월 21일 일요일 오전 11:01)
텍사스 한파에 따른 전력난. 그 영향은 가공할 만한 거였다. 전역이 꽁꽁 얼음지옥이 됐고, 60여명이 얼어 죽었다. 하지만 엊그제 텍사스 한 천연가스 사장의 발언이 구설수에 올랐다. 이번 한파 때문에 천연가스 가격이 '잭팟을 터뜨린 것처럼' 수직 상승해서 많이 기쁘다는 발언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분노했다. 로버트 라이시는 '인간의 고통을 찜쪄먹는 저 억만장자들은 단순히 버그가 아니라, 조작된 시스템의 초상이다'고 일갈했다. 지금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는데, 돈 많이 벌게 생겼다고 쳐웃고 있는 게 자본주의 종특이라는 것이다.
미국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41%, 천연가스의 25%, 미국 전체 풍력 발전량의 28%가 텍사스에서 생산된다. 이번 한파에 텍사스에 전력이 끊기자 폭스를 비롯한 보수 언론과 공화당 의원들이 먼저 포문을 열었다. 풍력발전기 터빈이 꽁꽁 얼어붙어서 이 사단이 났다는 것이다. 그러자 민주당과 재생에너지 옹호자들이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며 반발했다. 텍사스에서 천연가스 발전 비중은 전체 전력량의 40%로, 풍력 발전(7%)보다 훨씬 크다. 천연가스 공급망이 꽁꽁 얼어붙어 이 난리가 터졌다고 응수했다.
물론 타당성만 따지면 재생에너지 옹호론자들의 주장이 옳다. 전세계에 화석연료 자본이 가장 많이 집적된 곳이 텍사스다. 저 티파티 악당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여기 화석연료 자본들로부터 천문학적인 선거 후원금을 받는다. 다른 공화당 정치인들도 마찬가지다. 공고한 화석연료 카르텔이 작동되는 곳이 텍사스. 자기 지역에 역사적 한파가 몰려왔는데 태연하게 칸쿤으로 가족 여행을 떠났다가 몰매를 맞고 있는 테드 크루즈는 딱 그만큼 카르텔의 초상일 것이다.
그러나 화석연료 Vs 재생에너지 단순 대립은 이 사태의 기저에 놓인 근원적 원인을 감춘다. 각기 편을 나눠, 같은 얘기만 반복하고 있다. 각자 광고 클라이언트에 맞춰 텍사스 에너지 사태를 분석하고 있는 국내 언론들도, 자칭 재생에너지 전문 국회의원들이란 분들도 한심하긴 마찬가지. 아무리 숫자와 통계 들이대며 전문가연해봤자, 딱 그만큼 전문 바보일 뿐이다.
놓치고 있는 첫번째 원인은 에너지 생산-유통이 기후변화에 맞게 설계되었냐는 것. 덴마크도 풍력 생산을 많이 한다. 미국 아이오와주도 마찬가지다. 그렇다고 터빈이 얼어붙거나 전력망이 망가지지 않는다. 그 동네들은 항상 춥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설계되어 있다. 반면 텍사스는 한겨울에도 10도 이상이 통상적 기온이다. 이번 한파 같은 비상사태에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는 의미다.
작년 11월부터 지구 온도가 계속 널뛰기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저번 주에 베를린은 영화 20도였다가 이번 주는 영상 20도다. 한국도 저번 주는 한파였다가, 오늘 일요일은 20도를 넘나드는 뜨거운 봄이다. 다른 동네도 다 그렇다. 텍사스에 영화 투모로우가 재현될지 누가 예상이나 했겠나. 그냥 지구 기온이 미쳤다. 앞으로 이 낙차는 더 심화될 것이다. 요컨대, 에너지 생산과 유통 과정이 폭주하는 기온의 낙차에 맞춰 설계되지 않으면 앞으로 텍사스 에너지 사태는 지구적 일상이 될 것이다.
두 번째, '에너지 민영화 문제'. 제임스 딘 주연의 <자이언트>에서 다니엘 데이 루이스의 <데어 윌 비 블러드>까지 텍사스 원전을 배경으로 하는 헐리우드 고전영화들은 사실 텍사스 에너지 민영화 과정의 보고서이기도 하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경쟁적으로 채굴하는 과정에서 텍사스만큼 철저하게 에너지 산업이 민영화된 지역도 없을 것이다. 자신감이 넘쳤고, 닥치는 대로 사유화했다. 연방 에너지 정책과도 담을 쌓은 채, 텍사스는 그렇게 고립되어 있었다. 이번에 이 사태가 난 것도 다른 지역과 연료망이 단절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망이 없었다. 민영화로 설계된 텍사스 땅속의 그 누추한 실상이 적나라하게 폭로된 것이다.
텍사스 사태는 보다 중요한 질문을 재촉한다. 에너지 생산과 유통이 통채로 자본의 손아귀에 놓여져 있는데 절체절명의 기후위기에 과연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까? 급격한 기온 낙차에 맞춰 과연 과감한 설비 투자를 하며 예비할 수 있을까? 매일이 난리법석일 기후위기 속에서 과연 모두에게 에너지를 분배할 수 있을까? 즉, 에너지 기간 산업을 사회화하지 않으면 계속 이런 비극이 발생할 텐데, 과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텍사스 사태는 화석연료 vs 재생에너지 vs 원전 편으로 각기 진영을 나누고, 민영화를 통해 자본과 주식으로 에너지의 운명을 재편한 채 이루어지는 모든 그 지루한 담론이 얼마나 썩은 장작인지를 잘 예시해주고 있다.
에너지는 왜 생산하는가? 누굴 위해 생산하는가? 그러면 어떻게 생산해야 하는가? 밀양 싸움에는 가서 엉엉 울더니, 막상 석탄발전소가 아니라 산과 들과 염전을 싹 쓸어버리고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서울로 들여오기 위해 또다시 송전로를 놓고 공급망을 놓자고 태연히 말하는 자칭 환경운동가와 국회의원들 역시 저 근원의 질문들을 스스로 생략한 빌런들일 것이다. 입으로는 기후위기를 걱정하지만, 테슬라에 주식을 쳐넣고 '잭팟 터지길' 기다리는 사람들도 그 질문을 생략한 빌런들이다.
에너지 공공성을 사유하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이다.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983844.html
미 텍사스 ‘한파 정전’, 풍력 아닌 가스발전 중단 때문이었다 (한겨레, 이근영 기자, 2021-02-21 16:02)
가스발전 부족량, 타 전원 전체 부족량보다 커
극한 기상 전력대비책 부재가 주된 원인
전문가 “‘재생에너지 탓’ 지적은 잘못”
지난주 한파로 꽁꽁 얼어버린 미국 텍사스에서 가장 타격이 컸던 전력원은 재생에너지가 아니라 가스발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15일(현지시각) 북극발 한파가 텍사스를 강타해 470만 가구와 사무실에 전기와 난방이 끊기고 수십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텍사스주 발전소들이 눈 폭풍을 동반한 혹한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놓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들은 지적했다. 겨울철 텍사스 전력공급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가스와 석탄화력발전에서 2만9천㎿가 정전되고, 풍력발전에선 1만6천㎿가 끊겼다. 4기의 원전 가운데 1기도 멈췄다. 텍사스 전력원에서 2010년 전체의 40%를 차지하던 석탄화력발전은 지난해 18%로 줄어든 반면, 풍력발전은 23%까지 상승했다.
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78/imgdb/original/2021/0221/20210221501506.jpg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하자 그렉 애포트 텍사스주 주지사 등 보수정당 정치인들은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에 비난의 화살을 돌렸지만, 가장 타격이 심각했던 전원은 가스발전이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대니얼 코헌 휴스턴 라이스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모든 전력원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지만, 가스발전의 공급 부족량이 다른 전력원들의 부족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컸다”고 말했다.
대규모 정전 기간에 가스발전은 전력망에 다섯 차례 공급을 중단했으며, 가스발전 생산시설뿐만 아니라 가스수송 관로가 얼어버렸다. 일반 가정과 사무실의 난방용 가스 수요가 치솟아 가스공급 부족을 부채질한 데다, 비싸진 가스 가격에 이윤을 내지 못하자 가스발전사들이 발전소 가동을 중단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텍사스 주요 도시의 연평균기온은 미국 동부 도시들의 여름 평균기온과 맞먹는 20도 안팎에 이른다. 2019년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3.5도였다. 조수아 로드스 텍사스주립대 에너지공학연구소 연구위원은 “이번에 뼈저리게 느꼈지만, 그동안은 발전소의 방한 대비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라고 말했다.
텍사스의 전력시스템에는 극한 기상현상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 있지 않았다. 2014년 겨울 나이아가라폭포를 100여년 만에 얼린 한파가 닥쳤을 때 캐나다는 전력시스템 동결에 대한 보강에 나선 반면, 텍사스는 오히려 규제 완화에 나섰다. 또 텍사스에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연결망이 구축돼 있지 않았다.
이번 혹한으로 발전소들이 전력망에서 이탈하자마자 텍사스 안 전력 수요는 겨울철 상한치를 넘어서 여름철 혹서기 때의 수요와 거의 맞먹었다. 텍사스주 전력망을 감독하는 텍사스전력신뢰도위원회(ERCOT)는 “14일 최대 수요가 6만9천㎿에 이르러 비상계획의 최악 시나리오 범주를 넘어섰다”며 “전력시설의 장기적 피해를 막기 위해 즉시 강제정전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대규모 정전을 일으킨 2011년의 얼음 폭풍과 같은 조건이라면 겨울철 최대 전력 수요량이 주 전체에서 6만7천㎿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코헌 교수는 “주의 비상계획 예측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이번 혹한에 의한 대규모 정전의 규모, 특히 가스발전소의 정전 규모를 예측하는 데는 실패했다”며 “어떤 시나리오도 동시에 3만㎿의 전력이 정전되리라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노아)은 지난해 코로나19에 온 정신이 쏠려 있는 사이 미국에서 스물두 차례의 이상기상 현상이 발생해 10억달러 이상의 피해가 났으며, 이 가운데 16건은 기존 기록을 뛰어넘는 것들이었다고 밝혔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83823.html
한파 텍사스 1800만원 전기요금 ‘폭탄’…바이든, 중대재난 선포 (한겨레,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2021-02-22 02:33)
이재민 임시거처·저금리 대출 등
회복 중이나 6만명 정전·1400만명 수도 중단
텍사스 주민 1800만원 전기요금 고지서 받기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각) 이례적 한파로 대규모 정전 등 피해를 본 텍사스주에 중대재난 선포를 승인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미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등 겨울 폭풍으로 큰 피해를 본 남부 주들에 비상사태를 승인했으나, 이 중에 상황이 가장 안 좋은 텍사스는 중대재난 선포에 따라 연방정부로부터의 지원이 더 늘어난다. 텍사스의 254개 카운티 가운데 댈러스 등 77개 카운티에 연방 자금이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 거처 마련과 주택 수리 비용, 저금리 대출 등이 포함된다.
미국 남부에 위치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데다 미 최대 석유·가스 생산지인 텍사스는 지난주 눈보라와 함께 30년 만의 한파가 덮쳐 대규모 정전과 수도 공급 중단 사태를 겪고 있다. 발전소가 재가동되고 기온도 올라가고 있으나 회복까지는 시일이 더 필요하다. 전기 공급을 못 받은 주민이 한때 400만명에 이르렀다가 이후 복구됐으나 이날 현재 약 6만명 이상은 아직 정전 상태라고 <유에스에이 투데이>는 전했다. 텍사스 인구의 절반 이상인 1440만명 이상이 이날 오후까지도 수도 공급 중단을 겪었다. 이번 한파로 텍사스에서만 20명 이상을 포함해 미 전역에서 60여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초유의 한파로 전력 수요가 급증한 탓에 주민들은 터무니없는 전기요금 고지서에 또 충격을 받고 있다. 텍사스 알링턴에 사는 타이 윌리엄스는 이번 달 1만7000달러(1881만원)에 이르는 전기요금 청구서를 받았다고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그가 평소 집과 사무실 등을 합쳐 매달 내온 전기요금은 660달러(73만원)였다. 댈러스 주민 디안드레 업쇼도 7000달러(774만원)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았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성명을 내어 “한파로 전기나 난방 없이 고통을 겪은 주민들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에너지 비용으로 타격을 입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주 당국, 의회와 이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22208292896014
전기요금 1000만원 '텍사스 재앙'의 원인 민영화, 그리고 (프레시안, 전홍기혜 특파원 | 2021.02.22. 09:49:38)
[워싱턴 주간 브리핑] 전기 민영화, 기후위기 외면, 민생과 유리된 정치
텍사스에서만 450만 가구가 겪었던 대규모 정전 사태는 거의 복구가 됐지만,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폭탄'으로 주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전기가 차츰 복구되자 수백만 가구가 수도가 끊겨 고생을 하고 있다. 추위로 상수도 파이프가 터지거나 정수 처리장이 고장이 났기 때문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병원에서 물 부족으로 수술이 지연되면서 한 남성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의료시설의 물 부족 사태다. 또 눈과 추위로 인해 도로 사정이 열악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식료품 부족 사태도 발생하고 있다.
텍사스가 미국 남부지역으로 겨울에도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 드문 따뜻한 지역이었다는 사정을 감안한다고 해도 1주일의 한파와 폭설로 수십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수백만 가구가 단전, 단수로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힘든 재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텍사스의 수난을 불러온 주요 원인은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첫째, 전기 등 공공재에 대한 민영화, 둘째, 기후위기 대응책 미비, 셋째, 공화당 일색의 지역 정치가 야기한 민생과 유리된 정치의 문제 등이다.
1. 전기요금 1만불 고지서 받은 주민...민영화의 폐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텍사스
텍사스는 전력시장 민영화를 시행한 미국의 주 중 대표적인 사례였다. 텍사스주는 2002년 완전소매경쟁 체제를 도입했으며, 다른 지역과 달리 연방정부의 송전계통과 분리된 완전히 고립된 전력망을 갖고 있다.
이처럼 연방정부의 전력망 체제에 편입돼 있지 않는 것은 평소에는 연방정부로부터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편리할 수 있지만 이번 한파와 같이 비상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타 지역을 통한 전력 융통이 불가능하다. 텍사스주는 지난 2011년 한파가 몰아닥쳤을 때 연방정부로부터 전력 부족 사태에 대비하라는 지적을 받았지만 이를 무시했다.
전기 민영화로 인한 전력수급 불안정 문제는 어느정도 예상된 문제였다.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민영화로 인한 폐해로 전력 예비율이 목표치(13.45%)를 밑돌아 2014년 이후부터는 줄곧 한자리 숫자를 기록했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로 확인된 것은 민영화로 인한 '전기요금 폭탄'이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변동 요금제'가 적용되는 일부 업체(그리디)에서 이번 사태로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시간당 전기요금을 1메가와트(MW) 당 50달러에서 9000달러로 올리면서 방 3개짜리 가정집에 전기요금이 1만 달러(약 1100만 원)이 부과되기도 했다고 NBC가 보도했다. 특히 이 업체는 항의하는 주민들에게 '다른 업체로 바꾸라'면서 전혀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대응해 문제를 키웠다. 그렉 애벗 주지사는 19일 "한파로 고통을 겪은 주민들이 높은 전기요금으로 타격 받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관련 조사와 대응책 마련을 약속하기도 했다. 그러나 신용카드 등을 통한 자동 납부 시스템을 이용하는 많은 주민들이 이미 수백, 수천만원 상당의 전기요금을 납부한 상태라고 NBC는 21일 보도했다.
