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왕좌왕 행정 정책/경제, 재정, 예산, 금융

사상최대 가계부채... 언론이 해답을 말하지 않는 이유 (미디어오늘, 이정환, 08-09-05)

새벽길 2008. 9. 5. 16:01
가게부채 문제가 엄청나다. 총 660조에 가구당 평균이 4000만원에 육박한다. 문제는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어서 가계 채무부담 능력이 악화도기 있다는 것이다. 어제 MBC백분토론에서 9월 위기설을 다루면서 잠깐 가계부채 얘기가 나오기는 했지만 본격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언론에서 한국은행의 발표가 있은 후에 이를 다루고 있지만, 이정환 기자도 말하고 있다시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은 내놓고 있지 않은 모양이다.
 
이런 상황에서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감세와 규제완화 정책은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할까. 가계부실을 방지한다고 지금 거의 정점에 오른 부동산 거품을 방치할 수는 없을 터이다. 그런데도 이명박 정부는 재건축재개발과 같은 헛소리를 하면서 부동산 거품에 기대어 인위적인 경기부양을 하려고 한다. 여기에 통화정책은 긴축으로 가져가면서 모순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고... 아무리 생각해도 이정환 기자가 말하는 것처럼 "정부가 부동산 거품을 빼겠다는 입장을 확실히 하고 또 실제로 부동산 불로소득을 환수하는 강력한 정책을 펼치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내가 살아오면서 물론 감세나 규제완화 등의 정책에 관심을 갖기는 했지만, 정부의 경제정책에 이리 걱정하고 뭔가 분석해보려고 노력해본 적도 없는 듯하다. 그 만큼 심각하다는 건데... 재정부 관료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나. 정부를 통하지 않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가계부채 위험수위… 가구당 평균 3960만원 (미디어오늘, 2008년 09월 04일 (목) 16:24:56 이정환 기자)
금리 인상+부동산 폭락=가계발 금융위기 가능성도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데다 부동산 대출 비중이 높아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경우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가계신용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가계대출이 622조8948억 원, 신용카드 등 판매신용이 37조4112억 원으로 모두 660조306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말과 비교하면 19조8336억 원, 3.1% 늘어난 규모다. 2003년의 2배,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의 3.5배 이르는 규모다.
 
전체적으로 예금은행 비중이 60.8%에서 60.5%로 조금 줄어든 반면, 신용협동기구 비중이 17.1%에서 17.5%로 늘어났다. 예금은행 대출을 용도별로 보면 주택용도 대출이 전분기의 40.7%에서 47.1%로 늘어났고 만기별로는 5년 이상 구성비가 41.9%에서 40.3%로 줄어든 반면 5년 이하는 58.1%에서 59.7%로 늘어났고 특히 2년 이상 5년 미만 비중이 26.2%로 3.5%포인트 늘어났다.
 
문제는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 데다 가계 채무부담 능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7월 가계대출 금리는 7.12%로 6개월 만에 7%를 넘어섰다. 반면 금융부채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개인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48배로, 2006년 말 1.43배보다 늘어나는 추세다. 이 비율은 2004년 말 1.27배, 2005년 말 1.35배였다. 이는 영국(1.61배)보다는 낮지만 미국(1.39배), 일본(1.16배) 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미국의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4일 "한국 경제가 앞으로 높은 부채와 낮은 소비로 인해 타격을 입을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 같은 문제제기는 최근 확산되고 있는 9월 위기설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 한국 경제가 여전히 심각한 국면에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감세와 규제완화라는 이명박 정부의 정책 기조가 이런 문제해결에 거의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신문은 익명의 경제 전문가의 말을 인용,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이 미국과 비슷한 수준인 170%를 넘어 190%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고 추산했다. 이 신문은 "특히 가계와 중소기업체 부채가 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소득 감소와 이익률 둔화를 동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최근 보고서에서 "가계의 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주택가격이 급락하거나 금리가 급등하면 가계 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박덕배 연구원은 이 보고서에서 "가계발 금융위기 가능성을 차단하려면 단기적으로는 가계대출 상환기간을 장기화해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경기 활성화를 통해 가계 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