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엄쉬엄 가는 길/쉬어가며 보는 영화

미국사회 양극화 계속 심화 / 미국 빈부격차 고발한 다큐 <1%> 관심 집중

새벽길 2008. 9. 29. 09:49
미국발 금융위기는 빈부격차의 심화를 비롯한 미국 내의 다양한 문제가 총체적으로 표출된 사건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도 미국 민중들이 공화당을 지지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이것은 어쩌면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 않을까. 그런데 민주, 공화 양당과 구별되는 급진적인 정당이나 세력은 미국에서 등장할 수 있을까. 미국발 금융위기가 쉽사리 그치지 않을 것임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무엇이며, 이를 담지한 세력은 무엇인지가 불분명하다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한편 미국의 빈부격차를 고발하고 있는 다큐 영화 <1%>는 뭔가 당기는 맛이 있는 듯하다. 마이클 무어 감독의 시코보다 더 흥미로운 영화가 되리라고 본다. 관련하여 이에 관한 프레시안의 기사와 과거의 미국 빈부격차 관련 기사를 담아온다. 
 
한국의 현실에서 이런 영화가 나올 수 있을까. 아마 한국 부자들의 행태는 미국의 부자들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 텐데... 그건 그렇고, 이 다큐도 정상적인 통로로 한국에 상륙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
미국사회 양극화 계속 심화 (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2008.08.27 17:27)
노동생산성 90% 향상 불구 가구당 수입은 15% 늘어
지난해 500대 기업 CEO 연봉 노동자 연봉의 344배

 
미국 사회의 양극화 현상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인 정규직 남성 노동자의 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1천653 달러 늘어난 4만5천113달러(약 4천890만원). 그러나 인플레이션율을 감안할 경우 여기에 1천653 달러를 다시 더한다 해도 미국인의 소득 수준은 1973년 당시 수준을 간신히 회복한 것에 불과하다.
 
지난 35년간 미국 노동자의 노동생산성은 90%나 향상됐지만, 같은 기간 미국 가정의 세전 수입은 15% 늘어나는 데 그친 탓이다. 이는 이윤증가분이 신기술과 장비에 투자한 주식보유자들에게 돌아간 때문으로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고소득층에 경제성장의 과실이 집중되는 부작용을 불러 일으켰다는 것이 WP의 설명이다.
 
실제 미 의회예산국(CBO) 자료에 따르면 소득이 상위 10%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이 올리는 수입이 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수십년간 증가일로를 걸어 왔다. 이러한 경향은 로널드 레이건과 조지 부시 대통령 등 공화당 정권뿐 아니라 민주당 정권에서도 똑같이 나타났으며, 스웨덴이나 프랑스 등 보다 경제평등주의적 기업환경이 조성된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라고 WP는 지적했다.
 
이 결과 미국인들의 불만은 스톡옵션과 배당금, 보너스 등을 통해 엄청난 연봉을 받아 챙기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에게 쏠리고 있다. 25일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에 따르면 지난해 실시된 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인의 77%는 CEO들이 하는 일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경제침체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던 지난해 말에도 미국 기업들은 CEO들에게 후한 연봉을 지급했다. S & P 500대 기업의 CEO들은 전년도에 비해 2.6% 인상된 평균 1천54만4천470 달러(약 114억여원)의 소득을 올렸다. 비록 인상률이 예년에 비해 다소 낮긴 했지만 이러한 금액은 보통 미국인 노동자 연봉의 344배에 달하는 것이라고 민간 싱크탱크 미 정책연구소(IPS)는 지적했다.
 