2. "기후변화가 사기"라더니...텍사스의 '재앙'은 전국적 문제다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가 당장 눈앞에 닥친 문제이며, 텍사스만이 아니라 미국 전역이 이런 위기에 전혀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도 이번 사태로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 재해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발생했다. 지난 2018년 이후 거의 매년 여름 캘리포니아주 등 서부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 기후변화를 "사기"라고 주장하던 트럼프 정부는 4년 동안 이 문제를 등한시해왔다.
후임인 바이든 정부는 기후변화를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았다. 2004년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을 기후변화 특사로 임명하는 등 위기 의식을 갖고 있음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이 우려하는 기후변화의 '속도'와 정치적 대응 '속도'의 차이는 여전하다.
게다가 트럼프로 대표되는 극우세력들은 아무런 근거 없이 이번 정전 사태가 재생에너지 사업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나서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텍사스주 농업담당 커미셔너인 시드 밀러는 16일 페이스북에 "텍사스에서 추가로 풍력 발전 터빈을 세워서는 안 된다"고 글을 올렸고, 로렌 보버트 하원의원(공화당, 콜로라도)은 정전 사태의 원인이 '그린 뉴딜'에 있다고 주장했다. <폭스뉴스> 터커 칼슨 앵커도 이번 사태의 책임을 재생에너지에 전가하면서 풍력 발전에 대해 "믿을 수 없다"고 가세했다.
그러나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는 16일 기자회견에서 정전사태의 주요 원인이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에 있다고 밝혔다. 텍사스주에서 생산된 전력 가운데 75%가 가스, 석탄, 원자력 발전에 따른 것이며, 나머지가 재생에너지라고 이들은 지적했다. 그러나 트럼프 추종 극우세력들은 "과학을 믿지 않기" 때문에 이런 객관적인 팩트가 소모적인 논쟁을 줄이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의문이다.
특히 텍사스의 정전과 단수사태가 보여주는 것은 기후변화로 인해 강도가 높아진 자연재해를 노후된 기반시설이 감당하지 못해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기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뉴욕타임스>는 20일 “기후변화는 더 빈번하고 격렬한 폭풍, 홍수, 폭염, 산불 등 극단적인 사건들을 야기하면서 나라 경제 기반시설에 점점 더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며 도로, 철도, 상하수도, 발전소, 산업 폐기물 처리 시설 등 노후된 기반시설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바마 정부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기후위기 계획을 총괄했던 앨리스 힐은 이 언론과 인터뷰에서 "우리는 극단적 미래와 충돌하고 있다"며 "리스크 관리에 대한 모든 지침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안전한 지침이 아니“라며 기후변화에 대한 대비가 시급함을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는 특히 수십년 전에 지어진 미국 전역의 9만 개의 댐, 60여 개의 핵발전소 등이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 언론은 핵발전소의 90%가 한계를 초과하는 폭우와 폭설에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는 핵발전소가 자연재해에 안전하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고 밝혔지만, 기후변화 전문가들은 과거의 안전 점검이 2021년에도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노후 기반시설을 재정비하기 위해선 의회에서 천문학적인 수준의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데, 앞서 지적한 것처럼 공화당 내 극우세력들은 기후변화 자체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양당간 힘겨루기가 불가피하다.
3. 공화당 대선주자급 크루즈 상원의원, 한파에 칸쿤 놀러갔다가 거센 비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와 고통은 경제적 약자에게 집중된다. 텍사스주 상원의원인 테드 크루즈(공화당) 의원이 이번 한파에 추위와 정전 등 재난을 피해 멕시코 칸쿤으로 휴가를 떠난 사실은 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때도 뉴욕의 부유층은 코로나19가 창궐하는 뉴욕 시내를 떠나 교외나 해외의 별장에서 안전하게 지내는 반면 저소득층은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을 직면해야 했던 사례에서도 확인됐다.
텍사스주는 미국의 대표적인 공화당 지역(레드 스테이트)이다. 2020년 대선 때도 트럼프가 바이든을 상대로 이긴 지역 중 하나다. 연방 상원의원 2명이 모두 공화당이며, 연방 하원의원(35명)도 다수가 공화당 의원(22명)이다. 연방 의원들만이 아니다 주정부(애벗 주지사)도 공화당이며, 주의회도 공화당이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다.
공화당은 민영화, 기후위기가 야기하는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또 미국식 양당제에서 어느 한 지역의 정치 권력을 특정 정당이 독식하는 현상은 텍사스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지만, 이는 지역에서 정치 권력에 대한 견제와 감시가 허술해진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정치적 양극화가 극심한 미국에서 이번에 실기한 크루즈 의원이 과연 다음 선거 때 심판을 받을지는 의문이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222601006
겨울폭풍 美 텍사스 11살 소년 동사…전기회사 상대 1100억대 소송 (서울신문, 권윤희 기자, 2021.02.22 13:19)
미국 텍사스주에서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11살 소년의 부모가 전기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2일(현지시간) ABC뉴스는 전기가 끊긴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된 크리스티안 파본 피네다(11)의 유족이 전력회사 두 곳을 상대로 1억 달러(약 1105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다고 보도했다.
겨울폭풍으로 미국 남부에 혹독한 한파가 휘몰아쳤던 지난 16일, 텍사스주 콘로 지역의 한 이동식 주택에서 11살 소년이 사망했다. 3살 동생과 한 침대에서 이불 여러 개를 덮고 잠이 든 소년은 이날 아침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됐다. 난방 수요 폭증으로 발전소들이 잇따라 멈추면서 전기가 끊긴 탓이다. 소년의 어머니는 “2년 전 함께 미국으로 건너왔다. 죽기 전날 처음으로 눈 구경을 한 건강한 아이였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전기만 제대로 공급됐어도 이런 일은 없었을 거라고 하소연한 것.
어머니는 텍사스주 전력망 사업자인 전기신뢰도위원회(ERCOT)와 미국 대형 전기가스공급회사 ‘엔터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전력회사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물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어머니는 제퍼슨카운티지방법원에 접수한 소송장에 “최소 일주일 전부터 악천후가 예상됐고, 과거 비슷한 상황을 겪었음에도 10년이 넘도록 위급상황에 대처할 준비를 전혀 하지 않았다. 위기를 모면할 그 어떤 선제적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명시했다. 유족 측 소송 대리인은 “전기회사가 정전 기간을 제대로 알리지 않은 탓에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 등 정전 대비를 하지 못했다. 정확한 정보만 있었어도 어린 생명을 구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ERCOT와 엔터지 측 모두 피해보상에 대한 구체적 논평은 피한 채 “인명피해에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부검 결과에 따른 소년의 공식 사인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텍사스주는 2011년에도 이상 기후로 전력 공급에 애를 먹은 바 있다. 하지만 천연가스에 의존하며 혹한에 대비한 전력 공급 방안을 제대로 준비하지 않았다. 결과는 참담했다. 재난급 한파와 난방 수요 폭증으로 발전소들이 잇따라 가동을 멈췄고, 텍사스주 450만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었다. 난방이 끊긴 집에서 주민들은 울타리를 뜯어 불을 피우고, 담요를 겹겹이 두른 채 뜬눈으로 밤을 지새워야했다.
폭탄급 요금 고지서도 뒤따랐다. 20일 폭스뉴스는 전기요금 급등으로 텍사스주 일부 주민들이 터무니없이 치솟은 고지서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텍사스주 알링턴에 거주하는 타이 윌리엄스는 정전 사태를 다행히 비껴갔지만, 이번 달 1만7000달러(약 1881만 원)에 달하는 전기 요금 청구서를 받았다. 한파 사태에 앞서 그가 평소 집과 게스트하우스, 사무실을 합쳐 매달 평균 지출한 전기요금은 660달러(73만원)였다.
거액의 전기요금 청구서를 받은 주민들은 모두 변동 요금제가 적용되는 ‘그리디’라는 도매 전력업체 고객이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폭탄 요금에 대한 민원이 빗발치자 텍사스주 당국은 조사에 착수했다. 그레그 애벗 주지사는 “한파로 고통을 겪은 주민들이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타격을 받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일련의 정전 사태에 대해 ERCOT 측은 “주 전체의 정전을 피하기 위해 긴급 순환 단전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확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텍사스주 전력은 대부분 복구됐다. 하지만 여전히 순환 단전이 진행 중이다. 미국의 정전 피해를 집계하는 웹사이트 파워아우티지(poweroutage.us)에 따르면 2만여 가구가 여전히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613973162212903002
전력산업 전환 앞둔 우리나라에 숙제 던진 ‘텍사스 대정전’ (전기신문 유희덕 기자, 2021년 02월 22일(월) 14:52)
독립된 계통서 재생E 증가, 대정전 위험 UP…계통 유연성 확보 절실
일부 정치권 민간중심 시장 자유화 요구, 변동성 큰 요금 등 대책 필요
텍사스의 대규모 정전이 변화를 앞둔 국내 전력산업에 적잖은 파장을 미치고 있다. 2001년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후 에너지전환에 맞춰 구조개편을 이어가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한파에 따른 텍사스의 대규모 정전과 천정부지로 치솟은 전기요금은 민간의 참여 확대를 논의하는 현재 우리나라 전력산업구조의 방향 설정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텍사스의 정전에 대한 정략적 이용보다는 보다 정확한 원인을 찾아 이상기후 등 예상치 못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대응력을 키우는 것이 텍사스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텍사스 대규모 정전의 원인은 기후변화다. 예상치 못한 추위가 정전의 첫 번째 원인이다. 이달 중순 선 벨트라 불리는 미국 남부지방의 온도가 영하 20°C 미만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알래스카 페어뱅크스의 영하 16도보다 더 낮은 믿기지 않는 일이 벌어졌다. 미국에서 따뜻한 지방으로 손꼽히는 텍사스가 미국에서 가장 추운 알래스카보다 더 추웠던 것이다.
겨울이라고 해도 최저기온이 5~ 10°C 사이였 던 게 당연했던 미국의 선 벨트들은 일제히 난리가 났다. 앨라배마, 오클라호마, 캔자스, 켄터키, 미시시피, 텍사스 그리고 선 벨트는 아니지만 역시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인 오리건까지 총 7개 주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겨울이 따뜻한 선벨트 지역은 여름철 냉방부하 중심으로 전력공급 계획을 세우는 것은 당연하다. 냉방수요가 많은 여름철에 발전소를 풀로 돌리고 선선한 겨울에는 발전기 줄인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이 뚜렷하기 때문에 석탄과 원자력 등 주요 기저부하 발전기들은 봄철과 가을철에 대규모 오버홀(계획예방정비)을 한다. 하지만 텍사스 등 미 남부지역은 이번 겨울에 이상기후에 따른 한파를 제대로 겪었다. 남부에서는 여태까지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역대급 폭설과 한파가 찾아온 것이다.
겨울철 의류란게 없는 사람들이 의지할 건 난방설비뿐이었으며 난방기가 각 가정은 물론 사무실, 공장에서 풀로 가동됐다. 우리나라가 2011년 9월에 겪은 순환정전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된다. 2011년 9월 15일 여름 하계수급 기간을 끝내고 여름철 내내 가동됐던 발전기들은 대규모로 오버홀에 들어갔다. 9월~11월 3개월간 정비를 마치고 겨울철 전력공급에 대비해 가동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1년 9월 15일에 기록적인 늦더위가 찾아왔다. 서울 기온이 31도까지 올라갔으며, 전국 적으로 폭염주의보가 발령됐다. 냉방부하가 급증하면서 예비전력이 급격하게 소진돼 전력당국은 전국 순환정전을 발표했다. 당시 전력공급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주요 원전들은 가동을 멈춰선 상태였으며, 석탄발전기 한 곳이 터빈이상으로 갑작스레 발전을 멈추면 연쇄적인 전력공급 부족 사태가 이어졌다.
◆텍사스, 규제 피하기 위한 독립계통이 오히려 역효과
텍사스의 전력망은 다른 주들과 연계되어 있지 않다. 석유 가스가 풍부한 텍사스는 주 독자적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이 있었다. 민간발전업체들은 특히 국가단위 전력망에 연결될 경우 생길 연방정부의 각종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전력망을 텍사스 전력연결망(Texas Interconnection)으로 독립시켰다. 1977년에 발족된 관리 감독 기관인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의 규제나 감독도 받지 않으며, FERC가 관리하는 전력 도매 시장에도 참여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다른 선 벨트 주들은 자신들이 속한 동부 전력연결망(Eastern Interconnection)을 통해 멀쩡히 전력이 생산되는 북부 주들로부터 긴급히 전력을 도매로 구매해 사용했다.
◆급격한 풍력발전 증가…가격 안정성 위협 국민 부담으로 이어져
텍사스는 40개가 넘는 풍력 단지를 갖고 있다. 넓은 땅을 갖고 있는 텍사스는 풍력자원이 풍부하며 농부들은 풍력 발전업자에게 토지를 임대해 농장의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있다. 풍력발전 산업은 또 지역 사회와 국가에 2만4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2014년 말 이후 풍력발전량은 거의 두배로 증가해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5년 12%에서 2019년 21%까지 늘었다. 서부 텍사스에 1만3300MW의 풍력이 몰려 있으며 2020년 기준 풍력설비 용량은 8만2000MW 이상으로 만약 텍사스가 국가였다면 세계에서 다섯 번째 순위에 해당한다.
풍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20년 6월 기준 순간 최대 풍력발전량은 2만1144MW를 기록했다. 특히 2020년 5월 2일 새벽 2시에는 전체 전력공급에서 풍력발전이 60% 가까이 됐다.
풍력발전의 증가는 전력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여름철 전력수요가 많은 시기에 바람이 제대로 불지 않을 경우 요금이 치솟았다. 이번 텍사스 정전에 따른 전력요금의 폭등은 지난 2019년에도 있었다. 2019년 8월 15일 무더운 날씨로 전력수요가 최고치에 달하는 시간동안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 순간 풍력발전은 평소 대비 41%의 전력을 생산했으며, 당시 전력가격은 평균 보다 300배 높은 9000달러/MWh를 기록했다.
◆시장제도 개선, 분산전원 확대해 계통 유연성 확보해야
텍사스의 대정전은 대전환점에 있는 우리나라 전력산업에 많은 숙제를 던졌다. 계통이 고립된 상황에서 급격하게 재생에너지를 늘릴 경우 계통운영 및 공급에 문제가 없을까 하는 우려다.
전력분야 한 전문가는“5% 정도의 간헐성, 변동성 전원은 문제가 없지만 신재생 비중이 더 늘어나면 변동성과 간헐성을 고려한 전력망과 추가적 설비를 달아야 한다”며“신재생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요금, 전력시장제도, 전력망 구성의 개선과 함께 전력인프라 확충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다른 전문가는“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간헐성으로 인해 계통 불안이 커지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변동성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출력의 예측도를 높인다면 정전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그동안 기저전원의 역할을 했던 석탄과 원전을 줄이고 그 빈자리를 LNG발전과 재생에너지로 메우려고 있다. 하지만 텍사스 대정전 사태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산업구조개편을 추진하는데 어떤 걸림돌이 있는지 여실해 보여줬다. 고립된 계통, 해외 의존도 높은 천연자원,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낮은 전력가격 유지 등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현안이 이번 텍사스 대정전을 통해 여실히 드러났다.
재생에너지의 증가는 고립된 계통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에게는 대 정전을 유발할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또 석탄과 원전을 줄이면서 재생에너지의 백업 전원으로 LNG발전을 대폭 늘렸는데, 수급위기가 올 경우 에너지 안보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왜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줬다. 이번 텍사스 대정전으로 가동정지된 공장 중에는 오스틴의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공장, 인피니온의 차량용 반도체 공장 등 텍사스가 유치한 세계 유수 대기업들의 생산라인이 포함돼 있다.
멕시코도 유탄을 맞았는데, 멕시코는 화력발전의 비중이 높고 화력발전에 사용하는 천연가스의 절대다수를 미국에서 수입해오고 있다. 그런데 천연가스 수송 설비가 상당부분 가동 중단되고 미국이 당장 천연가스 수출을 줄이자 전력 부족으로 인해 멕시코 북부에 위치한 기아자동차 공장 역시 가동이 정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여파로 국제 반도체 시장 및 석유, 천연가스 시장이 빠르게 요동치고 있다. 특히 석유 시장의 경우 텍사스주의 유전들이 정전으로 가동되지 않으면서 공급량 축소가 현실화되고 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2215130001211?did=NA
텍사스 전력난은 인재?..."11세 어린이 동사, 75세 참전용사 호흡 곤란 숨져" (한국일보, 인현우 기자, 2021.02.22 16:54)
아들 목숨 잃은 일가족, 전력사 상대 소송 제기
"10년 전 예견된 인재(人災)...전력사들 한파 대비 안해"
심각한 한파로 대규모 정전 사태가 벌어진 미국 텍사스주에서 거주하던 11세 어린이가 저체온증으로 사망하자 유가족이 전력 운영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호흡기 질환에 시달리던 베트남전 참전 용사는 산소호흡기를 가동할 전력이 없어 호흡 곤란에 시달리다 숨졌다.
21일(현지시간) 휴스턴 지역방송 KHOU 등의 보도에 따르면, 텍사스 콘로에 있는 한 이동식 주택에서 거주하던 11세 소년 크리스티안 파본이 16일 사망하자 가족들이 전기 공급사인 엔터지(Entergy)와 전력 운영사인 텍사스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가족은 소장에서 파본이 저체온증으로 사망했다고 적시했다. 검시관은 아직 사인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언론에서도 사인이 저체온증일 가능성을 유력시하고 있다.
파본의 가족에 따르면 이들은 최소 14일부터 전력이 끊긴 상태에서 일가족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옷을 두세 겹으로 겹쳐 입고 모두 끌어안은 채 밤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은 16일 오후 파본을 깨우려고 시도했으나 일어나지 않았고, 급히 911에 신고했지만 이미 늦은 상태였다. 파본은 사망하기 전날 태어나서 처음으로 눈을 보았다고 가족은 전했다.
엔터지는 "공동체의 생명을 잃은 것에 대해 매우 슬프게 생각하며 소송이 진행 중이라 입장을 밝히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했다. ERCOT는 "소송을 확인한 후 대응하겠다"는 성명을 내놨다. 이 성명에서 ERCOT는 여전히 전력 공급을 순차적으로 중단한 결정이 정당했다고 옹호했다. 민간 소유 발전기의 약 46%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 전체의 정전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고육책이라는 설명이다.
파본 외에도 전력이 끊겨 사망한 사례는 더 있다. 앤디 앤더슨(75)은 전력으로 가동하는 산소호흡기가 작동하지 않아 사망했다. 그는 베트남전 참전용사로 미군이 뿌린 고엽제와 접촉해 만성 폐쇄성 폐 질환에 걸렸고 산소호흡기에 의존해 왔다.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뒤늦게서야 깨달은 앤더슨은 산소공급기를 가지고 다급히 전기를 찾으러 가다가 차 안에서 숨졌다.
10년 전 경고를 무시한 참담한 대가
텍사스에서는 전력난으로 생명을 잃은 사람 외에도 이번 한파로 재산 피해를 입거나 전력업체가 제시하는 값싼 변동 요금제를 이용했다가 평소보다 수십 배 높은 요금 폭탄을 맞게 되는 사례가 나오는 등 주민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풍부한 전력 공급량을 누리면서 규제가 대폭 완화된 텍사스주에서는 도매 단위에서의 저렴한 전력 가격을 그대로 반영한 전력 변동 요금제를 택할 수 있다. 평소에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점을 누렸지만, 이번처럼 극단적 기상 악화 및 전력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경우 요금 폭탄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한파로 인한 전력난이 어느 정도 예견됐다는 사실이다. 2011년 2월 1일에서 5일 사이 발생한 한파로 인해 일부 전력 공급난이 발생하자 연방에너지규제기구(FERC)와 북미전기신뢰성공사(NAERC)는 같은 해 8월 공동으로 작성한 보고서에서 극단적 추위에 대비해 충분한 방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권고를 했다.
이 내용은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민영화한 전력 기업들은 원가 절감을 위해 한파 등 가능성이 낮은 재난에 대비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관리당국도 이들을 적극 감독하지 않았다.
USA투데이에 따르면 텍사스대 에너지연구소의 데이브 터틀 연구원은 "해당 보고서에서 2011년을 2021년으로 바꿔도 거의 유효할 것"이라며 "기술이 없는 것도 아니었음에도 당국이 무대책으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504379
텍사스 주지사, '5일 간 5천 달러' 전기업체 폭리에 제동 (CBS노컷뉴스 고영호 기자, 2021-02-22 17:30)
"요금 청구서 발송 중지 명령, 미납으로 인한 전기공급 중단 유예"
미국식 시장경제의 폐해가 코로나19에 이어 정전사태에서도 맹점을 드러내면서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한국처럼 전 국민 건강보험 대신 미국은 개별보험사에 가입해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로 코로나에 확진돼도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하거나 막대한 진료비를 부담해야 한다. 미국은 수도·전기같은 공공재도 개별업체에 공급을 맡기고 있다.
최근 한파로 급수가 끊긴 텍사스주는 수도공급업체가 797개, 전기공급업체도 수 십개에 이른다. 이번에는 전기공급업체의 폭리가 문제됐다.
로이터통신은 22일 텍사스 사례를 조명했다. 텍사스는 경쟁하는 많은 전기공급업체 중에서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규제 완화' 에너지 시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일부 전기공급업체는 텍사스를 강타한 한파에 20명이 숨지고 400만 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는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자 급증한 수요를 노려 비싼 가격에 전기를 판매하고 나섰다. 값비싼 전기를 판매한 결과, 정전사태에서도 여전히 전기를 켤 수 있거나 냉장고를 가동할 수 있었던 일부 텍사스 주민들은 불과 5일 간 5천 달러(555만 원)나 되는 요금 청구서를 받아야 했다.
그렉 애봇 텍사스 주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수 일 간 전기없이 추위를 견딘 텍사스주민들이 치솟는 전기료에 시달려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애봇 주지사는 "텍사스 공공사업위원회가 전기공급업체에 고객들에게 요금 청구서를 보내는 것을 중지하도록 명령할 것이며 미납으로 인한 일시적 전기공급 중단에 대한 유예조치를 내리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발행되는 일간지 '댈러스 모닝 뉴스'는 한 전기공급업체가 수 천 명의 고객들에게 높은 전기료를 피하기 위해 한파에 앞서 공급업체를 바꿀 것을 촉구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기공급업체를 바꾸는 데 너무 오랜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텍사스주 남동부 휴스턴시의 실베스터 터너 시장은 미 CBS와 인터뷰를 통해 "터무니없이 비싼 전기요금을 내야하는 주민들은 책임질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테드 크루즈 텍사즈주 상원의원도 그동안 칭찬해왔던 자유시장 경제체제와 거리를 뒀다. 크루즈는 트위터에서 "어떤 전력회사도 자연재해로 인한 폭리를 취해서는 안된다"며 "텍사스 주민들이 지난주 에너지 대란에서 무리한 요금인상으로 타격을 받아서도 안되고 주 정부와 규제당국이 이같은 부당함을 막기위해 신속히 행동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https://www.nytimes.com/2021/02/21/us/texas-electricity-ercot-blackouts.html
How Texas’ Drive for Energy Independence Set It Up for Disaster (NYTimes, Clifford Krauss, Manny Fernandez, Ivan Penn and Rick Rojas, Feb. 21, 2021)
Texas has refused to join interstate electrical grids and railed against energy regulation. Now it’s having to answer to millions of residents who were left without power in last week’s snowstorm.
Part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near-collapse of the state’s electrical grid can be traced to the decision in 1999 to embark on the nation’s most extensive experiment in electrical deregulation, handing control of the state’s entire electricity delivery system to a market-based patchwork of private generators, transmission companies and energy retailers.
The energy industry wanted it. The people wanted it. Both parties supported it. “Competition in the electric industry will benefit Texans by reducing monthly rates and offering consumers more choices about the power they use,” George W. Bush, then the governor, said as he signed the top-to-bottom deregulation legislation.
But the newly deregulated system came with few safeguards and even fewer enforced rules. With so many cost-conscious utilities competing for budget-shopping consumers, there was little financial incentive to invest in weather protection and maintenance. Wind turbines are not equipped with the de-icing equipment routinely installed in the colder climes of the Dakotas and power lines have little insulation.
Deregulation meant that critical rules of the road for power were set not by law, but rather by a dizzying array of energy competitors. Utility regulation is intended to compensate for the natural monopolies that occur when a single electrical provider serves an area; it keeps prices down while protecting public safety and guaranteeing fair treatment to customers. Yet many states have flirted with deregulation as a way of giving consumers more choices and encouraging new providers, especially alternative energy producers. But no state has gone as far as Texas, which has not only turned over the keys to the free market but has also isolated itself from the national grid, limiting the state’s ability to import power when its own generators are foundering.
Consumers themselves got a direct shock last week when customers who had chosen variable-rate electricity contracts found themselves with power bills of $5,000 or more. While they were expecting extra-low monthly rates, many may now face huge bills as a result of the upswing in wholesale electricity prices during the cold wave. Gov. Greg Abbott on Sunday said the state’s Public Utility Commission has issued a moratorium on customer disconnections for non-payment and will temporarily restrict providers from issuing invoices.
One nonprofit agency, the Electric Reliability Council of Texas, or ERCOT, was formed to manage the wholesale market. It is supervised by the Public Utility Commission, which also oversees the transmission companies that offer customers an exhaustive array of contract choices laced with more fine print than a credit card agreement.
But both agencies are nearly unaccountable and toothless compared to regulators in other regions, where many utilities have stronger consumer protections and submit an annual planning report to ensure adequate electricity supply. Texas energy companies are given wide latitude in their planning for catastrophic events.
Into a snowstorm with no reserves
One example of how Texas has gone it alone is its refusal to enforce a “reserve margin” of extra power available above expected demand, unlike all other power systems around North America. With no mandate, there is little incentive to invest in precautions for events, such as a Southern snowstorm, that are rare. Any company that took such precautions would put itself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
For ERCOT operators, the storm’s arrival was swift and fierce, but they had anticipated it and knew it would strain their system. They asked power customers across the state to conserve, warning that outages were likely.
Earlier warnings of trouble
The outages and the cold weather touched off an avalanche of failures, but there had been warnings long before last week’s storm. After a heavy snowstorm in February 2011 caused statewide rolling blackouts and left millions of Texans in the dark, federal authorities warned the state that its power infrastructure had inadequate “winterization” protection. But 10 years later, pipelines remained inadequately insulated and heaters that might have kept instruments from freezing were never installed.
And aside from the weather, there have been periodic signs that the system can run into trouble delivering sufficient energy, in some cases because of equipment failures, in others because of what critics called an attempt to drive up prices, according to Mr. Hirs of the University of Houston, as well as several energy consultants.
Another potential safeguard might have been far stronger connections to the two interstate power-sharing networks, East and West, that allow states to link their electrical grids and obtain power from thousands of miles away when needed to hold down costs and offset their own shortfalls. But Texas, reluctant to submit to the federal regulation that is part of the regional power grids, made decisions as far back as the early 20th century to become the only state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to operate its own grid ? a plan that leaves it able to borrow only from a few close neighbors. The border city of El Paso survived the freeze much better than Dallas or Houston because it was not part of the Texas grid but connected to the much larger grid covering many Western states.
The cold was so severe that the enormous oil and natural gas fields of West Texas froze up, or could not get sufficient power to operate. Though a few plants had stored gas reserves, there was insufficient electricity to pump it. The leaders of ERCOT defended the organization, its lack of mandated reserves and the state’s isolation from larger regional grids, and said the blame for the power crisis lies with the weather, not the overall deregulated system in Texas.
In Texas, energy regulation is as much a matter of philosophy as policy. Its independent power grid is a point of pride that has been an applause line in Texas political speeches for decades.
Steven D. Wolens, a former Democratic lawmaker from Dallas and a principal architect of the 1999 deregulation legislation, said deregulation was meant to spur more generation, including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to encourage the mothballing of older plants that were spewing pollution. “We were successful,” said Mr. Wolens, who left the Legislature in 2005.
But the 1999 legislation was intended as a first iteration that would evolve along with the needs of the state, he said. “They can focus on it now and they can fix it now,” he said. “The buck stops with the Texas Legislature and they are in a perfect position to determine the basis of the failure, to correct it and make sure it never happens again.”

https://www.nytimes.com/2021/02/22/opinion/texas-electricity-storm.html
Et Tu, Ted? Why Deregulation Failed (NYTimes, Paul Krugman, Feb. 22, 2021, 7:00 p.m. ET)
Even Senator Cruz realizes kilowatt-hours aren’t like avocados.
The disaster in Texas was different. The collapse of the Texas power grid didn’t just reveal a few shortcomings. It showed that the entire philosophy behind the state’s energy policy is wrong. And it also showed that the state is run by people who will resort to blatant lies rather than admit their mistakes.
Texas isn’t the only state with a largely deregulated electricity market. It has, however, pushed deregulation further than anyone else. There is an upper limit on wholesale electricity prices, but it’s stratospherically high. And there is essentially no prudential regulation ? no requirements that utilities maintain reserve capacity or invest in things like insulation to limit the effects of extreme weather.
Texas energy policy was based on the idea that you can treat electricity like avocados. Do people remember the great avocado shortage of 2019? Surging demand and a bad crop in California led to spiking prices; but nobody called for a special inquest and new regulations on avocado producers.
William Hogan, the Harvard professor widely considered the architect of the Texas system, asserted that drastic price increases, while “not convenient,” were how the system was supposed to work. But kilowatt-hours aren’t avocados, and there are at least three big reasons pretending that they are is a recipe for disaster.
First, electricity is essential to modern life in a way few other commodities can match. Having to go without avocado toast won’t kill you; having to go without electricity, especially when your house relies on it for heat, can.