IPS는 30여년전에는 CEO와 일반 노동자의 연봉차가 30배에서 40배 수준에 불과했다면서, 성과급에 대해서는 일반 소득세(35%)에 비해 현저히 낮은 15%의 세금이 붙는 법률상 허점이 과도한 임금지급을 조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CEO에 대한 무제한 후불임금, 무제한 소득공제, 스톡옵션에 대한 특별 회계처리 등도 법률상 허점으로 지적됐다. IPS는 이렇게 CEO들이 '합법적'으로 세금을 포탈함에 따라 일반 국민들이 최소 200억 달러(약 21조6천820억원)의 세금을 더 내 이들의 소득을 보전해 주고 있는 셈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WP는 공화당 대선후보 존 매케인 상원의원이 내놓은 해결책은 공화당의 전매특허인 감세정책을 답습하는 수준이라면서 이는 잠시 불만을 가라앉힐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 대선후보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은 부동산 상속세 강화와 연소득 25만 달러 이상 가구에 대한 증세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현된다 해도 세후소득 분배는 4년전 상황으로 돌아가는 것에 불과할 전망이다. 
 
-------------------------------------
오바마, '서민 위한 경제' 역설했지만... (프레시안, 이승선/기자, 2008-08-29 오후 6:55:29)
美, 초당적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1% 부자만 급증 
  
미국 양대 정당 사상 최초의 흑인 대통령 후보가 된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은 28일(현지시간) 후보지명 수락연설에서 '서민을 위한 경제'를 일구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미국의 경제력은 부자의 숫자나 포천 500대 기업의 이윤에 의해서가 아니라, 훌륭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위험을 무릅쓰고 기업을 창업할 수 있는지, 팁으로 사는 종업원이 일자리를 잃을 우려 없이 병든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하루를 쉴 수 있는지 여부로 측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지 W.부시 대통령이 신자유주의 정책을 과도하게 추구해 부자만을 위한 정책을 쓴 결과 미국의 빈부 격차가 극심해졌다는 비판이다. 하지만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고 '서민을 위한 경제'가 실천될지는 의문이라는 회의적인 시선도 적지 않다. 진보 진영에서는 공화당이나 민주당이나 사실은 기득권을 위한 정당이며, 제국주의적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전쟁을 불사하는 점에서 별로 다를 게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오바마가 러닝메이트로 이라크 전쟁에 적극 찬성한 조지프 바이든 상원의원을 선택한 것에 대해 "진보 진영에 대한 배신행위"라는 비난도 터져나오고 있다. 또한 공화당과 민주당 중 어떤 정당이 집권해도 군산복합체와 월스트리트로 불리는 금융복합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의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 국세청(IRS)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민주당과 공화당의 집권 기간이 걸쳐 있는 6년(1998~2004) 동안 이른바 부자 중에서도 부자라고 하는 '슈퍼리치(super rich, 거대갑부)'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RS에 따르면 순자산 2000만 달러(약 200억원) 이상을 보유한 미국 내 슈퍼리치는 2004년 현재 4만7000명으로 6년 전인 1998년(2만9000명)을 기준 시점으로 비교할 때 무려 62%나 증가했다. 이들의 순자산을 합친 규모도 2조5010억 달러로 1998년의 1조5000억 달러에서 크게 늘었다.
 
부자 중에서도 슈퍼리치의 기준에 미달하는 부자는 상대적으로 적게 늘어, 미국의 경제정책이 갈수록 '1%만을 위한 정책'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뒷받침하고 있다. 순자산이 1000만~2000만 달러인 사람은 7만9000명으로 1998년에는 5만1000명으로 55%가 늘었으나, 순자산이 500만~1000만 달러인 사람은 2004년에 23만1000명으로 부시 대통령이 집권한 초기인 2001년의 24만3000명에 비해 오히려 줄었다.
 
반면 미국에서 파산을 신청하는 개인이나 사업자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CNN머니>가 정부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파산신고 건수는 96만7831건으로 100만 건에 육박했다. 지난해 6월 말 파산신고 건수는 75만1056건으로, 1년 사이 29% 급증한 것이다. 개인 파산신고는 72만7167건에서 93만4009건으로 28% 늘었고, 사업자 파산신고는 2만3889건에서 3만3822건으로 41% 증가했다. 현재 침체에 빠진 미국의 경제가 지속되면 파산신고 건수는 올해 120만 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양상은 필립 블론드 영국 컴브리아대 경제학과 교수가 욜해 초 <뉴욕타임스 > 칼럼에서 "좌파든 우파든 신자유주의 정책은 슈퍼 리치의 양산을 도왔을 뿐"이라는 지적을 떠올리게 한다.