And it’s extremely doubtful whether even the prospect of sky-high profits during a shortage offers energy suppliers enough incentive to take the huge human and economic costs of a protracted power outage into account.
Second, electricity is supplied by a system ? and precautionary investment by one player in the system does no good if the other players fail to do the same. Even if the owner of a gas-fired power plant insulates and winterizes its turbines, it can’t function if the gas pipeline that supplies its fuel, or the wellhead that provides the gas, freeze up. So does the free market ensure that the whole system works under stress? Probably not.
Last but not least, a system that depends on the incentives offered by extremely high prices in times of crisis isn’t workable, practically or politically.
If even Ted Cruz ? Ted Cruz! ? believes that regulators should prevent power companies from reaping windfall profits in a disaster, that eliminates any private-sector financial incentive to prepare for such a disaster. And that, in turn, destroys the entire premise behind radical deregulation.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222058005&code=970201
탄소 배출 줄이려 전기에 의존…기후변화 속 ‘전력망 위기’ 불러 (경향, 이효상 기자, 2021.02.22 20:58)
미 텍사스가 드러낸 딜레마
전기차 등 영향 전기 수요 폭증
한파 속 정전사태 불편 ‘부메랑’
안전성 높일 과감한 투자 필요
이상혹한에 미국 텍사스의 전력망이 붕괴하면서 모든 에너지를 전기로 공급하려는 세계적인 흐름이 시험에 들게 됐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나 난방 등의 에너지원을 전기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잦아진 기후변화와 높은 전기 의존도가 전력망을 붕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기후에 의한 전력 공급 차질은 텍사스만의 문제가 아니다. 연례행사처럼 정전이 발생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지난해 여름 폭염에 전력 수요가 폭증하며 75만명이 정전을 경험했다. 지난달에는 갑작스러운 혹한에 유럽의 전력망 전반이 타격을 입었다. 일본과 파키스탄 역시 이상기후로 인해 최근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
이는 에너지 소비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특히 화석연료를 전기에너지로 대체하는 ‘전기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은 에너지 소비의 28%를 차지하는 교통 부문에 전기차를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유럽연합(EU)은 난방 에너지원의 30%가량을 차지하는 가스 비중을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로 대체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전 세계 전력 수요는 전기차와 스마트기기, 사물인터넷 보편화의 영향으로 2050년까지 6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NEF의 에너지 분석가 산지트 상헤라는 “모든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전기화로 전력망 위기가 더 빈번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에너지회사 CLP의 최고경영자 리처드 랭커스터는 CNBC에 “오늘날의 전력망을 갖추기까지 120년이 걸렸다”며 “우리는 (각국이 탄소배출 제로를 약속한 2050년까지) 앞으로 30년 동안 이것을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설비로 교체해야 할 뿐 아니라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전력 공급을 60% 이상 증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다시 화석연료 비중을 늘린다면 기후변화는 더 극심해질 수 있다. 폐기물을 10만년 이상 땅에 묻어야 하는 원자력발전도 흔쾌히 대안으로 택하기 어렵다. 결국 전력망의 안전성을 높이는 과감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혹한·폭풍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땅속으로 전선을 매립하는 전선 지중화를 진행하고,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시민들의 비용 부담을 위한 논의도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국제에너지기구의 분석가 키스 에버하트 등은 지난 18일 보고서에서 “극한 기온이 과도기의 전력 시스템을 시험에 들게 하고 있다”며 “청정에너지 전환에 대한 사회적인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도 대규모 정전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223018013
‘텍사스 1100만원 전기료’ 뒤 에너지 민영화 그늘 (서울신문, 김정화 기자, 2021-02-22 22:22)
1999년 민영화… 비용절감에만 집중
제설 장치 없고·전력선 단열재도 부실
규제 피하려 자체망… 정부가 대응 못 해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텍사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에너지가 고갈될 것 같은 곳이었다. 하지만 지난주 그 일이 벌어졌다”며 “이 위기는 ‘큰 정부’와 다른 주들로부터 독립되기를 바란 텍사스의 특징 때문”이라고 짚었다.
미 대륙은 크게 동부와 서부로 나눠 거대한 전력망을 구동한다. 각 망에 속한 기업은 서로 전력을 거래하거나 공동 대응할 수 있다. 텍사스는 예외다.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고 자체 전력망을 이용한다. 이는 텍사스가 1901년 대규모 유전을 발견한 후 석유와 가스 사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곳이기 때문이다. 미국 전체 석유의 40%를 책임질 정도로 대표적인 생산 지역이라 그만큼 에너지 자립을 원했다. 1999년 텍사스 주지사였던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은 전력 규제 완화 법안에 서명하며 “전기 산업의 경쟁은 요금을 낮추고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처럼 민간의 경쟁을 부추기고 규제를 완화한 방식은 결국 독으로 돌아왔다. 비용 절감만 중시하면서 비상시에 가동할 안전장치를 하나도 마련해 놓지 않은 것도 상황을 악화시킨 요인이었다. NYT는 “기업들이 따뜻한 텍사스에서 한파를 대비한 유지·보수에 거의 투자하지 않았다”며 “풍력 터빈에는 제빙 장비가 없고, 전력선에도 단열재가 거의 없다”고 했다. 텍사스에는 전력 도매시장을 관리하는 전력신뢰성위원회(ERCOT)가 있지만, 소비자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 계획을 내는 다른 주의 규제 기관에 비해 거의 권한이 없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2209420004452?did=NA
텍사스주 1800만원 전기요금 '폭탄', 한국서도 벌어질 수 있나? (한국일보, 김현우 기자, 2021.02.23 04:30)
전기요금 부과 상한 사실상 없어...소비자 피해 급증
텍사스주, 규제 기피 성향 강해...발전 인프라도 낙후
"한국에서는 발생 어려워"
강력한 겨울 한파 속에 미국 텍사스주 일부 주민이 무려 1,800만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폭탄’ 고지서를 받았다는 소식에 고개를 갸웃거리는 시선이 적지 않다. 이는 기본적으로 전력 수급 불균형에서 비롯됐다. 한파로 텍사스주 내 전력발전소가 가동을 중단해 전력 공급보다 수요가 훨씬 웃돌자 전기요금 단가가 급등한 것이다. 다만 이런 사고는 미국 내 다른 주나 한국에서는 일어나기 어려운 경우다. 텍사스주의 특이한 전기요금 체계에서 기인한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텍사스주, 극단적 전력시장 민영화
22일 외신과 업계 등에 따르면, 텍사스주 일부 주민은 이달 지불해야 할 전기요금이 전달보다 20배 넘게 뛰었다. 폭스뉴스는 “텍사스주 알링턴에 거주하는 한 주민의 경우, 매달 평균 660달러(73만원)를 내다가 이달에는 1만7,000달러(1,881만원) 청구서를 받았다”며 “텍사스 주민 2만9,000명 정도가 이런 피해를 입었다”고 전했다.
텍사스주는 미국에서도 전력시장 민영화가 가장 극단적으로 운영되는 지역으로 꼽힌다. 민간 전력 공급회사가 구입하는 도매전력 가격이 소비자의 전기요금 고지서에 실시간 반영되는 구조다. 보통 급격한 요금 변동성을 막기 위해 정부가 ‘캡(상한)’을 정하지만 텍사스주에서는 이게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정연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팀장은 “텍사스 주정부는 실시간 반영되는 전기요금 변동폭 캡을 메가와트(㎿h) 당 9,000달러까지 허용해놓았다”며 “이렇게 막대한 금액을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전가하는 사례는 미국 내 다른 주는 물론, 다른 국가에도 드문 일”이라고 설명했다.
https://newsimg.hankookilbo.com/cms/articlerelease/2021/02/22/fffc4b8e-944b-4cc4-af01-60adee24c2c9.png
이는 모든 규제를 꺼리는 텍사스 주정부의 성향과 무관치 않다. 텍사스주는 미 연방정부 규제를 피하기 위해 미국 내 다른 주들과 송배전 등 전력망을 연결하지 않는 유일한 지역이다. 지역 내 원자력과 풍력 등을 이용해 자체 발전으로 전력을 해결한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은 “텍사스주는 남북전쟁 당시부터 미 연방에서 독립하려는 분리주의 성향이 강한 지역”이라며 “다른 주들과 전력망만 연결됐어도 이번 전력공급 부족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전력시장을 민간기업에 전적으로 맡기면서도 규제는 최소화하다 보니 비상사태에 대비한 발전 인프라 확충은 뒷전으로 밀리게 됐다. 텍사스주 내 전력발전소에는 동파를 막는 단열시설조차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텍사스주에서 이런 한파는 지난 90년 동안 발생한 적이 없다”며 “우리나라 한전처럼 공기업이 나서지 않는 이상 어느 민간기업이 여기에 돈을 투자하겠냐”고 말했다.
한국 전기요금 체계에선 발생 어려워
물론 전력시장 민영화에 따른 큰 폭의 변동요금제 덕에 텍사스주 소비자가 평상시 혜택을 보는 측면도 있다. 텍사스주의 ㎿h 당 평균 전기요금은 평소 50달러(5만5,000원)에 불과하다. 한국은 일반 가정집 요금이 8만8,300원 정도다.
다만 한국은 누진제를 시행하면서도 공기업(한전)이 공급하는 킬로와트(㎾) 당 전기요금 단가가 ‘상수’로 고정돼 있어, 재난 상황에서도 전기요금이 요동치지 않는다. 여기에 한전의 전기요금 조정은 정부 심의를 거쳐야 해 마음대로 인상할 수도 없다.
일각에선 지난달 11일부터 국제유가 등에 따라 전기요금이 변동되는 ‘연료비 연동제’가 도입되면서 자칫 이번 텍사스주 사태가 우리나라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유가가 급등해도 분기 당 인상 가능한 전기요금 상한은 ㎾ 당 3원”이라며 “4인 가족 한달 평균 사용량(350㎾)을 감안하면 한달 전기요금 변동폭은 1,000원 정도에 불과해 불가능한 얘기”라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3009000072?input=1195m
비용절감의 끝은 대정전…제발등 찍은 텍사스 전기시장 자유화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2021-02-23 05:55)
NYT "220개 업체 무한 가격 경쟁…안전장치까지 아끼다 대정전"
기록적인 한파 이후에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州)의 대규모 정전사태의 근본 원인은 전기시장 자유화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내에서도 가장 급진적으로 탈규제·자유시장화가 정착된 텍사스의 전기시장을 분석했다.
텍사스는 지난 1999년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주지사로 재임하던 당시 전기공급의 책임을 민간 업체들에 이양하는 시장화 정책을 도입했다. 전기공급업체들이 원한 정책이었고, 업체간 경쟁을 촉진하면 전기요금도 떨어질 것이라는 주장에 주민들도 찬성했다. 실제로 이후 텍사스에서 영업하는 220개의 전기 공급업체는 소비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가격 인하 경쟁을 벌였고, 주민들도 만족했다.
문제는 가격 인하 경쟁이 무리한 비용절감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텍사스 전력 생산의 7%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풍력 발전의 경우 겨울철에 온도가 떨어지면 터빈에 발생하는 얼음을 제거하는 장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비용 절감에 나선 전기 공급업체들은 남부 텍사스에 한파가 닥치는 경우가 없다는 이유로 얼음 제거 장치를 설치하지 않았다.
풍력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텍사스 전력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화력발전소의 경우에도 실내가 아닌 실외에 시설을 설치한 업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치 못한 한파가 닥치자 주요 부품이 외부에 노출된 업체들은 가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주민 생활에 필수적인 전기공급의 안정성을 위해선 주정부의 관리·감독도 중요하지만, 이들도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텍사스에선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라는 조직이 전기공급업체를 감독하지만, 다른 주들과 비교해 권한이 부족하다는게 NYT의 지적이다.
한편 그레그 애벗 텍사스주지사는 일부 주민들이 '전기료 폭탄'을 맞은 것과 관련해 전기 공급업체에 요금청구서를 발송하지 못하게 하는 한편, 미납자에 대해서도 전기공급 중단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2/23/5663YITXZFEYHHG7REEMQ6X7ZU
지나친 경쟁과 비용절감이 美텍사스 대정전 초래했다 (조선일보, 오경묵 기자, 2021.02.23 07:20)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22220160078361
빌 게이츠 "텍사스 정전 사태, 친환경 에너지 때문 아냐"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2021.02.22 20:15)
폭스뉴스 인터뷰 "2050년 탄소가스 배출 제로 달성 못 하면 끔찍한 결과"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최근 텍사스 대규모 정전 사태가 친환경 에너지 때문이라는 지적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게이츠는 21일 폭스 뉴스 선데이에 출연해 친환경 에너지를 주제로 인터뷰를 하던 중 최근 텍사스 정전 사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렉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텍사스 대규모 정전 사태와 관련해 친환경 에너지 정책의 실패, 특히 풍력 에너지 때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게이츠는 애벗 주지사의 주장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며 정전 사태는 텍사스 전력 시스템이 버티지 못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텍사스에서는 지난주 극심한 한파로 풍력 터빈이 얼면서 실제 풍력에 의한 전력 생산이 차질을 빚었다. 하지만 풍력 뿐 아니라 천연가스의 경우에도 파이프가 얼면서 전력 생산이 원활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게이츠는 풍력 터빈은 문제의 일부였을 뿐이라며 알래스카와 노스타코타주에서도 풍력 터빈이 사용되는 것을 언급하며 풍력 터빈도 혹한에서 견딜 수 있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게이츠는 2050년까지 탄소가스 배출 제로를 달성하지 못 한다면 끔찍한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말했다. 적도 지역이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 될 것이라며 시리아 내전 당시 이주민 수보다 10배 많은 사람들이 이주하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게이츠는 또 여름에는 바깥에 나갈 수 없어 농사를 지을 수 없으며 생산량이 급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구온난화로 목숨을 잃는 생명의 개체 수는 최악의 코로나19 상황보다 더 심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에서 2050년 목표의 탄소가스 배출 제로 달성계획이 너무 늦고, 따라서 2030년을 목표로 재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게이츠는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탄소가스 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30년이 걸릴 것이라며 2030년 목표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게이츠는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기술 부문에서는 상당한 일자리 증가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3027100009?input=1195m
美 텍사스 대정전 충격에 기후변화의 전력수급 위협 조사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2021-02-23 08:18)
"기후변화 영향 이미 뚜렷" 극단기상 위험 체감
트럼프와 다른 행보…전력·가스 바가지도 단속
미 텍사스주의 이례적 혹한으로 '대정전' 사태를 겪은 뒤 관계 당국이 기후변화와 극단적인 기상이 전력 수급에 가하는 위협을 조사하기로 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리처드 글릭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 위원장은 "기후변화의 영향이 이미 뚜렷하다"며 22일(현지시간)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글릭 위원장은 "우리는 극단적인 기상이 닥쳤을 때도 전기설비가 불을 확실히 밝히도록 하려고 법적 권한 내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연방 정부기구인 FERC는 주와 주 사이의 전기, 석유, 천연가스 이전을 규제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시설의 사용을 허가하는 기관이다. FERC의 이 같은 방침은 기후변화 자체를 불신하고 대응책 마련에 미온적이던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와 상반된다.
로이터 통신은 FERC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서 한몫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FERC는 천연가스 도매나 전력 시장에서 시장 조작이나 법규 위반이 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티나 스미스 미국 상원의원은 지난 21일 FERC를 비롯한 규제당국에 서한을 보내 천연가스 제조업체와 공급업체의 바가지 요금책정을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23/2021022300953.html
[줌인] 텍사스 정전사태 부른 조지 W. 부시의 '전기시장 자유화' (조선비즈 황원지 인턴기자, 2021.02.23 10:10)
텍사스에 기록적인 한파 여파로 발생한 대규모 정전사태로 ‘전기시장 자유화’가 도마에 올랐다. 22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즈(NYT)에 따르면 텍사스 주는 지난 1999년 전체 전기 공급 시스템에 대한 통제권을 국가에서 민간으로 넘겼다. 당시에는 미국 내에서도 가장 광범위한 전기 규제 완화 정책이었다.
텍사스의 ‘전기시장 자유화 정책’은 에너지 업계와 텍사스 주민들 모두에게 환영받았다. 당시 주지사였던 조지 W.부시 전 대통령은 해당 정책에 서명하면서 "전기 산업에 경쟁이 도입되면,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이 주어지고, 결국 전기요금이 싸질 것"이라며 전기 자유화 정책이 텍사스 주민들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밋빛 기대는 현실이 되는 듯 했다. 텍사스에는 풍력이 풍부해 재생가능에너지도 잘 작동했고, 저렴한 천연가스도 풍부했기 때문이다. 텍사스에서 영업하는 220개의 전기 공급업체는 소비자를 유인하기 위해 가격 인하 경쟁을 벌였고, 가격은 낮아져 주민들도 만족했다.
문제는 ‘무한 경쟁’이 무리한 비용절감을 촉발해, 위기 대응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천연가스로 작동하는 발전소나, 풍력 터빈을 추운 겨울날씨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돼 북부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남부 텍사스의 겨울은 일반적으로 따뜻하다는 이유로 전력 공급 업체들은 여기에 투자할 돈을 아꼈다.
텍사스의 전력 생산의 7% 를 차지하는 풍력 터빈에는 추운 날씨엔 꼭 필요한 제빙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또한 화력의 경우에도 실내가 아니라 온도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는 실외에 시설을 설치해 가동이 중단됐다.
NYT는 이와 관련해 텍사스 주가 자유로운 전력시장에 대한 관리·감독에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텍사스 주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라는 조직이 전력공급업체를 관리하고, ERCOT을 공공 유틸리티 위원회(Public Utility Commission)이 감독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두 기관 모두 다른 지역의 규제기관에 비해서는 책임이 적고, 실질적으로 활용할 규제 도구도 없는 상황이다.
휴스턴대의 에너지 전문가 에드 히어스 박사는 "규제 완화는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를 폐지하는 것과 같다"며 "재난을 일으키고 가속화하는 지름길을 닦아준 셈"이라며 전기시장 자유화 정책 등 규제 완화를 이번 대정전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223000352
텍사스 정전사태로 맥쿼리 뜻밖의 횡재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2021.02.23 11:03)
예상 외 정전 사태로 2390억원 수익
“전기·가스 사용권 미리 매입해 횡재”
텍사스주 전기 민영화로 극심한 경쟁
전기 공급업체 얼음제거장치 미설치
호주 투자은행 맥쿼리가 지난 주 미국 텍사스주에서 발생한 정전 사태로 2억1500만달러(약 2390억원)에 달하는 뜻밖의 횡재를 했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텍사스 등 여러 주에서 북극 폭풍이 불러온 한파로 정전 사태가 초래되자 전기와 천연가스 도매가가 급등, 이를 취급하는 맥쿼리가 큰 급전적 이익을 봤다. 이런 상황을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이 지역의 전기와 가스 사용권을 미리 매입한 업체가 뜻밖에 큰 수익을 올린 것이라고 WSJ는 덧붙였다.
맥쿼리는 3월까지 포함되는 올해 1분기 매출 목표를 늘려 잡았다. 세후 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 대비 5~10% 높아질 것이라고 밝힌 것. 애초 지난 9일 발표한 목표 수치상으로는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낮을 것으로 예상됐다.
맥쿼리 측은 “혹한의 한파가 단기 고객 수요를 높였고, 전력과 가스를 공급하는 맥쿼리가 그 수요에 부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맥쿼리의 갑작스런 수익 급증은 연료 공급 부족이 얼마나 큰 수익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준다고 WSJ는 설명했다. 미국의 셰일가스 산업은 한 때 붐이 일었지만 가스 가격이 하락하면서 셰일업계 파산으로 이어졌는데,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면 가격이 치솟는다는 것이다.
기록적인 한파 이후에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의 대규모 정전사태의 근본 원인은 전기시장의 민영화인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타임스(NYT)는 텍사스주 전기시장이 미국 내에서도 가장 급진적으로 탈규제·자유시장화가 정착됐으며, 이로 인해 이번 사태가 벌어진 것이라고 전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21133
신재생에너지가 문제? '텍사스 정전사태'의 진실 (오마이뉴스, 21.02.23 12:48 l 노광준(kbsnkj))
[탄소 후 미래] 보수 언론의 지적은 잘못됐다... 진짜 교훈은 에너지의 분배와 관리
텍사스 미스터리
다른 곳도 아닌 '텍사스'였기에 정전의 원인을 두고 논란이 커졌다. 텍사스는 가스면 가스, 풍력이면 풍력, 원자력까지 풍부한 미국의 '에너지 심장'이었기 때문이다. 석유, 석탄, 천연가스 매장량이 미국 최대 규모다.
사막의 거센 바람이 일정하게 불어 풍력발전량도 최고, 더구나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 연구시설들이 있고, 사막에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이 있다. 그런 텍사스 발전용량의 40%가 무너졌다. 겨울폭풍은 텍사스에만 불어닥친 게 아닌데 16일 기준으로 미국 내 정전 가구의 78.1%가 텍사스에 몰렸다. 왜일까. 미스터리가 있는 곳에 뜬 소문이 돌았다.
공화당 정치인들과 폭스뉴스 등 보수 언론은 풍력터빈이 얼어붙는 등 신재생에너지가 제역할을 못 해 이번 정전사태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공화당 출신 텍사스 주지사의 언론 인터뷰가 시발점이었다. 그레그 애벗 주지사는 17일(현지 시각)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풍력과 태양광 발전이 작동 안된다"며 "화석연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자 보수논객들은 '신재생에너지만 믿다가 모든 미국인이 얼어 죽을 수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나선 바이든 행정부를 향해 경고멘트를 날렸다.
덩달아 국내 보수언론과 경제지들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 비판에 나섰다. <매일경제>는 '텍사스 반도체 공장 셧다운으로 불신 커진 풍력발전의 민낯'이란 제목의 사설을 실었고, <문화일보>는 '탈원전 어젠다 허구성 거듭 보여준 텍사스 정전 사태'라는 사설을, <조선일보>는 데스크칼럼으로 '텍사스 정전사태를 보라'고 썼다. 원자력 대신 신재생에너지를 늘려온 텍사스가 지금 어떻게 됐는지 똑똑히 보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똑똑이 봐봤다. 어쨌든 남의 일을 남의 일로만 여기지 않고 우리 미래를 위한 타산지석의 교훈으로 삼는 것 자체는 좋은 일 아닌가. 그렇게 텍사스 정전사태를 들여다봤더니 다른 게 보였다. 핵심은 신재생에너지가 아니었다.
<뉴욕타임스> '풍력은 핵심원인이 아니다'
17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의 디온느 시어시 기자는 '풍력발전은 텍사스 정전의 핵심원인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정전의 주요 원인은 텍사스 전력 공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 얼어붙은 데 있고, 풍력발전은 전력공급의 일부(약 7%로 추정)만 담당하지만, 보수 정치권은 화석연료를 방어하기 위해 허위정보를 퍼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정치인과 애널리스트들은 화석연료를 옹호하려고 거짓말과 허위정보를 퍼뜨린다.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정치과학과의 레아 스톡스 교수는 "지난 여름 캘리포니아나 이번 겨울 텍사스처럼 전력망이 위협받을 때마다 사람들은 화석연료 같은 단골 메뉴를 무기로 꺼내 든다"며 "우리 인프라는 극단적인 날씨에 견딜 수 없고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날씨를 만든 건 화석연료"라고 말했다. - (<뉴욕타임스>, 2.17)
보수언론은 얼어붙은 풍력발전기만 부각시켰지만, 그보다 많은 천연가스와 석탄 발전시설이 얼어붙었다. 원자로 1기도 물공급 장치가 얼어붙어 가동이 중단됐다. 텍사스주의 전력망을 관할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는 총 46기가와트에 달하는 전력손실량의 61%가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 발전의 문제에서 비롯됐고 39%가 태양열과 풍력발전 문제였다고 밝혔다.
텍사스 주지사가 말을 바꿨다는 지적도 나왔다. 댈러스의 지역방송 WFAA는 애봇 주지사가 자신들과 인터뷰를 할 때는 정전의 주원인이 천연가스 때문이라고 했다가 폭스뉴스에 나가서는 재생에너지로 돌렸다고 지적했다.
폭스뉴스에 출연하기 전 애봇 주지사는 WFAA와의 인터뷰에서, 충분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는 이유가 천연가스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천연가스가 파이프라인에서 얼었다. 장비 안에서 얼었다. 전송라인에서 얼었다"라며 "천연가스 공급업체들이 전력발전에 쓰이는 발전기로 가스를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트윗에서도 이 문제를 쓰면서 풍력이나 태양광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중략) WFAA는 주지사 사무실에 이메일을 보내 '폭스뉴스에 나가 잘못된 정보를 언급한 이유'가 뭔지 물었지만 주지사 사무실은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 (WFAA 온라인 2.17)
<가디언> '기후변화에 준비하지 않았다'
이번 정전사태의 원인은 기상이변으로 인한 전력수요 급증에 대비하지 못한 주 정부의 준비 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의 공영라디오 NPR은 지난 18일(현지 시각) 온라인 기사를 통해 '재앙은 추운 날씨 때문에 텍사스 전역의 사람들이 전열기를 한꺼번에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여름이 더운 텍사스의 특성상 전력망 담당자들이 고온으로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는 여름철 전력수요에만 신경 썼고, 겨울철 혹한으로 인한 전열 수요를 대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영국의 <가디언>은 이번 정전사태가 기후위기에 대해 미국이 전혀 준비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가디언은 작년 여름 기록적인 폭염 속에 정전사태를 빚은 캘리포니아주와 올겨울 텍사스주의 사례를 비교·분석한 기사를 통해, 둘 사이의 공통점을 지목했다. 극한의 기후에 대한 주 정부의 준비 부족.
전문가들은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모두 기후위기의 혼돈에 대비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퍼듀대학의 로시 나테기 교수는 "둘 다 극단적인 기후를 접했지만 주 정부가 준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녀는 지난 20년간 미국 전역에서 기상이변이 정전의 주요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9월에 발표된 미국 에너지부(DOE) 분석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기상 관련 정전사고는 2000년 이후 67%가 증가했다. 그러나 텍사스와 캘리포니아주의 발전소와 발전기, 전선은 재앙에 견딜 수 있게 설계되지 않았다." - (<가디언>, 2.19)
낡은 전력 인프라는 텍사스만의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지난 2015년 미국 에너지부(DOE)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전력 변압기의 70%는 25년 이상 됐고, 회로 차단기의 60%는 30년 이상, 송전선의 70%는 25년 이상 됐다.
중국의 관영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이익만 추구하는 민간 전력회사들에 문제를 맡겨두며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평균 3188건의 정전이 발생하는 등 선진국 가운데 가장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나라가 됐다고 비판했다.
유사시 다른 주의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텍사스만의 '독자적인 전력망' 시스템도 문제로 지적된다. 텍사스는 규제를 피하기 위해 연방정부나 다른 주와 전력공유를 하지 않고 독자적인 전력망을 구축해왔는데 그게 이번에 큰 피해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교훈 : 전력망 - 스마트 그리드, 마이크로 그리드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사건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비한 국가 인프라 강화라는 교훈을 얻은 것 같다. 지난 18일(현지 시각) 바이든 대통령의 국토안보 정책을 담당하는 리즈 셔우드 랜달 백악관 보좌관은 '기후 변화가 현실이며 우리가 이에 대해 적절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그는 텍사스 정전사태를 언급하며 '전력망이 기후변화로 과부하가 걸렸지만, 인프라는 극한 조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연방 정부는 악천후에 대비한 인프라 강화를 위해 주 정부와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중앙 정부 주도의 전국적인 '스마트 그리드(전력망)' 구축 사업은 대단히 중요해 보인다. 기후변화로 갈수록 전력수요와 공급이 들쭉날쭉하기에, 생산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필요하다. 실제로 올겨울에 다운된 텍사스는 겨울철 전력급증에 대비하지 못했고, 작년 여름에 다운된 캘리포니아는 에너지를 저장한 배터리 인프라가 부족했다.
재난으로 거대 전력망이 무너질 경우에 대비해 마을 단위로 자가발전을 하고 이를 공유하는 '분산형 전력시스템'의 필요성이 입증되기도 했다. 폰 마이어 UC 버클리 전기공학과 교수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 이웃은 유사시에 필수전력을 생산하는 '전력단위'가 될 수 있습니다."
동네나 마을공동체가 옥상 태양광 패널이나 근처 풍력 터빈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배분하는 '마이크로 그리드'(소지역 전력망)를 통해 거대 전력망이 무너지는 상황에도 병원 같은 필수 인프라를 계속 작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제가 사는 (캘리포니아) 지역도 정전이 잦았고 지난 산불 때 거의 24시간 전기가 끊겼는데, 그래도 우리 동네는 기본적인 시설을 계속 가동할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원전이냐 태양광이냐, 석탄이나 풍력이냐 하는 식의 에너지 '생산방식'에만 관심을 뒀지 이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전력망'과 같은 인프라에는 소홀했다. 이번 텍사스의 재난은 기후 변화가 아주 빠른 속도로 엄습하고 있으며 에너지의 분배와 관리도 생산만큼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미국의 에너지 심장 텍사스는 지난 10년간 주민 투표와 경제적 타당성 검토를 통해 원자력 대신 신재생에너지를 빠른 속도로 늘려왔다. 이번 재난을 통해서는 과연 이곳이 더 큰 전력망(연방정부 단위)에 연결되고 더 작은 전력망(마을 단위)을 구축하는 인프라 혁신을 이룰 수 있을지 여전히 주목받을 것이다.
<참고자료>
Dionne Searcey, 'No, Wind Farms Aren't the Main Cause of the Texas Blackouts' (뉴욕타임스 온라인, 2021. 2. 17)
Ryan Wood, 'No, wind and solar power are not the main causes of Texas' power outages despite Gov. Abbott's claim on Fox News | VERIFY' (WFAA 온라인뉴스, 2021. 2. 17)
Camila Domonoske, 'No, The Blackouts In Texas Weren't Caused By Renewables. Here's What Really Happened' (NPR 온라인, 2021. 2. 18)
H.J. Mae, 'White House Adviser Says Texas Outages Show How U.S. Is Unprepared For Climate Change' (NPR 온라인, 2021. 2. 18)
Maanvi Singh, ''California and Texas are warnings': blackouts show US deeply unprepared for the climate crisis' (가디언 온라인, 2021. 2. 19)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10223017800038?did=1825m
'대정전' 美텍사스 여전히 고통…전력 자유화가 주범? (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2021-02-23 17:42:48)
[앵커] 주민들을 큰 고통으로 몰아넣은 미국 텍사스주의 혹한에 따른 대규모 정전 사태 원인으로 그동안 신재생 에너지가 꼽혀왔는데요. 이보다도 20여 년 전 전력시장에 대한 자유화가 주된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봉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최악의 한파로 전기와 수도가 끊기는 사태가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 기온이 다시 올라가면서 정상을 되찾아가고 있지만, 일부 주민들은 여전히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고 식수 부족은 더 심각합니다. 무료로 나눠주는 물과 음식을 받기 위해 차량 수백 대가 줄지어 있는 모습은 현지 사정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조셉 아귈라드 / 미 텍사스주 휴스턴 주민> "며칠이 지났는데 물도 전기도 없었습니다. 얼어 죽을 뻔했습니다. 저는 심장병 환자입니다. 천식이 있고 심장병도 있습니다."
강추위에 따른 정전 사태의 원인으로 그동안 전기 공급이 들쭉날쭉한 풍력발전이 지목돼왔지만, 최근 미국 언론들은 또 다른 요인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바로 텍사스주의 전력시장 자유화가 재앙을 불렀다는 겁니다.
텍사스주는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주지사이던 1999년 전력에 대해 유례없는 시장화 정책을 실험했는데, 결과적으로 약 220개 업체가 경쟁하면서 전기료는 낮아졌지만, 문제는 지나친 비용 절감이었습니다.
풍력 발전의 경우 터빈이 어는 걸 막기 위한 장비 설치에 터빈당 15만 달러, 우리 돈 약 1억7천만 원이 드는데, 이를 설치하지 않아 발전 중단으로 이어졌습니다. 다른 주에서 전기를 끌어오기 어렵게 설계된 텍사스주의 에너지 독립 정책도 화를 불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그레그 아보트 / 미 텍사스주 주지사> "텍사스인들에게 지난 한 주는 엄청난 도전이었습니다. 어쩌면 전에 겪었던 다른 시련과 달랐을 겁니다."
이런 가운데 텍사스주의 한 여성은 자신의 11세 아들이 정전으로 얼어 죽은 책임이 있다면서 전력회사 두 곳을 상대로 1억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84124.html
재생에너지 탓이라던 텍사스 정전, ‘전력 시장 자유화’ 참사였다 (한겨레, 조기원 기자, 2021.02.24/2021-02-25 17:09)
400만 가구 전기 끊기고, 일부 가정은 전기요금 1800만원도
보수지 WSJ “한때 전력망 모델”이었던 “텍사스 약점” 비판
“텍사스 전력망은 한때 모델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번 정전으로 시장 구조에 약점이 있음이 드러났다.(…) 겨울 폭풍으로 풍력부터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사용) 발전소까지 거의 모든 에너지원이 마비됐는데, 사업자들이 영하의 온도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전력 공급자가 집단적으로 (전력 공급에) 실패했지만 이 회사들은 어떤 법규도 어기지 않았다. 텍사스 당국자들은 사업자에게 혹한과 혹서기에도 제대로 발전소가 가동할 수 있게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추가 투자를 하도록 요구하지 않았다.”
미국의 대표적인 보수 신문 <월스트리트 저널>이 최근 보도한 내용의 일부다. 한때 470여만 가구에 전기가 끊기고, 한달 전기요금이 1800여만원에 이른 텍사스주 전력 부족 사태의 원인이 무리한 ‘전력 시장 자유화’로 결론 나는 분위기다. 일부 보수 정치인과 언론이 재생에너지의 한계를 집요하게 공격했지만, 실상은 비용 절감과 자율 경쟁에만 몰두한 나머지 ‘대비할 수 있었던 재난’에 대비하지 않은 ‘시장 논리’가 문제였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뉴욕타임스>도 22일(현지시각) 텍사스주가 1999년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주지사로 재임할 당시 전력 공급을 민간에 맡기는 시장화 정책을 도입했으며, 업체들의 가격 인하 경쟁이 무리한 비용 절감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텍사스에 매장된 풍부한 천연가스와 풍력 발전에 이용하기 좋은 바람 덕에 전기요금은 인하됐지만, 규제 완화로 예외적 상황에 대비할 안전장치와 규제는 적어졌다고 짚었다.
지난 15일(현지시각) 정전이 처음 발생했을 때, 텍사스의 주요 전력 공급원인 천연가스, 풍력, 원자력 모두가 한파로 일부 멈춰 섰다. 천연가스는 가스관이 얼어버렸고, 풍력 발전소 일부에서 터빈이 얼어붙었다. 원전 2곳에 있는 원자로 4기 중 1기도 배관 동결로 48시간 이상 가동이 멈췄다. 겨울철 텍사스 전력 공급 대부분을 담당하는 천연가스와 일부 석탄 화력 발전에서 총 2만9천메가와트가, 풍력 발전에서 1만6천메가와트가 끊겼다. 굳이 이번 정전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을 꼽으라면, 풍력 발전이 아니라 천연가스 발전이 문제였던 셈이다. 하지만 혹한기 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어느 발전소나 문제가 있기는 매한가지였다.
현대사회를 움직이는 근간인 ‘전력 발전’이, 비록 이례적이라고는 하나 ‘영하 20도’에 속수무책 멈춰 서버렸다. 이번 사태를 이해하려면, 1990년대 후반 미 전역에서 시작된 전력 시장 자유화와 이를 극단으로 밀어붙인 텍사스주의 전력 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번 이상 한파가 미국 남부 텍사스에 들이닥친 30년 만의 혹한이라고는 하나, 도저히 예측 불가능한 상황은 아니었다. 텍사스주에서는 2011년 2월에도 혹한으로 발전소 200곳이 가동을 멈췄다. 당시 8시간 동안 1백여만 가구가 정전의 영향을 받았다. 2014년 1월에도 혹한 탓에 4시간 동안 ‘블랙아웃’ 상황이 재현됐다. 텍사스의 겨울이 통상 따뜻한 것은 사실이지만 ‘주기적으로 혹한이 닥치고 있으니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온 것 역시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2011년 사태 이후엔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가 나서 텍사스주에 “혹한기 전기 공급에 이상이 없도록 대비를 해라”고 권고했다.
텍사스는 ‘혹한기 예외적 상황’에 대한 대비를 ‘시장 메커니즘’으로 해결하는 구조를 택했다.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시기에 비싼 요금을 받을 수 있게 했으니, 전력 공급자들이 예외적 상황에서 비싼 요금을 받기 위해서라도 혹한기 투자를 하리라는 논리였다. 텍사스 전력 공급망을 관리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 빌 마그네스 최고경영자는 18일 “투자를 하지 않는 업자는 시장에서 재정적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에서 보듯, 시장에서 싼 가격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경쟁하는 업자들이 언제 닥칠지 모를 ‘예외적 상황’에 대비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미국 보수파들은 재생에너지, 특히 풍력 발전을 텍사스 정전 사태의 주범으로 거론했지만, 사실 풍력 발전 터빈은 혹한 대비 설비만 갖추면 영하에서도 너끈하다. 겨울철 혹한이 일상적인 캐나다 정부의 발표를 보면, 일부 터빈은 섭씨 영하 30도에서도 문제가 없다. 텍사스대 에너지 자원 분야 교수인 마이클 웨버는 <시엔엔>(CNN)에 “대비가 되어 있는 곳에서는 추운 기후에서도 풍력 발전이 잘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 타임스>는 풍력 발전은 혹한에 대비해 터빈에 발생하는 얼음을 제거하는 장치가 필수적이지만, 텍사스 업체들이 남부 텍사스에 한파가 닥치는 경우가 없다며 얼음 제거 장치를 설치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텍사스가 독자 전력망에 묶여 있어 다른 주에서 전기를 끌어오지 못한 것도 이번 사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미국 대부분 주들은 비상 상황 때 다른 주에서 전기를 융통할 수 있다. 반면 텍사스는 연방정부 규제를 피하기 위해 독자적인 전력망을 고집하다 사달이 났다. 이 역시 전력 시장을 극단적으로 자유화했을 때 벌어지는 폐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반면교사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5087000009?input=1195m
"텍사스 주민 전력시장 경쟁 도입에 요금만 31조원 더 내"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2021-02-25 11:45)
대규모 정전사태를 겪은 미국 텍사스주 주민들이 전력시장 규제 완화로 16년간 종전보다 280억달러(약 30조9천960억원)의 요금을 더 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 에너지정보청(EIA) 자료를 인용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1999년 전력 공급을 민간 업체들에 이양하는 정책으로 텍사스 주민의 60%가량은 기존 공공 전력회사 대신 소매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구입하게 됐다.
당시 정책은 전력 시장에 경쟁을 도입하면 전기요금은 낮아지고 서비스는 좋아질 것이란 탈규제 논리에 의해 추진됐다.
하지만 저널은 기존 공공 전력회사 요금과 비교해보면 민간 소매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산 텍사스 주민들은 2004∼2019년 전기요금을 280억달러나 더 냈다고 추산했다.
이 기간 텍사스주 공공 전력회사의 전기요금은 전국 평균보다 8% 싼 반면 소매 회사는 13%나 비쌌다.

http://www.honam.co.kr/detail/WYXZ2h/641757
(약수터)자유화 혹은 덫 (무등일보, 조덕진 논설위원, 2021.02.25. 18:46)
대도시 전기가 전원 차단됐다. 밖은 영하 수십도를 밑돌고 길은 얼어붙었다. 사람들은 작은 온기라도 얻기 위해 거실 액자까지 태웠다. 종래는 더 이상 태울 것도 남지 않았다.
재난 영화가 아니다. 21세기, 미국 대도시 텍사스 주도 휴스턴에서 벌어진 일이다. 텍사스의 주요 전력 공급원인 천연가스, 풍력, 원자력 모두가 한파로 일부 멈춰 섰다. 한때 470여만 가구에 전기가 끊기고, 어떤 가구는 한달 1천800여만원에 달하는 요금폭탄을 맞기도했다. 텍사스는 미국에서도 에너지 자원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 자립도시라는 점에서 당사자들은 물론 세계가 놀랐다.
이 재난적 상황의 원인과 처방을 둘러싸고 초기 일부 보수정치인과 언론들이 재생에너지를 공격했다. 트럼프 기후협약 탈퇴가 상징하듯 미국내 친환경 에너지와 화석에너지를 둘러싼 논쟁의 뜨거움을 상징한다.
주범은 따로 있었다. 당장의 이익에 급급한 인재, 자유화라는 이름의 극단적 에너지 민영화 때문이었다. 혹한에 가능한 전기 생산 설비가 없어 발생했던 것이다. 전기회사들이 규제완화와 비용절감 등으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투자를 하지 않았다. 규제완화로 텍사스 정부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추가 투자를 사업자에게 요구할 수도 없었다고 한다.
텍사스는 독립적 에너지 체계로 유명하다. 연방 규제를 피하기 위해 미 연방 중 유일하게 다른 주들과 송배전 등 전력망을 연결하지 않았을 정도다. 자체발전으로 해결하며 전력 시장은 극한의 자유화로 내달았다.
가격경쟁 속에 값싼 전기를 사용할 수도 있었다. 싼게 비지떡이라고 대가는 혹독했다. 효율이라는 이름의 자유화는 이처럼 덫을 품고 있다. 아찔한 일이다. 이번처럼 불특정 다수를 고통에 밀어넣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노동자들에게 개별적으로 전가된다. 재난적 고통은 온전히 개인의 몫이다.
다른 한편 그게 어디 민영화만의 문제일까도 되짚어 볼 일이다. 당장 눈에 띄지 않는, 사회에 필수적인 유무형의 기반구축에 우리가 얼마나 마음 기울이고 있는지.
당장 눈앞의 이익을 뛰어넘는 것은 결국 한 사회의 역량일 것이다. 지금을 이겨내는 기대와 다짐, 공동체의 지향성과 같은. 지금 혹여 놓치고 가는 것은 없는지, 잠깐 멈춤의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251904001&code=970201
텍사스 주민들, 전력공급 민영화로 전기요금 31조 더 냈다 (경향, 윤기은 기자, 2021.02.25 19:06)
“전력 공급 산업이 경쟁시장이 되면, 텍사스 주민들이 매월 내는 전기요금은 더 저렴해질 것입니다.”
조지 부시 당시 미국 텍사스주 주지사는 1999년 전력 공급 민영화를 위한 ‘전기시장 자유화 정책’에 서명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후 민간 업체들도 전기 공급 사업을 할 수 있게 됐으며, 전기요금 상한선은 사실상 없어졌다. 하지만 주정부의 이러한 조치 이후 텍사스 주민들은 오히려 전기요금을 더 많이 낸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에너지정보청(EIA)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주정부의 전기요금 규제를 받지 않는 민영 소매회사 전기를 사용한 주민들은 주정부의 요금 제한을 받는 공공적 성격의 전력회사 전기를 사용한 주민들보다 280억달러(약 31조원)의 요금을 더 냈다고 24일(현지시간) 전했다.
WSJ 분석에 따르면 같은 기간 텍사스 민영 회사들의 평균 전기요금은 텍사스 이외 다른 주들의 평균 전기요금보다 13% 더 비쌌고, 요금 제한이 있는 전력회사의 전기요금은 다른 주들에 비해 8% 더 저렴했다. 공공적 성격의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받을 수 있는 지역이 한정적인 이유로 텍사스 주민 약 60%는 민영 회사에서 전기를 공급받아야 했다.
텍사스 주정부는 1990년대 말 전기 공급을 맡는 민영 회사가 더 많아지면 전기요금은 낮아지고, 서비스는 좋아질 것이라고 공언하며 전력 공급 민영화를 추진했다. 이후 수백개의 전력 공급 소매회사들이 도매회사들로부터 전기를 얻어 일반 가구와 회사에 공급했다.
이달들어 30년만의 최악의 한파가 덮친 텍사스주에서는 수백만 가구에 전기가 끊겼다. 일부 주민은 전기요금 폭등으로 1만7000달러(1880만원)짜리 요금 고지서를 받기도 했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84508.html
[기고] 텍사스 정전사태와 헛다리 짚는 언론보도 (한겨레, 석광훈│녹색연합 전문위원, 2021-02-26 02:41)
지난주 미국 텍사스가 한파로 4일간 정전사태(순환단전)를 겪으며 큰 화제가 되었다. 사실 텍사스는 이미 2011년 단발성 한파로 몇시간의 정전을 겪었지만, 이후 당국이 전혀 대비하지 않은 탓에 수일 지속된 이번 한파로 발전소, 가스전, 상수도 등 주요 시설이 큰 타격을 받았다.
사태 초기 재생에너지를 반대해온 미국 공화당 의원들이 “풍력이 정전 원인”이라고 비난을 쏟아냈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한술 더 떠 “텍사스가 석탄발전과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미국 매체들은 일부 전기소비자들의 전기요금 고지서를 근거로, “전력시장 개방 때문에 전기사업자들이 투자를 줄이며 정전사태와 요금폭등이 일어났다”는 보도도 했다. 이는 국내 언론에도 선택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사실과 동떨어진 선정적 보도들로 준비되지 않은 기후재난의 본질을 흐릴 뿐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정전이 시작된 지난 15일 텍사스의 가스, 석탄, 풍력 시설과 원전은 예외 없이 모두 한파에 큰 타격을 받았다.
특히 텍사스의 여름 기온에 최적화된 가스·석탄화력과 원전 설비 대부분이 단열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한파로 고장이 나고 총 30GW(원전 30기 분량)가 정지하면서 사태를 일으킨 공범이 되었다. 원전도 한파로 급수펌프 설비가 고장 나 정지하며 사태 악화에 일조했다. 실제로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이 원전의 정지가 인근 텍사스주 최대 도시인 휴스턴의 정전사태에 주요 원인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국내 보수언론이 “그나마 원전 덕분에 블랙아웃을 막았다”며 이번 정전사태 내내 텍사스 전력공급량의 10%에도 못 미친 원전을 두고 아전인수식으로 보도한 행태는 어처구니없다.
“전력시장 개방”이 “정전”의 이유라는 보도들도 사실과 다르다. 이번 사태는 경쟁전력시장과 아무런 상관이 없으며, 이미 10년 전 유사한 경험을 하고도 에너지 설비들의 단열처리를 의무화하지 않고 방치해온 공공사업위원회(PUC) 등 당국의 규제 실패에 원인이 있다.
“전기요금 폭등론”은 어떤가? 실제로는 텍사스의 주택용 전기소비자 중 문제의 요금제를 선택한 소비자들은 2만9천호(0.3%)에 불과하며, 나머지 소비자들은 약간의 요금이 올랐을 뿐 요금폭등은 없었다. 요금폭등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이미 주정부가 개입해 적절히 보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제의 진앙인 ‘그리디’라는 3년차 신생 전력회사의 판매전략은 저렴한 도매전기요금(2020년 평균 약 90원/㎾h)을 주택용 소비자들에게 차익 없이 적용하되 매달 10달러의 고정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창출하는 특이한 방식이다. 그러나 텍사스나 다른 경쟁전력시장이나 이처럼 주택용 소비자들을 변동폭이 큰 도매요금에 직접 노출시키는 무모한 판매 관행은 찾기 어렵다. 대부분의 전기판매회사들은 도매요금 변동의 완충 구실을 하며 고정요금제나 소비자들이 스마트계량기의 전력소비 데이터로 결정한 맞춤형 요금제를 통해 수익을 얻는다.
텍사스 사태의 본질은 특정 에너지나 시장질서와 상관없이 기후변화를 무시했을 때 현대사회가 어떤 재난과 혼란을 겪을 수 있는지 총체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이제 세계 각국은 탄소배출 저감 노력을 하면서도 동시에 이미 변화된 기후에 적응해야 하는 어렵고 복잡한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그런데 언론이 ‘탈원전 공방’이나 ‘시장 담론’ 같은 기존의 정치적 맥락에 이번 사태를 끼워 맞추다 보면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하고 엉뚱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우리 사회가 복잡하고 험악해진 기후변화 시대에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현명하게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사실에 입각한 언론보도가 절실하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7&artid=202102261419441
텍사스 정전사태, 에너지 독립의 고립 (2021.03.08ㅣ주간경향 1417호, 유승권 미국 미주리대 한국학 연구소장)
영하 20도를 밑도는 역대 최고의 한파가 닥치면서 텍사스 주민 약 3000만명 중 500만명 이상이 정전사태를 경험했다. 주민 대부분은 식수와 음식 부족으로 한동안 큰 고통을 겪었다. 아무리 예상 밖의 강추위가 닥쳐 왔다고 하지만 미국에서 개발도상국에서도 흔치 않은 정전사태가 일어나고, 눈을 녹여 물로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것은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이번 사태는 미국의 연방제와 분권정치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문제의 핵심을 적확하게 꿰뚫어 볼 수 없다. 결론적으로 이번 정전사태를 통해 미국의 분권정치의 폐해, 작은 정부를 추구하는 보수 정부의 허점이 여지없이 드러났다.
텍사스주는 인구와 면적에서 미국 50개주 중 두 번째로 큰 주이다. 원래 멕시코 땅이었다가 1836년 텍사스 공화국으로 독립했고, 1845년 미국의 28번째 주로 편입됐다. ‘Lone Star State(외로운 별 주)’라는 별명을 가진 텍사스주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서부 개척 프런티어 정신 및 문화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지만 최근까지도 정서상으로는 연방정부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이 심심치 않게 일어났다.
연방정부로부터 독립 추구
텍사스주의 연방정부로부터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움직임은 법, 제도, 세금 등 다양한 부분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번 정전사태를 통해 이러한 텍사스주의 연방정부로부터의 독립, 자치가 얼마나 큰 경제적·물질적 피해와 정부에 대한 불신을 가져오게 됐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미국의 50개주의 전력망은 텍사스주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동부 전력망과 서부 전력망으로 나뉘어 있다. 한여름이나 한겨울에 특정 주나 지역에서 전력 공급에 차질이 있어도 전력이 풍부하고 남는 주에서 연결해올 수 있기 때문에 정전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이번에 텍사스에 닥쳐온 한파는 이웃 주인 오클라호마, 아칸소주에도 동일하게 닥쳤지만, 이들 주에서는 정전사태가 나타나지 않았다. 같은 주에서도 다른 전력 공급망을 사용하고 있는 엘파소에서도 정전사태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텍사스주는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의 구속을 받지 않으려고, 자체적으로 1970년대부터 ERCOT(Electric Reliability Council of Texas)라고 불리는 텍사스 전기신뢰성위원회라는 공기업을 통해 전력 공급망을 책임지고 있다. 문제는 이 공급망이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의 규제를 피하려다 보니, 다른 동부지역이나 서부지역 전력망과의 연결을 시스템적으로 할 수가 없었다. 때문에 전기 부족 사태가 와도 다른 지역에서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없었고, 이번 정전사태를 맞게 된 것이다.
7000달러짜리 전기 고지서 받은 주민도
2011년에도 비슷한 한파가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한파에 대비한 월동 대비 시설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이를 묵살하고, 현상유지를 했다. 그 바람에 이번 한파 때 많은 시설이 동파되거나 작동되지 않았다.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자체적인 대비도 소홀했다.
더군다나 전력 공급은 ERCOT가 책임지지만 판매는 일반 전기회사가 자유롭게 가격을 정할 수 있도록 1999년 허용된 뒤 전기료가 그 전에 비해 64% 이상 상승했다. 이번 사태 직후 어느 텍사스 주민은 이번 달 전기료로 무려 7000달러(770만원)나 되는 고지서를 받고 아연실색하게 됐다. 규제 철폐를 통한 이익이 소비자에게 돌아간 것이 아니라 결국 기업에만 막대한 이익이 돌아간 것이다.
텍사스주는 미국의 어느 주보다 석유와 천연가스 등이 풍부해 에너지 최강주로 손꼽혔다. 텍사스주는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 독립이라는 자신감이 있었고, 큰 정부로 대표되는 연방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규제를 피해 그들만의 에너지 독립 정책을 추진하려던 것이 스스로를 고립시킨 꼴이 됐다. 그 결과 텍사스 주민은 막대한 정신적·물질적 피해와 손실을 겪게 됐다.
지난 대선을 통해 공화당과 민주당의 지지가 근소한 차이로 좁혀지면서 텍사스주는 앞으로 ‘스윙 주(특정 정당이 압도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는 주)’가 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전망이 나왔다. 이번 정전사태를 통해 그러한 전망이 더 빨리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기후변화가 미국 정치 지형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 틀림없다. 누구에게는 한파로 닥쳐올 것이고, 누구에게는 따뜻한 봄날로 돌아올 것이다.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302010000198
[김종서의 환경교육 이야기] 텍사스의 혹한, 정전, 그리고 대란 (브릿지경제, 김종서 기자, 2021-03-02 08:47)
우리는 텍사스의 혹한, 정전, 그리고 대란을 지켜보면서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화석연료를 재생에너지가 대체하기 위해서는 변화성과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전력공급계통의 안전성체제를 철저하게 마련해야 된다. 그리고 21세기는 재난시대가 도래하고 있어 무엇보다도 안전 제일주의를 원칙이 우선적으로 재난에 대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지난 2월 15일 이후 텍사스에서 일어난 혹한, 정전, 그리고 대란을 지켜보면서 우리들은 21세기는 재난시대이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재난이란 미리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혹한 대가를 지불해야 된다. 때문에 이에 만반의 준비를 통하여 이를 극복해야 우리들은 안전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지난 2월 15일, 미국 남부지방에서 30년 만에 최강 한파가 덮쳐 폭설과 영하 20도 이하의 혹한이 기습적으로 몰려왔다. 사실 미국 남부지방은 겨울이라고 해도 최저기온이 5~10도 사이의 더운 지방이어서 겨울철 난방수요는 거의 필요없는 지역이어서 선 벨트라고 부른다.
미국 남부 지역인 앨라배마, 오클라호마, 캔자스, 켄터키, 미시시피, 텍사스 등 7개 주에서는 기습적으로 몰려온 혹한으로 이를 견디어 낼 겨울철 의복이나 난방설비가 없어 큰 곤혹을 치러야 했다. 특히 텍사스 주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독립된 전력연결망을 갖고 있어 이런 혹한에 발전용량의 40%가 끊기면서 400만 채에 달하는 주택과 건물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60여명이 혹한으로 목숨을 잃게 되었고 15~16일 휴스턴의 전력 도매 가격은 평소 1㎿h 당 22달러에서 9000달러까지 폭등하는 사태까지 발생하는 대란이 일어났다.
이런 텍사스주에 정전사태가 발생되어 지역주민들은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해야 했다. 가장 흔한 방법은 가족들이 모두 자동차로 피신한 후 자동차 히터를 풀 가동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는 자동차 히터에서 집까지 알루미늄 연통을 연결하여 집안의 난방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폭설로 인해 교통마저 차질이 생기면서 차선책으로, 액자, 이웃집 간 경계 표시인 울타리, 정원수 등 장작이 될 만한 것들을 모조리 가져다가 연료로 사용하기도 했다. 아예 어떤 사람들은 직접 도끼를 들고 나무를 하러 가는 모습까지 연출하기도 하였다.
한편 자체 발전설비를 지닌 호텔로 피난을 가는 사람들도 있었으나 호텔업자들은 1일 숙박료를 1천 달러까지 올려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텍사스주의 경우 지난해 전체 40%를 차지하던 석탄화력발전소를 18%까지 줄어들면서 풍력 발전의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그 결과 천연가스는 44%, 풍력발전은 23%로 주 전원으로 부각되면서 석탄은 18%, 원자력은 11%로 감축되어 주 전원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사실 넓은 땅을 갖고 있는 텍사스는 농부들이 농장의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풍력 발전업자에게 토지를 임대해 주었다. 그래서 40개나 되는 풍력 단지가 건설되어 2014년 말보다 풍력발전량은 거의 두배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풍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5년 12%에서 2019년 21%까지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서부 텍사스에 1만3300MW의 풍력발전이 몰려 있으며 2020년 기준 풍력설비 용량은 8만2000MW 이상으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 순위에 해당된다.
2020년 6월 기준으로 순간 최대 풍력발전량은 2만1144MW를 기록해 전체 전력공급량의 60%나 차지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여름철에는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면서 전력수요는 최고치에 달하는데 순간 풍력발전은 평소 대비 41%의 전력만 생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풍력발전은 날씨에 따른 변동성이 높고 간헐성이라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순간 전력가격은 평균 보다 300배 높은 9000달러/MWh를 기록하는 폭등사태까지 연출하기도 했다.
이에 월스트리트저널에서는 “텍사스는 그간 풍력과 태양에너지 의존도를 높여 왔는데, 이번 한파로 안정적인 전력원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재생에너지의 약점을 지적했다. 결국 재생에너지는 주된 대체 에너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에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 결과가 되었다.
지난해 9월에 발표된 미국 에너지부(DOE) 분석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기상 관련 정전사고로 2000년 이후 정전사태가 67%가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즉 기상재해는 매년 심해지고 있는데 여기에 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간헐성까지 더해져 전력공급의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재생에너지가 대체 에너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전기요금, 전력시장제도, 전력망 구성 등 전력계통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부각되고 있다.
영국의 ‘가디언’에서는 “이번 텍사스 정전사태는 기후위기에 대해 미국 정부가 전혀 준비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는 기사를 게재하였다. 그리고 작년 여름에 기록적인 폭염 속에 정전사태를 빚은 캘리포니아주와 올겨울 텍사스주의 사례를 비교·분석하면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기상재해에 따른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고 경고하였다.
사실 텍사스주의 ‘전기시장 자유화 정책’은 조지 W.부시 전 대통령이 주지사로 이었던 당시에 도입된 제도이다. 즉 전기 산업의 경쟁체제가 도입되면서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이 주어지고 전기요금이 더 싸질 것이라며 텍사스 주민들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환영을 받던 제도이었다.
텍사스에는 풍력발전이 풍부해지고 저렴한 천연가스도 풍부해 220개의 전기 공급업체는 소비자를 유인하기 위해 가격 인하 경쟁을 벌였고 지역주민들은 값싼 전기요금을 누릴 수 있었다.
그런데 혹한과 정전, 그리고 대란으로 엄청난 손실이 발생하면서 잘못된 제도라는 사실을 밝혀졌다. 즉 텍사스 주 정부는 혹한으로 전력 공급이 제한됨에 따라서 모든 전력공급의 최우선을 일반 가정으로 돌렸다. 이에 따라서 대규모 공장들이 가동이 정지되면서 엄청난 손실이 발생하였다.
오스틴의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도체 공장, 인피니온의 차량용 반도체 공장 등 텍사스가 유치한 세계 유수 대기업들의 생산라인이 중단돼 수십억 달러의 손실이 일순간에 발생하는 일이 벌어졌다. 결국 텍사스주는 재난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못한 결과로 지역주민들은 큰 고통과 입주 업체들은 큰 손실을 감수해야 되는 대란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1931년, 미국의 트래블러스 보험사에서 사고통계를 담당하던 하인리히는 산업재해 사례 분석을 통해 하나의 통계적 법칙을 발견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그것은 바로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사망자가 1명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1:29:300 법칙’이라고도 부르는 하인리히 법칙이 오늘날에서 재난을 예방하는 원칙으로 적용되고 있다. 즉 큰 재해와 작은 재해 그리고 사소한 사고의 발생 비율이 1:29:300로 이뤄진다는 원칙이다.
이는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큰 사고가 일어나기 전 여러 번의 경고성 징후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텍사스의 혹한, 정전, 그리고 대란을 지켜보면서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화석연료를 재생에너지가 대체하기 위해서는 변화성과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전력공급계통의 안전성체제를 철저하게 마련해야 된다. 그리고 21세기는 재난시대가 도래하고 있어 무엇보다도 안전 제일주의를 원칙이 우선적으로 재난에 대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2076000009?input=1195m
'한파에 덜덜' 텍사스 정전 후폭풍…전력회사 파산·관리 줄사퇴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2021-03-02 11:21)
규제당국 수장·전력망 운영사 임원 6명 사퇴
미국 텍사스주에서 기록적인 한파로 인한 대정전 사태 이후 규제 당국자, 전력망 운영사 임원이 줄사퇴하고 전력 공급업체가 파산보호신청을 하는 등 후폭풍이 만만찮다.
AP통신은 텍사스주 공공시설위원회(Public Utility Commission)의 디앤 워커 위원장이 1일(현지시간) 사임했다고 보도했다. 워커 위원장은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에게 보낸 사임 서한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다른 사람들도 자신의 행동이나 태만이 이 사태에 기여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공공시설위원회는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에 대한 감독권한을 갖는다. 워커 위원장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가장 고위급 인사라고 AP는 설명했다. 앞서 ERCOT에서도 위원장을 포함해 임원 6명이 사퇴했다.
이날 텍사스주에서 가장 오래됐고 최대 규모의 전력 공급업체인 '브래저스 전력'이 파산보호신청을 하기도 했다. 이 업체는 대정전 사태 이후 ERCOT이 지나치게 높은 비용을 청구했고 이를 감당할 수 없다고 밝혔다.

https://news.joins.com/article/24004343
[서소문 포럼] 텍사스 정전 사태는 왜? (중앙일보, 정재홍 국제외교안보에디터, 2021.03.04 00:17)
20년 장기집권 공화당 체제 텍사스
연방정부 규제피해 전력망 독자화
표 의식한 가덕신공항법 졸속 처리
국민이 그 피해 고스란히 떠안게 돼
공화당이 장악한 텍사스의 정치인들은 정전 사태가 자신들과는 무관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레그 애벗 주지사는 정전 사태가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탓이라고 말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텍사스주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전체 발전량의 23% 수준이다. 전력의 70%를 차지하는 천연가스·석탄 화력발전소도 상당수 가동을 멈췄다는 걸 고려하면 애벗 주지사의 발언은 진보 진영에 책임을 돌리려는 가짜뉴스에 해당한다고 미 언론은 지적했다. 텍사스주 연방 상원의원 테드 크루즈는 한파가 닥치자 주민 고통을 외면한 채 가족과 함께 멕시코 휴양지 칸쿤으로 휴가 간 사실이 들통나 주민들의 울분을 샀다.
압권은 댄 패트릭 부지사다. 그는 지난달 24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사람들은 고지서의 깨알 글씨를 읽어야만 한다”며 폭등한 전기요금에 대한 책임이 주민들에게 있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전기요금 폭탄을 맞는 가정은 고정 요율이 아닌 변동 요율을 택했기 때문이므로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 변동 요율은 전력 수요에 따라 요금이 변하는데 혹한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자 요금도 치솟았다. 현지 언론 댈러스모닝뉴스는 “그는 텍사스 공화당이 잘못됐다는 걸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보도했다. 패트릭은 지난해 3월 미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하자 ‘고령자들은 손주들을 위한 경제 살리기를 위해 죽음을 감수할 용의가 있다’는 취지로 말해 비판을 자초하기도 했다.
텍사스 정전 사태는 진영 정치의 귀결이라 할 수 있다. 텍사스는 지난 20년 이상 사실상 공화당 일당 체제였다. 시장경제를 신봉하는 텍사스 주 공화당 정치인들은 연방정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연방 전력망에서 텍사스주 전력망을 제외하고 전력시장을 자유화했다. 민간 전력회사들은 단기 이익에 치중해 혹독한 날씨에 대비한 시설 투자에 인색했다. 텍사스는 10년 전에도 심한 눈 폭풍 때문에 전력망의 3분의 1가량이 끊어진 적이 있었다. 당시 정전 사태를 조사한 연방 감독기관은 혹한 대비 시설을 갖추고 텍사스 전력망을 연방 전력망에 연결할 것을 권고했으나 텍사스 정치인들은 이를 무시했다.
이런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면 정치권이 문제 해결에 발 벗고 나설 거라고 기대할 수 있지만, 앞으로도 이런 사태가 재발할 우려가 크다고 주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27일 보도했다. 텍사스 공화당 정치인들이 큰 정부와 규제에 거부감이 커 대규모 정전 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도입하기 꺼린다는 설명이다. 텍사스 민주당이 지리멸렬해 주 정부를 견제하기 힘든 상태에서 2024년 대선 출마를 꿈꾸는 애벗 주지사가 바이든 행정부와 차별화하기 위해 시장 친화적 행보를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10303010000420
[EE칼럼] 텍사스 정전사태와 에너지 믹스 (에너지경제신문, 최수석 제주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2021.03.04 15:58:51)
얼마 전 미국 텍사스에서는 강력한 한파와 함께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다. 자동차 히터에 의지해 추위를 녹이다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하는 사고를 포함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일어났다. 전력 도매가격이 MWh당 50달러에서 9000달러로 급등하면서 연동형 요금제를 택했던 일부 가구는 전기요금 폭탄을 맞았으며, 현지에 진출한 많은 기업이 폐쇄되면서 막대한 경제적 타격도 초래됐다. 다른 곳도 아닌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텍사스에서 일어난 의외의 정전사태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텍사스 정전의 표면적인 이유는 급증한 전력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서이다. 미국 에너지정보국 자료에 따르면 작년 2월 텍사스주 전력수요는 40 GW 내외였지만, 올해는 한파로 전력수요가 급증하여 2월 11일부터 열흘 연속 50 GW를 넘었다. 한파가 절정에 달한 2월 15일 한때 전력수요는 76.8 GW로 예상되었지만, 생산된 전력은 47.9 GW에 그치면서 정전이 시작되었다. 2020년 텍사스주는 예상 최대전력수요 75.2 GW와 예비율 12.6%를 고려하여 82.4 GW 규모의 발전시설을 준비하였지만 35 GW 정도 발전설비가 제 기능을 못한 것이다.
텍사스의 풍력발전은 20 GW가 넘는 용량에도 불구하고 정전 당시 5 GW를 밑도는 출력으로 전력수요의 7%도 감당해내지 못했다. 풍력발전량은 풍속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변동하지만, 주요 풍력단지 중 하나가 있는 스윗워터 지역의 풍속과 텍사스 전체 풍력발전량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한파가 문제였음을 알 수 있다. 평균풍속 5.0 m/s를 기록한 8일에는 하루평균 16.4 GW의 풍력발전 전력이 생산되었지만, 정전이 있던 15일에는 5.3 m/s의 평균풍속에도 불구하고 하루평균 3.0 GW밖에 기록하지 못하였다. 천연가스발전은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한 11일 이후 전력수요에 맞추어 최대 44 GW 정도까지 서서히 출력이 증가하다가 정전 당시 갑자기 25 GW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1기의 급수펌프가 결빙되면서 1 GW 정도의 출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발전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한파에 대한 대비 부족이 정전의 일차적인 이유이다.
텍사스 정전의 또 다른 이유로 독립 전력망과 전력시장 자유화를 들 수 있다. 미국의 전력망은 동부와 서부, 그리고 텍사스 지역의 3개로 구분되며, 텍사스전력신뢰위원회에서 운영하는 텍사스 전력망은 다른 지역과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텍사스는 셰일가스를 비롯한 화석연료가 풍부하며, 서부 사막을 중심으로 연중 양질의 바람이 불고 있다. 풍부한 에너지 자원과 최근 10년 사이 3배 이상 성장한 풍력발전에 대한 친화적인 정책으로 다양한 발전방식을 혼합한 텍사스의 독립전력망은 성공적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번 전력난에서 드러났듯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에서 충분한 예비전력이란 닿을 수 없는 이상과도 같다. 또한 과도하게 자유화된 전력시장은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력 공급망의 노후화와 여유 전력이 빠듯한 전력운용을 부추겼다. 가능한 해결책은 외부 전력망과의 연계를 통한 전력공유와 비용이 들더라도 공공재인 전력이 양질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다.
최근 발표된 우리나라의 2019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은 5.6%로 텍사스의 25%와는 큰 격차가 있다. 그러나 텍사스가 그러했듯이 우리나라도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인해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율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텍사스 정전이 우리의 머지않은 미래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전력망도 텍사스와 같이 고립된 에너지 섬이기 때문이다. 더욱 심각한 점은 우리나라는 화석연료와 재생에너지 자원이 매우 부족하지만,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를 급격히 확대하면서 전력공급을 안정적이고 값싸게 하기는 매우 어렵다. 인접 국가와 연계된 전력망은 우라나라에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며, 재생에너지의 보완책인 에너지저장장치와 수소 관련 기술은 현실적인 요구수준을 충족시키기 요원하다. 텍사스의 정전사태를 참고하여 이상기후에 대비한 발전시설의 점검과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게 전력원을 구성하는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 정책이 필요하다.

https://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21&no=204069
美 텍사스 정전 사태는 풍력 발전 책임? (매경이코노미 제2098호 (2021.03.03~2021.03.09일자), 워싱턴 = 신헌철 특파원, 2021.03.04 17:46:34)
미국 남부를 덮친 한파로 텍사스주에서 사상 초유의 대규모 정전 사태가 빚어졌다. 30년 만의 최고 추위 앞에 전기와 수도가 끊기자 아비규환이 일주일 이상 이어졌다. 텍사스주 오스틴에 위치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은 설립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가동을 멈췄고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불가피해졌다. 대규모 정전 원인을 놓고는 때아닌 진영 논쟁이 점화됐다. 공화당 쪽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높아진 탓에 정전 피해가 더 커졌다는 주장을 내놨다.
선봉장을 맡은 이는 폭스뉴스의 유명 앵커 터커 칼슨이다. 그는 “날씨가 추워지자 풍력 발전기는 멍청한 패션 액세서리가 돼버렸다”며 풍력 발전을 정전 사태의 핵심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자 조 바이든 행정부의 녹색에너지 확대 정책이 못마땅했던 우파 진영이 너도나도 가세해 한바탕 논란을 빚었다. 일부 정치인들은 “풍력에 의존하면 이 꼴이 난다”고 주장했다. 바이든 정부는 향후 10년간 민관 매칭 방식으로 5조달러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고, 2035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공약한 상태다. 5년 안에 태양광 패널 5억개, 풍력 터빈은 6만개 설치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결론부터 말하면 풍력 발전기 터빈뿐 아니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원자력 발전소의 급수 펌프도 강추위에 얼어붙기는 마찬가지였다. 텍사스주가 지난 15년간 풍력 발전 비중을 꾸준히 높여왔고 미국 50개 주 가운데 가장 많이 풍력 발전을 하는 주기는 하지만 여전히 전체 전력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 수준이다. 가장 큰 전력원은 46%를 차지하는 천연가스이고 석탄(18%)과 원자력(11%), 태양광(2%) 등도 있다.
▶화석에너지·원전도 중단되긴 마찬가지
정전 사태가 정점에 달했을 때를 기준으로 가동을 멈춘 풍력 발전 전력은 16GW인 반면 천연가스, 석탄, 원전을 합하면 30GW에 달했다. 겨울철 텍사스주는 최소 69GW의 전력이 필요한데 46GW가 중단됐으니 수백만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고 공장까지 줄줄이 멈춰 서야 했다.
북해 연안에서도 혹한을 견뎌내는 터빈이 왜 텍사스에서는 화씨 0도(약 섭씨 -17.7도) 아래에서 꽁꽁 얼어붙은 것일까. 풍력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人災)’였다고 지적한다. 발전기 부품에 미리 열을 가하거나 윤활유를 이용해 사전에 동결을 방지했어야 했다는 얘기다.
또 북유럽처럼 터빈 자체가 추위에 견딜 수 있는 철강재로 만들어졌다면 이런 일이 없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캐나다와 북유럽에 설치된 터빈은 내부에 전열 장치가 설치돼 있고 날개 안으로 온풍을 불어넣는 장치가 있다. 외부는 동결을 막기 위해 코팅도 돼 있다. 그래도 얼음이 얼기 시작하면 헬기를 동원해 제빙제를 살포한다. 실제로 텍사스주 풍력 시설은 화씨 -4도 이상에서만 정상 가동할 수 있도록 기본 설계가 이뤄졌다. 미국에서 세 번째로 연평균 온도가 높은 텍사스주에서 올해 같은 강추위를 예상하지 못한 것이 화근이었다.
민주당 진영에서는 이번 사태가 역설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가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또 텍사스주는 다른 주와 전력망 연계가 끊어져 에너지 고립을 자초했다는 비판도 내놨다.
미국신재생에너지협회는 성명을 통해 “의회가 미국 전력망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대대적인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계획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텍사스 정전 사태가 바이든 정권의 에너지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5079100009?input=1195m
텍사스 대정전 때 전력 최고가 오래 적용…18조원 더 내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2021-03-05 12:01)
"정전 뒤 33시간 동안 최고액인 ㎿h당 9천달러 설정"
미국 텍사스주(州) 전력당국이 지난달 대규모 정전사태 때 전력 도매가를 지나치게 오래 최고액으로 설정해 전력회사들이 160억달러(약 18조1천억원)를 더 벌도록 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텍사스주 공공시설위원회(Public Utility Commission)와 계약하고 전력시장을 감시하는 '포토맥 이코노믹스'는 이날 이러한 지적을 담은 서한을 위원회에 제출했다.
텍사스주에서는 지난달 15~19일 기록적인 혹한에 전력수요는 폭증하는데 발전시설이 얼어붙으면서 대규모 정전사태가 빚어졌다. 당시 약 400만가구가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 전력이 부족해지자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는 지난달 15일 오전 1시부터 단전했다.
정전사태 첫날 시장에서 결정된 전력 도매가는 상한인 ㎿h당 9천달러(약 1천18만원)로 치솟았다가 곧 1천200달러(약 135만원)대로 떨어졌다. 나중에 이는 기술적 문제 때문으로 알려졌다.
공공시설위는 15일 오후 전력 도매가를 '공급지장비용'(VOLL)에 해당하는 9천달러로 설정하는 전례 없는 조처를 한다. 공급지장비용은 전력수요가 공급보다 커서 공급에 지장이 생겼을 때 전력을 계속 공급받으려는 소비자가 기꺼이 낼 것으로 예상되는 요금이다.
포토맥 이코노믹스는 공공시설위가 '비상사태'를 맞아 전력 도매가를 최고액인 9천달러로 설정한 것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발전회사들에 일종의 '인센티브'를 부여해 발전량을 늘리려는 필요한 조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포토맥 이코노믹스는 이 도매가가 너무 오래 적용됐다고 지적했다. 전기신뢰성위원회가 전력회사에 지시한 단전이 17일 오후 11시 55분을 기해 종료됐으니 그 이후엔 공공시설위가 전력 도매가를 설정하는 것도 끝났어야 한다는 것이다.
포토맥 이코노믹스는 18일 0시부터 19일 오전 9시까지 약 33시간 동안 전력 도매가가 잘못 적용됐다며 이로 인해 전기신뢰성위가 전력회사에 160억달러를 더 지불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잘못된 전력 도매가를 다시 산정해 실수를 바로잡으라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